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법학개론
1. 헌법상 비상적 헌법보호수단에 해당하는 것은?
2. 헌법상 신체의 자유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3. 헌법이 규정하고 있는 사회적 기본권은?
4. 헌법상 국회의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5. 헌법상 대통령의 헌법기관 구성 권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6. 형법상 형을 감경해야 하는 자의 행위에 해당하는 것은?
7. 근로기준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8. 산업재해보상보험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9. 사회보장기본법상 국가ㆍ지방자치단체 및 민간부문의 도움이 필요한 모든 국민에게 복지, 보건의료, 교육, 고용, 주거, 문화, 환경 등의 분야에서 인간다운 생활을 보장하고 상담, 재활, 돌봄, 정보의 제공, 관련 시설의 이용, 역량 개발, 사회참여 지원 등을 통하여 국민의 삶의 질이 향상되도록 지원하는 제도는?
10. 국민연금법상 급여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1. 사법(私法)상의 권리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2. 권리의 작용에 따른 분류로서 형성권에 해당하는 것은?
13. 권리의 원시취득(原始取得) 사유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4. 민법상 취소할 수 있는 법률행위에 관한 취소권자의 행위 중 '법정추인' 사유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5. 민법상 부동산의 사용, 수익을 목적으로 하는 권리를 객체로 하여 설정할 수 없는 담보물권은?
16. 민법상 당사자 일방이 상대방에게 무상으로 사용, 수익하게 하기 위하여 목적물을 인도할 것을 약정하고 상대방은 이를 사용, 수익한 후 그 물건을 반환할 것을 약정함으로써 효력이 생기는 전형계약은?
17. 甲이 경비업자 乙과 도급계약의 형식으로 경비계약을 체결하였다. 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8. 甲은 경비업자 乙과 경비계약을 체결하였으나, 乙이 고용한 경비원 丙의 경비업무수행 중 과실로 甲의 아들 丁이 사망하는 손해가 발생하였다. 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9. 민사소송의 주체가 될 수 있는 일반적 능력으로서 민법상 권리능력에 대응하는 것은?
20. 경비업자의 채무불이행의 유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21. 형법상 재물을 객체로 하는 범죄가 아닌 것은?
22. 형사소송의 지도이념이 아닌 것은?
23. 형사소송의 주체에 해당하는 것은?
24. 형사소송법상 현행범인으로 보는 경우에 해당하는 사람을 모두 고른 것은?
25. 형사소송법상 공소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6. 형사소송법상 상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7. 행정기관에 관한 설명이다. ( )에 들어갈 올바른 용어는?
28. 행정행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9. 행정기관이 사인으로부터 행정상 필요한 자료나 정보를 수집하기 위하여 행하는 일체의 행정작용은?
30. 어떤 행정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은 그 목적달성에 유효ㆍ적절하고 또한 가능한 한 최소침해를 가져오는 것이어야 하며 아울러 그 수단의 도입으로 인한 침해가 의도하는 공익을 능가하여서는 아니 된다는 헌법상의 원칙은?
31. 법과 도덕을 비교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32. 법원(法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3. 다음 중 법의 분류가 옳지 않은 것은?
34. 법의 적용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5. '자전거 통행금지'라는 게시판이 있는 경우, 오토바이도 통행하지 못한다고 해석하는 것은 법의 해석방법 중 어디에 해당하는가?
36. 상법상 회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7. 상법상 주식회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8. 회사의 구성원 중 무한책임사원이 있는 회사는?
39. 인보험계약에서 보험회사로부터 보험금을 받을 자로 보험계약상 지정을 받은 자에 해당하는 것은?
40. 보험계약의 성질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과목: 민간경비론
41. 민간경비와 공경비의 개념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42. 민간경비와 공경비를 구분하는 기준으로서 경비서비스 항목이 아닌 것은?
43. 민간경비의 이론적 배경 중 공동화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44. 민간경비 활동에 있어서 '서비스주체의 다원화'에 초점을 맞추고 등장한 이론은?
45. 민간경비와 공경비의 관계에 관한 다음 대화 중 옳은 설명을 한 사람은?
46. 민간경비의 개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47. 고대 민간경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48. 다음의 내용에 해당하는 민간경비와 관련된 인물은?
49. 일본의 민간경비에 관한 내용 중 옳지 않은 것은?
50. 우리나라의 민간경비에 관한 내용 중 옳지 않은 것은?
51. 경비원 등의 교육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단, 신임교육 면제 대상자는 제외)
52. 일반경비원 신임교육 제외 대상이 아닌 사람은?
53. 자체경비와 계약경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54. 최근 민간경비의 치안환경변화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55. 방범경찰활동의 한계요인으로 옳지 않은 것은?
56. 국가경찰과 자치경찰의 조직 및 운영에 관한 법률에 규정된 자치경찰사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57. 민간에 의한 방범활동으로 옳지 않은 것은?
58. 민간경비원의 법적 지위와 권한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59. 다음에 해당하는 민간경비 조직편성의 원리는?
60. 각국의 민간경비제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61. 경비업법령상 경비지도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62. 경비업법령상 일반경비지도사 시험에 합격하고 받아야 하는 기본교육 과목으로 옳은 것은?
63. 경비위해요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64. 경비의 중요도에 따른 경비수준에 관한 설명 중 ( )에 들어갈 용어로 옳은 것은?
65. 경비계획 수립의 순서로 옳은 것은?
66. 외곽감지시스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67. 외곽경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68. 핀날름쇠 자물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69. 시설물 내부의 경비요령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70.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71. 컴퓨터 부정조작의 유형으로 옳지 않은 것은?
72. 다음 컴퓨터 범죄의 특성에 해당하는 것은?
73. 컴퓨터 범죄의 유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74. 컴퓨터 시스템의 관리적 안전대책으로 옳은 것은?
75. 다음의 설명에 해당하는 범죄로 옳은 것은?
76. 정보보호의 기본원칙으로 옳지 않은 것은?
77. 융합보안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78. 청원경찰과 민간경비제도의 이원화에 따른 문제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79. 우리나라 민간경비업의 발전방안으로 옳지 않은 것은?
80. 경찰과 민간경비의 협력증진방안으로 옳지 않은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