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범죄학
1. '죄를 지은 사람은 반드시 처벌된다.'는 고전주의 범죄학의 형벌 원리는?
2. 머튼(Merton)의 아노미 이론에서 문화적 목표와 제도화된 수단을 모두 거부하고 새로운 것들로 대체하는 적응양식은?
3. 범죄자의 심리나 인성에 따른 문제 중 성격이 다른 것은?
4. 국외자(Outsider)라는 낙인을 주장한 학자는?
5. 버제스(Burgess)의 동심원이론에서 사회해체상태가 가장 심한 지역은?
6. 생물학적 범죄 연구 중 유전과 관련되지 않는 것은?
7. 일차적 문화갈등과 이차적 문화갈등을 주장한 갈등주의 범죄학자는?
8. 범죄행동의 가변성과 역동성을 강조한 이론은?
9. 갓프레드슨과 허쉬(Gottfredson & Hirschi)의 일반이론(General Theory)에서 연령범죄곡선(Age-Crime Curve)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0. 샘슨과 라웁(Sampson & Laub)의 생애과정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1. 범죄피해조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2. 다음이 설명하는 범죄와 법에 대한 시각은?
13. 범죄학의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4. 다음과 관련성이 없는 것은?
15. 공식범죄통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6. 범죄학자 A는 교도소 수용자 문화를 연구하기 위해 일정 기간 교도소에서 수감생활을 하였다. 범죄학자 A가 수행한 연구방법은?
17. 다음이 설명하는 개념은?
18. 상황적 범죄예방의 주요 전략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9. 지역사회의 무질서를 나타내는 항목 중 성격이 다른 것은?
20. 뉴먼(Newman)의 방어공간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21. 재산 범죄에 해당하는 것은?
22. 아바딘스키(Abadinsky)가 정의한 조직범죄의 특성이 아닌 것은?
23. 원치 않는 반복적인 신체적, 시각적 접근 및 의사소통을 통해 공포감을 불러일으키는 범죄유형은?
24. 사건 사이에 냉각기를 가지고 다수의 사람을 살해하는 유형은?
25. 사이버범죄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26. 그로스와 번바움(Groth & Birnbaum)이 주장한 강간 유형 중 다음 특성을 가지는 것은?
27. 사이크스와 맛짜(Sykes & Matza)가 주장한 중화기술이 아닌 것은?
28. 마약류 주생산지인 황금의 초생달(Golden Crescent) 지역 국가가 아닌 것은?
29. 서덜랜드(Sutherland)의 차별적 접촉이론에서 접촉 효과의 영향 요인이 아닌 것은?
30. 홈즈와 드버거(Holmes & DeBurger)의 연쇄살인범 유형 중 피해자에 대한 정복감과 힘의 우위를 얻기 위한 것은?
31. 사회 내 처우에 해당하는 것은?
32. 형벌의 종류 중 자유형에 해당하는 것은?
33. 생활양식이론이 강조한 범죄피해자의 특성이 아닌 것은?
34. 회복적 사법에 기초한 프로그램이 아닌 것은?
35. 부모의 가부장적 양육행태가 범죄발생의 성별차이를 설명한다고 주장하는 이론은?
36. 수용자의 사회복귀를 목적으로 자율성과 주체성을 존중하는 교정처우모델은?
37. 『2023 범죄백서』에서 제시한 우리나라 범죄발생 현상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8. 『2023 범죄백서』에 제시된 고령자 범죄 발생추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9. 속칭 ‘물뽕’으로 불리며 데이트 강간 등의 범죄에 사용되고 있는 약물은?
40. 경미범죄 및 그에 관한 형사정책을 설명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