1과목: 과목 구분 없음
1. 한 기업이 여러 제품을 함께 생산하는 경우가 각 제품을 별도의 개별기업이 생산하는 경우보다 생산비용이 더 적게 드는 특성을 설명한 것은?
2. 국내총생산(GDP)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 어느 제품에 대한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2일 때, 가격 변화로 인해 해당 제품에 대한 수요량이 20% 증가했다. 원래 가격이 120이라면 새로운 가격은? (단, 수요곡선은 우하향한다)
4. 중앙은행의 공개시장운영을 통한 국채 매도가 본원통화와 이자율에 미치는 영향을 바르게 연결한 것은?
5. 갑과 을 두 사람은 다음의 전략 게임을 하고 있고, 게임별로 각자의 전략에 따라 보수 역시 달라진다. 우월전략균형이 존재하지 않는 것은? (단, 괄호 안의 앞의 숫자는 갑의 보수, 뒤의 숫자는 을의 보수이다)




6. IS-LM 모형 및 AD-AS 모형을 통해 재정정책의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정부지출 확대가 이자율, 물가, 총생산에 미치는 단기적 영향을 바르게 연결한 것은? (단, 단기 총공급곡선은 우상향, IS곡선은 우하향, LM곡선은 우상향한다고 가정한다)
7. 다음과 같이 어느 폐쇄경제의 기본 정보가 주어졌다고 할 때, 재화시장과 화폐시장의 균형을 동시에 달성하는 소득은?
8. K군은 독서를 위해 전자책과 종이책만을 소비한다. 전자책과 종이책을 구매하여 독서할 때의 한계대체율(
)은
이다. 전자책과 종이책의 가격이 각각 200원과 300원이며, K군이 도서 구입 예산 9,000원을 가지고 효용을 극대화할 때, K군의 최적 선택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단, 재화인 x와 y는 각각 전자책과 종이책에 대한 소비량, MUx와 MUy는 각각 전자책과 종이책에 대한 한계효용이다)
9. 실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0. 어느 지역에 100명의 주민이 살고 있다. 공공재 X에 대한 수요함수가 P=1.5-0.15Q로 동일한 주민은 60명이고, 수요함수가 P=2-0.2Q로 동일한 주민은 40명이다. 공공재 생산에 대한 한계비용은 34로 일정하다고 할 때, 공공재의 최적 공급 수준은? (단, P, Q는 각각 공공재 X에 대한 가격과 수량이다)
11. 재정정책과 통화정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2. 다음은 완전경쟁시장에서의 휘발유에 대한 시장수요곡선과 시장공급곡선이다. 정부가 휘발유 공급자에게 단위당 3의 종량세를 부과할 때, 옳지 않은 것은? (단, P는 휘발유 가격이고, QD와 QS는 각각 휘발유에 대한 수요량과 공급량이다)
13. 어느 소규모 개방경제 국가에서 소비되고 있는 X재는 국내 생산과 해외 수입에 의존하고 있고, 수입량에 대해서는 관세가 부과되고 있다. 이 국가에서 국내 소비자 잉여를 증대시킬 수 있는 X재에 대한 정책은? (단, 소규모 개방경제 국가의 수입량은 X재의 국제시장 가격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14. 매년 10만 원의 이자를 영구적으로 지급하는 채권의 가격이 100만 원이라고 한다. 이 영구채의 만기수익률은?
15. 솔로우 성장모형(Solow growth model)을 따르는 어느 경제의 1인당 생산함수가 y=√k이며, 감가상각률은 1%, 인구증가율은 4%, 기술진보율은 0%이라고 한다. 균제상태(steady state)에서 1인당 자본량이 100이라면 저축률은? (단, y는 1인당 생산량을, k는 1인당 자본량을 나타낸다)
16. 현재 한국의 금리는 10%, 미국의 금리는 5%이며 현물환율은 1,000원/달러이다. 무위험이자율평가설이 성립할 때, 선물환율에 가장 가까운 값은?
17. 어느 폐쇄경제에서 생산하는 두 최종 재화의 생산량 및 가격이 다음과 같다고 할 때, 2025년의 GDP디플레이터는? (단, 실질GDP 작성을 위한 기준연도는 2020년이며, X재와 Y재 외의 재화는 생산하지 않는다)
18. 어느 기업의 생산함수는 Q=0.5(L+K)이고, 노동(L)과 자본(K)의 단위 가격은 각각 2와 1이다. 이 기업이 비용을 최소화하는 경우의 한계비용은?
19. 어느 독점기업은 판매 지역을 A시장과 B시장으로 구분하여 이윤을 극대화하고자 한다. 이 기업의 해당 상품에 대한 한계비용은 20이고 A시장과 B시장에 대한 수요곡선은 다음과 같을 때, A시장과 B시장에서의 판매 가격 차이는? (단, PA와 QA는 각각 A시장에서 가격과 수량이고, PB와 QB는 각각 B시장에서 가격과 수량이다)
20. 어느 기업이 생산하는 제품에 대한 한계비용과 한계수입은 다음과 같다. 이 기업은 해당 제품을 최대 4개까지 생산할 수 있고, 생산을 하지 않더라도 공장 유지비 2만 원을 고정적으로 지출한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