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과목 구분 없음
1. 시장실패의 요인이 아닌 것은?
2. 어느 저축 상품의 명목 이자율(수익률)이 6%이고, 이자소득에 대한 세율은 20%이다. 기대물가상승률이 3%일 때, 피셔방정식으로 계산한 세후 실질 이자율(수익률)은?
3. 어느 기업의 장기평균비용곡선과 장기한계비용곡선이 U자형일 때,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4. 공유지의 비극(the tragedy of the commons)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5. 총수요(aggregate demand)를 증가시키기 위한 통화정책과 재정정책을 바르게 연결한 것은?
6. X재에 대한 시장공급함수는 QS=-4+P이다. 이 시장에는 두 소비자 A와 B만 존재하며, 개별수요함수는 각각 QDA=12-P와 QDB=20-2P이다. X재의 균형시장가격은? (단, QS, QDA, QDB, P는 각각 시장공급량, 소비자 A의 수요량, 소비자 B의 수요량, 가격이다)
7. X재에 대한 시장수요함수와 시장공급함수는 각각 QD=85-15P와 QS=10+10P이다. 시장균형점에서의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단,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절댓값으로 나타내며, QD, QS, P는 각각 시장수요량, 시장공급량, 가격이다)
8. 소득 M으로 정상재인 X재와 Y재만을 소비하는 어느 소비자의 효용함수는 U(x, y)=2x+3y이다. PY=2PX일 때, 이 소비자의 최적 소비 선택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단, x와 y는 각각 X재와 Y재의 소비량이고, PX와 PY는 각각 X재 가격과 Y재 가격이다. PX>0, PY>0, 0<M<∞, X≥0, Y≥0이다)
9. A, B, C 세 사람만 존재하는 경제에서 공공재로부터 개별 소비자 i가 얻는 한계편익(MBi)은 각각 MBA=4-Q, MBB=5-Q, MBC=6-Q이다. 공공재 생산의 한계비용이 9로 일정할 때, 사회적 최적 생산량은? (단, i=A, B, C이고, Q는 수량이다)
10. 환율결정 이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1. 고정환율제도하의 소규모 개방경제에서 IS-LM-BP곡선이 균형상태에 있다. 정부지출 증가 시 최종균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단, 자본이동은 완전히 자유롭고, IS곡선은 우하향하고, LM곡선은 우상향하며, 환율예상은 정태적이다)
12. 어느 경제의 생산가능인구, 경제활동인구, 실업자가 다음과 같을 때,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3. 정부가 정부지출 수준의 변화 없이 조세징수액을 줄이고, 그 대신 동일액의 국채를 발행하여 재원을 충당하였다. 이에 대한 리카디언 등가정리(Ricardian equivalence theorem)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초기에 경제는 장기 균형상태에 있다)
14. (가), (나)에 들어갈 말을 바르게 연결한 것은?
15. 대부자금 시장의 수요는 투자로 구성되고, 공급은 민간저축과 정부저축(조세수입-정부지출)의 합으로 구성된다. 대부자금 시장에서 재정적자를 통해 정부지출을 증가시키는 경우,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대부자금 수요곡선과 공급곡선은 각각 실질이자율에 대해 우하향, 우상향하고, 초기에 정부는 균형재정상태에 있다)
16. Q(L ,K)=LαKβ인 콥-더글라스(Cobb-Douglas) 생산함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단, Q, L, K는 각각 생산량, 노동량, 자본량을 나타내며, α>0, β>0 이다)
17. 동질적 재화를 생산하는 기업 A와 B는 꾸르노(Cournot) 경쟁을 하고 있다. 이 복점시장의 역수요함수는 P=90-Q 이고, 두 기업의 비용함수는 각각 CA(qA)=10qA와 CB(qB)=20qB 이다. 꾸르노 모형의 균형에서 기업 A와 B의 생산량을 바르게 연결한 것은? (단, P는 시장가격, Q는 Q=qA+qB인 시장생산량이고, qA와 qB는 각각 기업 A와 B의 생산량이다)
18. 기업 A와 B는 자신의 생산량 결정에 있어서 대량 생산(H)과 소량 생산(L)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두 기업이 동시에 생산량을 한 번만 선택하는 게임의 보수행렬이 다음과 같을 때, 이 게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보수행렬의 괄호 안 첫 번째 숫자는 기업 A의 보수이고, 두 번째 숫자는 기업 B의 보수를 나타낸다)
19. 일인당 생산함수가 y=k1/2=인 솔로우(Solow) 성장모형에서, 저축률과 감가상각률은 각각 40%와 20%이다. 이 경제의 균제상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y와 k는 각각 일인당 생산량과 일인당 자본량이며, 인구증가와 기술진보는 없다)
20. 어느 경제의 본원통화가 600억 원, (법정지급준비금/요구불예금) 비율이 0.1, (현금/요구불예금) 비율이 0.5인 경우 통화승수와 통화량을 바르게 연결한 것은? (단, 민간은 현금 보유 외 나머지는 모두 요구불예금으로 저축하고, 은행은 법정지급준비금을 제외한 모든 예금을 대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