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소방학
1. 가연물에 점화원을 접촉했을 때 연소가 시작되는 최저온도는?
2. 연소의 4요소 중 가연물의 구비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3. 고체의 연소에서 나프탈렌의 연소 형태는?
4. 다음에서 설명하고 있는 연소가스는?
5. 건물화재 발생 시 가시거리와 관계된 것으로 연기농도를 나타내는 척도는?
6. 폭연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7. 위험물의 소화방법으로 옳은 것은?
8. 열전달 방법에서 복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9.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제2류 위험물이 아닌 것은?
10. 위험물안전관리법상 제조소등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1.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위험물의 품명과 지정수량의 연결로 옳은 것은?
12. 소방기본법에서 정하고 있는 생활안전활동이 아닌 것은?
13. 화재의 정의 및 소화기의 적응 화재별 표시에 관한 내용이다. ( )에 들어갈 것으로 옳은 것은?
14. 다음에서 설명하고 있는 현상은?
15. 소방기본법령상 소방자동차 전용구역 방해행위의 기준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6. 질소(N2) 50 %와 아르곤(Ar) 50 %가 혼합된 불활성기체 소화약제는?
17. 물소화약제의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18. 이산화탄소 소화약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9. 할로겐화합물 소화약제가 아닌 것은?
20. 소화방법의 연결이 옳은 것은?
21. 제3종 분말소화약제의 소화효과로 옳지 않은 것은?
22.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상 피난안전구역의 설치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23.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에서 명시하고 있는 불연재료가 아닌 것은?
24. 건축법령상 방화문의 구분에 관한 내용이다. ( )에 들어갈 것으로 옳은 것은?
25. 화재의 예방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상 특정소방대상물(소방안전관리대상물은 제외한다)의 관계인과 소방안전관리대상물의 소방안전관리자가 수행하는 업무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
26. 액화석유가스(LPG) 및 액화천연가스(LNG)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7. 인명구조기구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28. 정전기 방지대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9. 유도등 및 유도표지의 화재안전성능기준(NFPC 303)상 통로유도등의 설치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30.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상 건축물 내부에 설치하는 피난계단의 구조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31. 화재 발생 시 사람이 건축물 내에서 외부로 긴급히 뛰어내릴 때 충격을 흡수하여 안전하게 지상에 도달 할 수 있도록 포지에 공기를 주입하는 구조로 되어 있는 피난기구는?
32. 자동화재탐지설비 및 시각경보장치의 화재안전성능기준(NFPC 203)상 부착높이 17 m에 설치할 수 없는 감지기는?
33. 누전경보기에서 누설전류를 검출하는 것은?
34. 차동식 스포트형 공기식 감지기의 구조 중 완만한 온도상승에 대하여 동작하지 않도록 하는 구조는?
35. 자동화재탐지설비의 구성 요소가 아닌 것은?
36. 비상방송설비의 화재안전성능기준(NFPC 202)상 확성기 음성입력 기준으로 옳은 것은?
37. 소화설비 중 감지기 동작에 의해 작동하는 것은?
38. 이산화탄소소화설비의 화재안전성능기준(NFPC 106)상 이산화탄소 소화약제의 방출을 일시적으로 지연시킬 수 있도록 수동식 기동장치 부근에 설치하는 장치는?
39. 감지기의 동작원리상 방사선원이 포함되어 있는 감지기는?
40. 옥내소화전설비 가압송수장치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