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완전경쟁시장에서 어떤 재화에 대한 기업 A의 한계비용 함수는 MC=8Q+300이다. 이 기업의 이윤극대화 생산량이 100일 때, 시장가격은? (단, Q는 이 기업의 생산량을 나타낸다)
2. ‘역선택’과 ‘도덕적 해이’는 정보의 비대칭성에 의해 발생하는 문제들이다. 건강보험과 관련된 다음의 두 가지 현상을 일컫는 용어로 바르게 연결한 것은? (순서대로 ㄱ, ㄴ)
3. 전체 인구가 1억 2천만 명, 노동(생산)가능인구가 1억 명, 경제 활동인구가 8천만 명, 취업자가 7천 2백만 명인 A국 경제의 고용률과 실업률은? (순서대로 고용률(%), 실업률(%))
4. 화폐공급을 증가시키는 요인만을 모두 고른 것은?
5. 기업 A의 현재 주식 가격은 이 기업의 기대 배당금 흐름을 할인한 현재가치들의 합인 5만 원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관련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6. 신용등급이 낮은 어떤 국내 기업이 1년 후 105만 원을 상환하는 회사채를 오늘 발행하였다. 현재 1년 만기 국채의 이자율이 연 5% 라고 할 때, 이 회사채의 현재 가격은?
7. 독점기업의 제3급 가격차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8. 기업 A와 B는 연구개발비에 대한 전략으로 대규모 예산과 소규모 예산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두 기업이 동시에 각각 한 전략을 한 번만 선택하는 게임의 보수행렬은 다음 표와 같다. 이 게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단, 표에서 왼쪽 금액은 기업 B, 오른쪽 금액은 기업 A의 보수를 나타낸다)
9. X재와 Y재만을 생산하는 A국과 B국 두 국가만이 존재한다고 하자. A국은 X재를 한 단위 생산하는 시간 동안 Y재를 2단위 생산할 수 있고, B국은 X재를 한 단위 생산하는 시간 동안 Y재를 4단위 생산할 수 있다. 이 비용조건이 항상 일정하다고 할 때, A국과 B국이 무역을 하기 위한 교역조건으로 가능하지 않은 것은?
10. 디플레이션(deflation)이 경제에 미치는 효과로 볼 수 없는 것은?
11. 폐쇄경제 하에서 총수요(AD)를 진작시키기 위한 정책만을 모두 고른 것은?
12. 다음 그림은 A재 시장의 사적 한계편익과 사적 한계비용을 각각 반영하는 수요와 공급곡선이다. 이 재화 생산을 위해서는 오염물질 발생이라는 부정적 외부효과가 생긴다. 이 시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3. 다음과 같은 국민소득결정모형에서 투자지출이 220, 정부지출이220, 조세수입이 250으로 각각 증가할 경우, 균형국민소득의 변화는?
14. 솔로우모형과 내생적 성장이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5. A국은 X재와 Y재만을 생산하는 국가이다. 두 재화의 생산량과 가격이 다음 표와 같을 때, A국의 기준년도 대비 비교년도의 실질 GDP 성장률은?
16. 다음은 피구효과에 대한 설명이다. ㉠~㉣에 들어갈 내용을 바르게 나열한 것은? (순서대로 ㉠, ㉡, ㉢, ㉣)
17. ㉠~㉢에 들어갈 내용을 바르게 나열한 것은? (순서대로 ㉠, ㉡, ㉢)
18. ㉠~㉢에 들어갈 내용을 바르게 나열한 것은? (순서대로 ㉠, ㉡, ㉢)
19. 완전경쟁시장에서 A재의 시장공급은 Qs=100+2P이고 시장수요는 Qd=400-P이다. 이 시장의 소비자에게 한 단위당 30의 종량세를 부과할 경우 새로운 균형에서 공급자가 받는 가격과 소비자가 지불하는 가격은? (단, Qs, Qd, P는 각각 A재의 공급량, 수요량, 가격이다) (순서대로 공급자가 받는 가격, 소비자가 지불하는 가격)
20. 현재 미국의 1년 만기 채권의 연 수익률이 4%이고 환율은 1,000원/$ 이며, 채권 만기 시 예상 환율은 1,030원/$이다. 유위험 이자율평가 (uncovered interest rate parity)가 성립하고 다른 조건은 변화가 없다고 할 때, 현재 한국의 1년 만기 채권의 연 수익률에 가장 가까운 값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