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 지방직 공무원 조림 필기 기출문제복원 (2020-06-13)

9급 지방직 공무원 조림
(2020-06-13 기출문제)

목록

1. 묘목의 나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2-1묘:파종상에서 2년 키운 후에 이식하여 1년을 더 키운 3년생 실생묘
  2. 2-2-2묘:파종상에서 2년, 이식하여 2년, 두 번째 이식해서 2년을 키운 6년생 실생묘
  3. 1/1묘:파종한 지 1년이 경과되어 지상부와 지하부가 모두 1년생인 삽목묘
  4. 1/2묘:뿌리의 나이가 2년, 줄기의 나이가 1년인 삽목묘
(정답률: 62%)
  • 1/1묘:파종한 지 1년이 경과되어 지상부와 지하부가 모두 1년생인 삽목묘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이유는 묘목의 나이는 뿌리와 줄기의 나이를 합한 것으로 나타내는데, 이 설명에서는 지하부의 나이가 1년이라고 하지만 뿌리의 나이는 언급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설명은 불완전하고 모호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천연갱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개벌작업법은 제외한다)

  1. 수종선정의 오류로 인한 조림 실패 가능성이 적다.
  2. 수종이 혼효하기 때문에 지력 유지에 불리하다.
  3. 인공단순림보다 각종 위해에 대한 저항성이 크다.
  4. 치수는 모수의 보호를 받아 안정된 생육환경에 놓인다.
(정답률: 80%)
  • 수종이 혼효하기 때문에 지력 유지에 불리하다는 것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수종이 혼효하면 생태계의 다양성이 감소하고, 병해충 등의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는 등의 문제가 있을 수 있지만, 지력 유지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도태간벌을 하기 위한 대상지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간벌 실행 전에 제벌 등의 무육작업을 실시한 임분
  2. 우세목의 평균 수고가 10m 이상인 임분
  3. 지위가 ‘중’ 이상으로 임목의 생육상태가 양호한 임분
  4. 장벌기에 임목생장이 양호한 소경재 생산이 가능한 임분
(정답률: 67%)
  • 장벌기에는 나무를 베어내기 때문에, 임목생장이 양호한 소경재 생산이 가능한 임분은 대상지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은 갱신벌의 종류에 따른 일사량, 근계경합, 종자공급력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가)~(라)에 들어갈 내용을 바르게 연결한 것은? (순서대로 (가), (나), (다), (라))

  1. 산벌작업, 모수림작업, 개벌작업, 택벌작업
  2. 택벌작업, 산벌작업, 모수림작업, 개벌작업
  3. 모수림작업, 개벌작업, 택벌작업, 산벌작업
  4. 개벌작업, 택벌작업, 산벌작업, 모수림작업
(정답률: 65%)
  • (가) 일사량이 많은 지역에서는 (나) 근계경합이 심하고 (다) 종자공급력이 높으며, (라) 일사량이 적은 지역에서는 근계경합이 적고 종자공급력이 낮다.
    갱신벌은 산림조성 작업 중 하나로, 산림생태계의 안정성을 유지하고 산림자원을 보전하기 위해 실시하는 작업이다. 각 작업의 설명은 다음과 같다.
    - 산벌작업: 산림에서 필요한 나무를 제외한 나무를 제거하여 산림생태계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작업
    - 모수림작업: 산림에서 필요한 나무만 남기고 나무를 제거하여 산림생태계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작업
    - 개벌작업: 산림에서 모든 나무를 제거하여 노지를 만드는 작업
    - 택벌작업: 산림에서 필요한 나무를 제외한 나무를 제거하여 노지를 만드는 작업
    따라서, 갱신벌 작업에서는 산림생태계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나무를 제외한 나무를 제거하는 작업이 우선시되므로, 산벌작업과 모수림작업이 먼저 실시되고, 그 후 필요한 경우에만 개벌작업이나 택벌작업이 실시된다. 따라서 정답은 "산벌작업, 모수림작업, 개벌작업, 택벌작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채종원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풍매차대로 조성된 것을 영양계채종원이라 한다.
  2. 동일 클론은 관리가 쉽도록 인접하게 배치한다.
  3. 1세대 채종원을 유전간벌하면 1.5세대 채종원이 된다.
  4. 채종원의 세대가 진전되면 개량 효과가 낮아진다.
(정답률: 65%)
  • 1세대 채종원을 유전간벌하면 1.5세대 채종원이 된다는 이유는, 유전학적으로 1세대 채종원은 부모의 유전자를 모두 받아서 다양성이 낮기 때문에, 다양성을 높이기 위해 다른 채종원과 교배하여 1.5세대 채종원을 얻는 것이 효과적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대기 오염물질 중 활엽수 잎 뒷면에 은회색의 광택이 나면서 나중에 청동색으로 변하게 하는 것은?

  1. NOx
  2. O3
  3. PAN
  4. SO2
(정답률: 71%)
  • 은회색의 광택이 나면서 청동색으로 변하는 것은 활성 산소와 반응하여 생성되는 PAN (Peroxyacetyl nitrate)이다. PAN은 대기 오염물질 중 하나로, 자외선과 NOx, VOCs 등이 반응하여 생성된다. 이러한 PAN은 활엽수의 잎 뒷면에 은회색의 광택을 나타내며, 나중에 청동색으로 변하는 특징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산불이 동해안 지역의 숲 생태계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산불 피해 직후에는 토사 유출이 극심하고, 수년이 지나면 안정화되는 경향이 있다.
  2. 산불 피해 지역은 수분침투성이 증가하여 산불이 나지 않은 지역보다 저수능력이 증가한다.
  3. 산불 후 신갈나무, 굴참나무 등 참나무류의 맹아 발생이 늘어나는 경향을 보인다.
  4. 지표화의 경우 산림토양의 표면을 태우기 때문에 대경목의 뿌리는 피해가 적다.
(정답률: 75%)
  • "산불 피해 지역은 수분침투성이 증가하여 산불이 나지 않은 지역보다 저수능력이 증가한다." 이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아니다.

    이유: 산불이 발생하면 지표층이 타서 수분침투성이 감소하게 되지만, 산불 피해 지역에서는 토사 유출이 감소하고 지표층이 안정화되면서 수분침투성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산불 피해 지역은 산불이 나지 않은 지역보다 저수능력이 증가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화학적 덩굴제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화학적 덩굴제거 작업은 대상지 내 덩굴의 종류와 양을 고려하여 연 5~6회 실시한다.
  2. 화학 약제 처리 후 24시간 이내에 강우가 예상되면 약제 처리 작업을 중지한다.
  3. 디캄바액제는 고온(30℃ 이상)에서 증발하므로 주변 식물에 약해를 일으킬 수 있다.
  4. 약제 도포기 사용시 칡의 주두부에서 10cm 이내 줄기에 도포하되 줄기 2/3둘레까지 도포한다.
(정답률: 57%)
  • "화학적 덩굴제거 작업은 대상지 내 덩굴의 종류와 양을 고려하여 연 5~6회 실시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화학적 덩굴제거 작업의 빈도는 대상지 내 덩굴의 종류와 양, 환경 조건 등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정확한 빈도를 제시할 수 없다. 따라서, 작업을 실시할 때는 상황에 맞게 적절한 빈도로 실시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우리나라로 도입된 외래수종과 원산지가 옳게 짝 지은 것은?

  1. Alnus firma-일본
  2. Larix kaempferi-호주
  3. Picea abies-미국
  4. Pinus rigida-유럽
(정답률: 62%)
  • Alnus firma은 일본산 나무이기 때문에 "Alnus firma-일본"이 옳은 짝지어진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수목에 대한 가해 형태가 다른 산림해충으로만 묶은 것은?

  1. 오리나무잎벌레, 솔나방
  2. 소나무좀, 박쥐나방
  3. 잣나무넓적잎벌, 미국흰불나방
  4. 집시나방, 솔수염하늘소
(정답률: 57%)
  • 집시나방과 솔수염하늘소는 모두 나무 안으로 침입하여 나무를 파괴하는 내부해충이며, 그 방식이 다른 산림해충들과는 다르기 때문에 같은 그룹으로 묶지 않은 것입니다. 반면, 다른 보기에 있는 오리나무잎벌레나 솔나방은 나무의 잎이나 껍질을 먹어서 나무를 파괴하는 외부해충으로, 이들은 같은 가해 형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같은 그룹으로 묶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우량묘목의 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이력이 확실한 채종원에서 생산된 종자로 육성하여 우량한 유전적 품질을 지닌 것
  2. 전체적으로 양호한 발달 상태와 왕성한 수세를 지니면서 조직이 단단하고 충실할 것
  3. 주지가 세력이 강하고 곧게 자라면서 측아가 정아보다 우세한 것
  4. 지상부와 지하부가 상호 균형을 이루어 T/R율이 정상 범위에 있는 것
(정답률: 88%)
  • "주지가 세력이 강하고 곧게 자라면서 측아가 정아보다 우세한 것"이 옳지 않은 조건이다. 이는 나무의 생장 방향과 관련된 것으로, 우량묘목은 주지와 측아의 성장이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 따라서 주지가 측아보다 우세하면 나무의 균형이 깨져 우량묘목으로 인정받지 못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오리나무류에 공생하는 질소고정 미생물은?

  1. Azotobacter
  2. Clostridium
  3. Frankia
  4. Rhizobium
(정답률: 65%)
  • 오리나무류는 뿌리에 작은 종양을 형성하여 질소고정 미생물과 공생합니다. 이 중에서 Frankia는 오리나무류와 공생하여 질소를 고정하는 미생물입니다. 이 미생물은 오리나무류와 함께 살아가며, 오리나무류가 제공하는 환경을 이용하여 대량의 질소를 고정합니다. 이러한 협력 관계는 오리나무류가 생존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독립목으로 성숙했을 때 수형이 원추형으로 발달하는 수종은?

  1. Celtis sinensis
  2. Cryptomeria japonica
  3. Platanus occidentalis
  4.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정답률: 66%)
  • Cryptomeria japonica는 독립목으로 성숙했을 때 수형이 원추형으로 발달하는 수종이다. 이는 수종의 성장 패턴과 관련이 있다. 일반적으로 원추형 수형은 수종이 높이 성장하는 것보다 가지를 많이 내려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발생한다. 따라서 Cryptomeria japonica는 가지를 많이 내리는 성장 패턴을 보이기 때문에 원추형으로 발달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묘목식재 방법을 바르게 연결한 것은? (순서대로 (가), (나))

  1. 봉우리식재, 일반치식
  2. 일반치식, 봉우리식재
  3. 천식, 심식
  4. 심식, 천식
(정답률: 66%)
  • (가) 봉우리식재: 봉우리나 언덕의 꼭대기에 나무를 심는 방법으로, 햇빛과 바람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며, 뿌리가 깊게 자라서 안정적인 생육을 할 수 있다.

    (나) 일반치식: 평지나 경사지에 나무를 일정한 간격으로 심는 방법으로, 뿌리가 얕게 자라서 토양의 수분과 영양분을 빠르게 흡수할 수 있다.

    정답은 "봉우리식재, 일반치식"이다. 봉우리식재는 안정적인 생육을 위해 깊게 자라는 뿌리를 필요로 하며, 일반치식은 빠른 성장을 위해 얕게 자라는 뿌리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봉우리식재와 일반치식은 서로 보완적인 역할을 하기 때문에 함께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상체작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소나무류, 낙엽송류는 3년생 이상에서 상체하는 것이 좋다.
  2. 봄이 상체시기로 알맞으며 가을상체는 한해 또는 건조 피해를 입기 쉽다.
  3. 주로 직근만 발달하는 수종은 측근이 발달한 후에 상체하는 것이 좋다.
  4. 묘목은 클수록, 땅이 비옥할수록 소식한다.
(정답률: 60%)
  • "묘목은 클수록, 땅이 비옥할수록 소식한다."는 상체작업과는 관련이 없는 내용이므로 옳지 않은 것이다.

    "소나무류, 낙엽송류는 3년생 이상에서 상체하는 것이 좋다."는 이들 수종이 상체 작업에 적합한 시기가 3년생 이상이기 때문이다.

    "봄이 상체시기로 알맞으며 가을상체는 한해 또는 건조 피해를 입기 쉽다."는 상체 작업 시기와 관련된 내용으로, 봄이 가장 적합하며 가을에 상체 작업을 하면 건조 피해를 입을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이다.

    "주로 직근만 발달하는 수종은 측근이 발달한 후에 상체하는 것이 좋다."는 상체 작업 시기와 관련된 내용으로, 직근만 발달하는 수종은 측근이 발달한 후에 상체 작업을 하면 더욱 균형잡힌 생장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적지적수를 위한 토양 조건과 수종을 옳게 짝 지은 것은?

  1. 성숙사양토-오리나무류, 싸리나무
  2. 깊은 토심-황철나무, 아까시나무
  3. 완경사지-전나무, 가문비나무
  4. 염기성토양-회양목, 측백나무
(정답률: 49%)
  • 적지적수를 위한 토양 조건은 염기성토양이며, 이는 회양목과 측백나무가 잘 자라는 토양 조건입니다. 회양목은 염기성 토양에서 잘 자라는 나무로, 측백나무도 염기성 토양에서 잘 자라는 나무입니다. 따라서, 염기성토양-회양목, 측백나무가 옳은 짝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른 속(genus)에 속하는 수종은?

  1. 구상나무
  2. 분비나무
  3. 전나무
  4. 종비나무
(정답률: 65%)
  • 다른 세계수속(genus)에 속하는 수종은 "구상나무", "분비나무", "전나무"이다. 따라서, "종비나무"는 이 보기에서 다른 속에 속하는 유일한 수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작업종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모두 고르면?

  1. ㄱ, ㄴ
  2. ㄴ, ㄷ
  3. ㄷ, ㄹ
  4. ㄱ, ㄹ
(정답률: 74%)
  • - ㄱ: 작업종이 "톱날"이기 때문에, 톱으로 나무를 자르는 작업을 수행할 때 필요한 작업종이다.
    - ㄴ: 작업종이 "안전모"이기 때문에, 높은 곳에서 작업을 할 때 머리를 보호하기 위한 작업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낙엽활엽수에서의 탄수화물 이동과 저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단풍나무와 자작나무의 사부 수액에는 과당이 다량으로 존재한다.
  2. 목부수액은 과실이나 눈에 탄수화물과 무기양분을 공급하는 중요한 수단이다.
  3. 사부조직을 통해 운반되는 탄수화물은 근원적으로 비환원당이다.
  4. 전분은 잎의 경우 광합성에 의해 세포질에 직접 축적된다.
(정답률: 53%)
  • 낙엽활엽수에서의 탄수화물 이동과 저장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사부조직을 통해 운반되는 탄수화물은 근원적으로 비환원당이다." 이다. 이유는 사부조직은 식물체 내에서 탄수화물을 운반하는 역할을 하며, 이때 운반되는 탄수화물은 대부분 비환원당인 채로 운반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수목의 종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사이토키닌(cytokinin)은 배유발달에 필요한 생장조절물질 중 하나이다.
  2. 아브시스산(abscisic acid)은 종자 휴면을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3. 물푸레나무 종자는 미숙배 형태를 가진다.
  4. 침엽수는 수정이 이루어질 때 배와 배유가 동시에 형성된다.
(정답률: 70%)
  • "침엽수는 수정이 이루어질 때 배와 배유가 동시에 형성된다."는 옳은 설명이다.

    사이토키닌은 배유발달에 필요한 생장조절물질 중 하나이며, 아브시스산은 종자 휴면을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물푸레나무 종자는 미숙배 형태를 가지지만, 이는 해당 종자에만 해당되는 것이며 모든 수목의 종자가 그렇지는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