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 국가직 공무원 건축구조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0-04-10)

9급 국가직 공무원 건축구조
(2010-04-10 기출문제)

목록

1. 조적조에서 하나의 개구부와 그 직상에 있는 개구부 사이에 필요한 최소한의 수직거리[mm]로 옳은 것은?

  1. 300
  2. 400
  3. 500
  4. 600
(정답률: 60%)
  • 조적조에서 하나의 개구부와 그 직상에 있는 개구부 사이에 필요한 최소한의 수직거리는 600mm입니다. 이는 안전을 고려하여 최소한의 거리이며, 개구부와 직상 사이의 간격이 너무 가까우면 작업 중에 발을 다치거나 다른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600mm는 안전을 고려한 최소한의 거리로서 적절한 값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슬래브시스템을 설계할 때 직접설계법을 사용할 수 있는 제한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연속한 기둥중심선으로부터 기둥의 이탈은 이탈방향 경간의 최대 30%까지 허용할 수 있다.
  2. 각 방향으로 연속한 받침부 중심간 경간길이의 차이는 긴 경간의 1 / 3 이하이어야 한다.
  3. 활하중은 고정하중의 2배 이하이어야 한다.
  4. 각 방향으로 3경간 이상이 연속되어야 한다.
(정답률: 57%)
  • "연속한 기둥중심선으로부터 기둥의 이탈은 이탈방향 경간의 최대 30%까지 허용할 수 있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이탈방향 경간의 최대 30%까지 허용한다는 것은 직접설계법에서 허용되는 범위 중 하나이지만, 이것이 항상 적용될 수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따라서 실제 설계 시에는 이탈방향 경간의 특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범위를 결정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구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일반적으로 철근콘크리트 부재에 비해 처짐 제어에 유리하다.
  2. 포스트텐션 방식은 연속경간에는 적용이 불리하다.
  3. 부분 프리스트레싱은 설계하중이 작용할 때 부재 단면의 일부에 인장응력이 발생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4. 포스트텐션 방식에서는 단부 정착장치가 중요하다.
(정답률: 75%)
  • "포스트텐션 방식은 연속경간에는 적용이 불리하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포스트텐션 방식은 연속경간에도 적용이 가능하며, 오히려 연속경간에 적용하는 것이 경제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철근콘크리트보 설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강도감소계수를 고려한 설계강도가 하중계수를 고려한 소요 강도 이상이 되도록 설계한다.
  2. 보의 장기처짐은 압축철근비가 클수록 감소하며 또한 시간경과 계수값이 작을수록 감소한다.
  3. 보의 휨에 대한 최소인장철근비는 철근의 항복강도에 반비례한다.
  4. 강도감소 계수값은 휨 인장지배단면의 경우가 전단의 경우보다 작다.
(정답률: 67%)
  • "강도감소 계수값은 휨 인장지배단면의 경우가 전단의 경우보다 작다."가 옳지 않은 것입니다. 강도감소 계수값은 전단과 휨 모두에서 적용되며, 휨 인장지배단면과 전단지배단면 모두에서 동일하게 작용합니다. 따라서 이유를 설명할 필요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단근장방형보를 극한강도법에 의해 설계할 때 철근비를 평형 철근비의 75% 이하로 규제하는 이유로 옳은 것은?

  1. 보의 처짐 감소
  2. 보의 균열폭 감소
  3. 보의 연성파괴 유도
  4. 보의 강성유지
(정답률: 86%)
  • 단근장방형보를 극한강도법에 의해 설계할 때 철근비를 평형 철근비의 75% 이하로 규제하는 이유는 보의 연성파괴를 유도하기 위해서입니다. 연성파괴란 구조물이 일정한 변형을 유지하면서 파괴되는 것을 말합니다. 철근비가 너무 높으면 보가 과도하게 강해져서 변형이 일어나지 않고 갑자기 파괴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철근비를 낮추어 보의 연성파괴를 유도하여 안전성을 높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그림과 같은 철골보의 전단 중심 o점의 위치가 옳은 것은?

(정답률: 74%)
  • 정답은 ""입니다.

    전단 중심 o점은 철골보의 중심축과 수직으로 위치하며, 전단력이 최소가 되는 위치입니다. 이때 전단력은 가장 큰 모멘트를 가진 단면에서 발생하므로, o점은 단면 2와 4 사이의 중간 지점에 위치해야 합니다. 따라서 ""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모살용접의 총 길이가 120mm, 모살치수가 10mm인 경우 모살 용접의 유효단면적[mm2]으로 옳은 것은?

  1. 600
  2. 700
  3. 800
  4. 1,200
(정답률: 60%)
  • 모살용접의 유효단면적은 모살치수와 총 길이에 따라 결정된다. 유효단면적은 모살치수에 모살용접의 길이를 곱한 값이다. 따라서, 유효단면적 = 10mm x 120mm = 1,200mm2 이다. 따라서, 정답은 "1,2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기둥의 상단부와 하단부의 회전과 이동이 모두 구속되어 있을 경우 유효좌굴길이계수(K)의 이론값으로 옳은 것은?

  1. 0.5
  2. 0.7
  3. 1.0
  4. 2.0
(정답률: 69%)
  • 기둥의 상단부와 하단부의 회전과 이동이 모두 구속되어 있을 경우, 유효좌굴길이계수(K)의 이론값은 0.5이다. 이는 구속된 기둥이 이동할 때, 상단부와 하단부의 이동 거리가 같기 때문이다. 따라서, 유효좌굴길이계수(K)는 0.5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철골 모멘트저항 골조형식인 10층 사무용 건물에서 각 층의 층고가 3.5m일 경우 근사 기본진동주기[sec]로 옳은 것은?

  1. 1.0
  2. 1.2
  3. 1.5
  4. 2.0
(정답률: 42%)
  • 철골 모멘트저항 골조형식의 기본진동주기는 다음과 같이 근사적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T = 0.075H^0.75

    여기서, T는 기본진동주기(초), H는 건물의 높이(미터)입니다.

    따라서, 10층 사무용 건물의 높이는 10 x 3.5 = 35m입니다.

    이를 대입하면,

    T = 0.075 x 35^0.75
    ≈ 1.0 (초)

    따라서, 옳은 답은 "1.0"입니다. 이유는 건물의 높이에 따라 기본진동주기가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구조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일반상태에서는 균열이 생기지 않는다.
  2. 프리스트레스를 준 강재는 고응력 상태이므로 부식되기 어렵고 열에 강하다.
  3. 콘크리트의 수축 및 크리프와 PC강재의 릴랙세이션에 의해 콘크리트의 프리스트레스력이 저하된다.
  4. 고강도 강재와 고강도 콘크리트를 사용함으로써 부재가 슬림해질 수 있다.
(정답률: 64%)
  • "프리스트레스를 준 강재는 고응력 상태이므로 부식되기 어렵고 열에 강하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프리스트레스를 준 강재는 고응력 상태이기 때문에 부식되기 어렵고 열에 강하다는 것은 맞지만, 이는 오히려 부재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장점이 되기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지름이 500mm인 PHC 말뚝기초의 경우, 기초판의 연단에서 말뚝 중심까지의 간격[mm]으로 옳은 것은?

  1. 500 이상
  2. 625 이상
  3. 750 이상
  4. 1,000 이상
(정답률: 48%)
  • PHC 말뚝기초의 경우, 말뚝 중심에서 기초판의 연단까지의 간격은 일반적으로 말뚝 지름의 1.25배 이상으로 설계됩니다. 따라서, 지름이 500mm인 경우에는 625mm 이상이 되어야 합니다. 이는 말뚝의 안정성과 기초판의 강도를 보장하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기초 터파기 시 흙막이벽에 발생하는 현상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히이빙(heaving)
  2. 사운딩(sounding)
  3. 보일링(boiling)
  4. 파이핑(piping)
(정답률: 85%)
  • 사운딩은 기초 터파기 시 흙막이벽에 발생하는 현상이 아닙니다. 사운딩은 선박이나 수조 등의 용기 내부에서 액체나 기체의 높이나 부피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비입니다. 히이빙은 흙막이벽이 상승하는 현상, 보일링은 흙막이벽에서 물이 증발하여 기포가 발생하는 현상, 파이핑은 흙막이벽에서 물이 흐르면서 발생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목구조에서 큰보와 작은보를 연결하는데 주로 사용되는 철물은?

  1. 안장쇠
  2. 주걱볼트
  3. 양나사볼트
  4. 감잡이쇠
(정답률: 50%)
  • 안장쇠는 큰보와 작은보를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철물 중 가장 강력하고 견고한 구조물입니다. 이는 안장쇠가 보의 중앙에 위치하며, 보의 하중을 균등하게 분산시켜주기 때문입니다. 또한 안장쇠는 보의 변형을 최소화시켜주는 역할도 합니다. 따라서 안장쇠는 목구조에서 가장 중요한 부품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건축물의 내진구조계획 시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연성 재료의 사용
  2. 가볍고 강한 재료의 사용
  3. 약한 기둥-강한 보 시스템의 적용
  4. 단순하고 대칭적인 구조물의 형태
(정답률: 94%)
  • 약한 기둥-강한 보 시스템은 옳은 사항입니다. 이 시스템은 건축물 내진구조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 시스템은 기둥이 보다 약한 재료로 만들어지고, 보는 강한 재료로 만들어집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지진 등의 외부적인 힘에 대한 건축물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옳지 않은 것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목재의 보강철물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못은 경미한 곳 외에는 1개소에서 4개 이상을 15°정도 기울여 박는다.
  2. 듀벨은 볼트와 같이 사용하며 듀벨에는 인장력을 부담시키고, 볼트에는 전단력을 부담시킨다.
  3. 목재 볼트구멍은 볼트지름보다 2mm 이상 커서는 안된다.
  4. 꺾쇠의 갈구리는 끝 쪽에서 갈구리 길이의 1/3 이상의 부분 을네모뿔형으로 만든다.
(정답률: 73%)
  • "듀벨은 볼트와 같이 사용하며 듀벨에는 인장력을 부담시키고, 볼트에는 전단력을 부담시킨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듀벨은 목재를 보강하기 위해 사용되는 철물 중 하나로, 목재에 구멍을 뚫고 듀벨을 박아서 목재를 고정시킵니다. 이때 듀벨은 인장력을 부담하게 되는데, 이는 목재가 늘어나는 힘을 듀벨이 버티게 됩니다. 반면 볼트는 목재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면서도 전단력을 부담하게 됩니다. 이는 목재가 비틀리는 힘을 볼트가 버티게 됩니다. 따라서 듀벨과 볼트를 함께 사용하여 목재를 보강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옳은 설명입니다. 못은 경미한 곳 외에는 1개소에서 4개 이상을 15°정도 기울여 박는 것이 좋습니다. 목재 볼트구멍은 볼트지름보다 2mm 이상 커서는 안되며, 꺾쇠의 갈구리는 끝 쪽에서 갈구리 길이의 1/3 이상의 부분을 네모뿔형으로 만드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20mm 두께의 널을 박는 못의 최대 직경[mm] 및 적절한 길이 [mm]로 옳은 것은? (순서대로 최대 직경[mm], 적절한 길이[mm])

  1. 4.0 이하, 40
  2. 3.3 이하, 40
  3. 4.0 이하, 50
  4. 3.3 이하, 50
(정답률: 65%)
  • 널의 두께가 20mm이므로, 못의 최대 직경은 20mm 이하이어야 하며, 널을 충분히 고정시키기 위해 적절한 길이는 50mm 이상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3.3 이하, 50" 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최대 직경이나 적절한 길이 중 하나가 조건에 맞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목조 2층 마루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납작마루
  2. 홑마루
  3. 보마루
  4. 짠마루
(정답률: 59%)
  • 납작마루는 목재를 가로로 놓고 깎아서 만든 마루로, 다른 세 종류의 마루는 모두 세로로 놓은 목재를 사용하여 만든 것입니다. 따라서 납작마루는 목조 2층 마루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보강콘크리트 블록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통줄눈으로 시공하는 것이 좋다.
  2. 굵은 철근을 조금 넣는 것보다 가는 철근을 많이 넣는 것이 좋다.
  3. 벽의 세로근은 구부리지 않고 설치하도록 한다.
  4. 블록의 모든 구멍은 콘크리트로 메워야 한다.
(정답률: 67%)
  • "블록의 모든 구멍은 콘크리트로 메워야 한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이유는 구멍이 메워지지 않으면 블록 내부에 공기가 남아있어 수분이 쉽게 스며들어 건축물의 내구성을 약화시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모든 구멍은 콘크리트로 꼭 메워주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벽돌조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내력벽의 길이는 15m 이하로 한다.
  2. 내력벽 두께는 벽 높이의 1/30 이상으로 한다.
  3. 개구부 상호간, 또는 개구부와 대린벽의 중심과의 거리는 벽두께의 2배 이상으로 한다.
  4. 개구부 폭이 2.4m 이상인 경우에는 철근콘크리트 인방보를 설치한다.
(정답률: 34%)
  • 개구부나 대린벽은 벽의 구조적인 결함을 초래할 수 있는 부분이므로, 이러한 부분은 벽의 두께의 2배 이상의 거리를 두어야 안정적인 구조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조적조의 내진설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비보강 조적조는 지진에 대한 저항능력을 기대할 수 없으므로 내진성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보강 조적조로 설계해야 한다.
  2. 조적조의 지진하중 산정은 철근콘크리트구조 및 철골구조와 동일한 방법을 따른다.
  3. 바닥 슬래브와 벽체간의 접합부는 최대 1.2 m 간격의 적절한 정착기구로 연결되어야 한다.
  4. 보강 조적조의 전단벽은 벽체하부와 기초의 상단에 장부철근으로 연결 배근한다.
(정답률: 36%)
  • "비보강 조적조는 지진에 대한 저항능력을 기대할 수 없으므로 내진성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보강 조적조로 설계해야 한다."이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비보강 조적조도 내진설계가 가능합니다. 다만, 보강 조적조에 비해 내진성능이 떨어지기 때문에, 지진 위험이 높은 지역이나 중요한 건물 등에서는 보강 조적조를 사용하는 것이 더 안전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