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어류양식
1. 초어의 인공부화기로 쓰이는 아트킨스 부화기는 다음 중 어디에 속하는가?
2. 다음 중 조피볼락을 이용하여 종묘 생산을 할 때 출산 자어의 최초 수용밀도로 가장 적당한 것은?
3. 넙치 식용어 양성에 있어 먹이와 성장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4. 무지개송어의 경우, 사료 중에 Mg가 부족하면 나타나는 증세가 아닌 것은?
5. 양식대상종의 선택기준 중 생산성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6. 해산 어류 중 양식장의 수온이 10℃ 이하이거나 28℃ 이상의 환경에서 양식장 저면의 사니질속에 매몰하는 습성이 있는 어종은?
7. 참돔 가두리 양식장의 적지조건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8. 다음 중 순환여과식 양식법의 장점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9. 은연어의 해수양식 시 일일 먹이 공급 횟수로 가장 적합한 것은?
10. 다음 중 은어의 자어 및 치어를 사육하는데 가장 좋은 먹이생물이 될 수 있는 것은?
11. 다음 중 넙치 자어 사육에 가장 적합한 수온은?
12. 어류의 사료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3. 다음 복어류 중 현재 업계에서 축양 또는 양식 대상으로 가장 많이 택하고 있는 것은?
14. 다음 중 일반적인 양성과정이라고 감안 할 때 사육기간이 가장 짧은 것은?
15. 순환여과식 장치에서 배설물의 물리적 제거를 하는 곳은?
16. 잉어의 먹이 습성에 대한 설명의 잘못된 것은?
17. 다음 양식방법 중 가장 고전적인 방법은?
18. 해산 어류의 종묘 생산과정에서 Baker's Yeast 로 배양한 로티퍼를 먹이로 공급하는 경우 나타날 수 있는 현상에 해당되지 않은 것은?
19. 어류의 축양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20. 다음 주 실뱀장어가 가장 많이 소상하는 시간대는?
2과목: 무척추동물양식
21. 다음 중 치패 발생 장소가 가장 높은 지반인 것은?
22. 인공 종묘 생산을 할 때 채란용 어미의 선택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23. 굴 양식장의 바닥에 유기물의 분해가 불충분할 때 생기는 현상이 아닌 것은?
24. 다음 중 대하의 일반적인 주 교접시기는?
25. 조개류의 종묘 생산시에 사용되는 먹이 생물을 배양할 때 가장 좋은 배양법은?
26. 동해안에서 참가리비 부유유생의 주 출현시기는?
27. 대합의 종묘생산을 위한 채묘방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28. 다음 중 백합의 개체 중량에서 육질이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높은 크기는?
29. 우리나라에서 일반적으로 비단련 종굴을 양성시설에 수하하는 시기는?
30. 전복의 습성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31. 수온과 해삼의 관계를 가장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32. 상자형 가두리식 양성을 하는 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33. 다음 중 참전복의 유생사육 및 초기치패 관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4. 다음 중 전복의 산란 자극 방법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35. 대하의 유생을 4단계로 나눌 경우 2번째에 해당하는 것은?
36. 채롱망을 이용한 진주조개 양성시 적정 수하 깊이는?
37. 다음 중 굴 연승수하식 양성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원가 항목은? (단, 3 ha, 60 대 시설인 경우)
38. 청정해역이란 어떤 상태의 해역을 말하는가?
39. 우리나라의 남해안에서 전기 산란기 참굴의 부유유생이 가장 많이 나타나는 시기는?
40. 다음 고막(Anadara)류 중 수심이 제일 깊은 곳에서 서식하는 종류는?
3과목: 해조류양식
41. 김어장에서 해수시비법(海水施肥法)의 장점은?
42. 큰참김의 양식에 실패하기 쉬운 요인이 아닌 것은?
43. 다음 갈조류 중 포복지에 의하여 무성적으로 번식하는 것은?
44. 다시마의 포자낭에서 방출된 유주자의 크기는?
45. 다음 중 일반적인 조가비 사상체의 배양 시작 시기는?
46. 재생력을 이용하여 양식할 수 있는 해조류는?
47. 풀가사리의 좌에서 직립체가 발생하는 시기는?
48. 하구부근에 좋은 김 양식장이 많았던 이유와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
49. 해수 유동이 양식 김에 주는 영향이 아닌 것은?
50. 미역양식장의 적절한 양성시설 수심은?
51. 다시마를 어미줄에 착생시키는 밀도는 수확시의 m 당 몇 개체를 기준으로 하는가?
52. 다시마 양식 방법 중 인공 채묘하여 실내에서 배양액 속에서 수온과 조도를 조절하면 약 45일간 수조 배양을 한 후에 바다 수온의 하강 시기에 이식하여 양성하는 양식은?
53. 조석과 기상조건으로 인한 김이 갯병이 가장 많을 때는?
54. 10월 중에 김 양식장 주변에 해파리 대군이 나타나면 어떤 일이 일어나는가?
55. 다음 중 김발에 붙기 시작할 때 발의 저노출선에 며칠간 고정시켜 주면 구제되는 김의 해적생물은?
56. 우량 품질의 마른 김 제품을 만들기에 적합한 생장 일령은?
57. 공장폐수가 유입된 어장에서 김의 암종병이 발생하는 조건은?
58. 미역 가이식의 필요성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59. 미역의 아포체 시기 이후의 생장 방법은?
60. 다음 해조류 중 포자체와 배우자체가 동형인 것은?
4과목: 수산생물
61. 새우류의 발생단계가 아닌 것은?
62. 다음 해역 중 순생산량이 높은 것부터 바르게 정리된 것은?
63. 어류의 성장에 관한 내용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64. 우뭇가사리(Gelidium amansii)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65. 대형 플랑크톤(Macroplankton)의 크기는?
66. 산란을 위하여 바다에서 강으로 올라오는 습성을 갖는 어종은?
67. 다음 중 일생동안 부유생활을 하는 것은?
68. 일반적인 해조류의 주된 영양소 흡수기관은?
69. 우뭇가사리의 생태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70. 생물학적 최소형(Biological minimum size)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건은?
71. 갑각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72. 생태계 구성 요수 중에서 분해자는?
73. 다음 중 가장 유독한 적조생물은?
74. 다음 해산 식물 중 갈조류에 속하는 것은?
75. 다음 어류 중 연지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76. 해양생물이 부력을 증가시기기 위한 수단이 아닌 것은?
77. 수중의 먹이연쇄에 관한 다음의 설명 중 가장 적합한 것은?
78. 다음 중 적조 발생 방지 대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79. 분류학상 따개비가 속하는 것은?
80. 다음 새우 중 분류학적으로 연관관계가 가장 먼 것은?
5과목: 수질분석 및 양식생물
81. 오염된 시수를 채수한 경우 몇 시간 이내에 분석을 마쳐야 하는가?
82. 다음 중 수중의 암모니아 측정에 이용하는 방법은?
83. 시료 20 mL를 사용하여 어떤 성분을 정량한 결과 28㎍이 함유되어 있었다. 이 성분의 ppm 농도는? (단, 시료비중은 1로 본다)
84. 채수시 물과 공기의 접촉을 피해야 하는 측정 항목은?
85. 복어류의 아가미에 기생하여 흡혈을 함으로서 피해를 입히는 충으로 충체는 가늘고 긴 방추형이며 뒤 끝의 고착반에 4쌍의 파악기를 가지고 있는 형태의 충은?
86. 어류의 단백질 분해 이후 분해산물의 배설 형태는?
87. 무지개 송어의 비브리오병 증세가 아닌 것은?
88. 송어의 복부가 부풀어 오르고, 천천히 헤엄치는 개체가 발견되어 해부하여 보니 위가 심하게 확장되어 있고, 위 속에 회갈색의 액체와 기포가 많이 들어있었다면 그 원인으로 생각되는 것은?
89. 무지개 송어가 virus성 질병에 감염되었을 때 폐사율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는 방법은?
90. 해수의 투명도를 측정하는데 이용하는 기구는?
91. 전기 전도도를 이요하여 염분을 측정할 때 측정치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92. 시안화물 측정용 시료수를 사정에 의하여 채수 다음 날 분석을 하고자 한다. 시료수에 어떤 처리를 해두는 것이 좋은가?
93. 채수현장에서 미생물 활동 억제제를 사용하였다면 다음 중 어느 항목을 정확히 측정할 수 없는가?
94. 체내에 투입되어 특정한 질병 원인체에 대응하는 항체를 체내에 생성시켜 특정 질병에 감염되는 것을 예방할 목적으로 사용되어지는 생물학적 제제는?
95. 뱀장어의 아가미에 기생하는 흡충은?
96. 담수에 기생하는 요각류 중 Ergasilus가 닻벌레에 비해 사망률이 높은 이유로 가장 적절한 것은?
97. 다음 약제 중 항생물질이 아닌 것은?
98. 어류에 비타민 B가 부족한 사료를 투여했을 때, 나타나는 결핍증과 관계가 없는 것은?
99. 종점판정에 pH 지사약을 쓴 용량분석법은?
100. 백점병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