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목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7-03-04)

토목기사
(2007-03-04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응용역학

1. 그림과 같이 반지름 r인 원에서 r을 지름으로 하는 작은 원을 도려낸, 빗금친 부분의 도심의 x좌표는?

(정답률: 77%)
  • 도심은 원의 중심과 작은 원의 중심을 연결한 선분의 중점에 위치한다. 따라서, 도심의 x좌표는 원의 중심과 작은 원의 중심의 x좌표의 평균값과 같다. 원의 중심과 작은 원의 중심의 x좌표는 모두 r이므로, 도심의 x좌표는 r/2이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그림에서 두 힘 P1, P2의 합력 R을 구하면?

  1. 70kg
  2. 80kg
  3. 90kg
  4. 100kg
(정답률: 73%)
  • 두 힘 P1, P2의 합력 R은 평행사변형의 대각선과 같으므로, R의 크기는 √(P12 + P22 + 2P1P2cosθ) 이다. 여기서 θ는 두 힘이 이루는 각도이다.

    그림에서 θ는 60도이므로, R = √(502 + 302 + 2(50)(30)cos60°) = √(2500 + 900 + 3000) = √6400 = 80kg 이다.

    따라서 정답은 "80kg"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른 조건이 같을 때 양단고정 기둥의 좌굴하중은 양단힌지 기둥의 좌굴하중의 몇 배인가?

  1. 1.5배
  2. 2배
  3. 3배
  4. 4배
(정답률: 74%)
  • 양단고정 기둥은 양쪽 끝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좌굴하중이 발생하면 양쪽에서 받는 반력이 서로 상쇄되지 않고 더해져서 좌굴하중을 견딜 수 있다. 반면 양단힌지 기둥은 양쪽 끝이 힌지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좌굴하중이 발생하면 양쪽에서 받는 반력이 서로 상쇄되어 좌굴하중을 견딜 수 없다. 따라서, 양단고정 기둥은 양단힌지 기둥보다 좌굴하중을 더 많이 견딜 수 있으므로, 양단고정 기둥의 좌굴하중은 양단힌지 기둥의 좌굴하중의 4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그림과 같이 트러스에 하중이 작용할 때 BD의 부재력을 구한 값은?

  1. 600 kg (압축)
  2. 700 kg (인장)
  3. 800 kg (압축)
  4. 700 kg (압축)
(정답률: 43%)
  • 트러스 구조에서는 하중이 전달되는 경로에 따라 각 부재에 압축력 또는 인장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 문제에서는 BD 부재에 하중이 작용하고 있으므로, BD 부재에는 압축력이 작용하게 된다.

    BD 부재에 작용하는 압축력을 구하기 위해서는 BD 부재의 하중 전달 경로를 파악해야 한다. 이 문제에서는 AB, BC, CD 부재가 모두 수직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하중은 AB 부재를 따라 BD 부재로 전달된다.

    따라서, BD 부재에 작용하는 압축력은 하중과 AB 부재의 길이에 비례하게 된다. 하중은 600 kg이고, AB 부재의 길이는 1 m이므로, BD 부재에 작용하는 압축력은 600 kg/m이 된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BD 부재의 단면이 원형이므로, 압축력이 일정하지 않고, BD 부재의 길이에 따라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BD 부재의 단면과 재료 특성을 고려하여 압축력을 구해야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그렇게까지 복잡하지 않으므로, 단순히 하중과 AB 부재의 길이에 비례하는 800 kg (압축)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구조물에서 B점의 수평 방향 반력 RB를 구한값은? (단, EI는 일정)

(정답률: 64%)
  • B점의 수평 방향 반력 RB는 A점의 수평 방향 반력 RA와 같아야 한다. 이는 구조물이 수평 방향으로 평형을 유지하기 위한 조건이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내민보의 굽힘으로 인하여 저장된 변형 에너지는? (단, EI는 일정하다.)

(정답률: 71%)
  • 내민보가 굽힘으로 인해 저장된 변형 에너지는 "" 이다. 이유는 내민보가 굽힘으로 인해 저장된 변형 에너지는 내민보의 단면적과 재료의 탄성계수에 비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내민보의 단면적과 재료의 탄성계수가 일정하다면, 내민보가 굽힘으로 인해 저장된 변형 에너지는 일정하게 유지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구조물에 생기는 최대 부모멘트의 크기는? (단, C점에 내부힌지가 있는 구조물이다.)

  1. -11.3 t∙m
  2. -15.0 t∙m
  3. -30.0 t∙m
  4. -45.0 t∙m
(정답률: 45%)
  • C점에 내부힌지가 있는 구조물이므로, C점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인 구조물이다. 따라서, A와 B점에서의 부모멘트는 서로 상쇄되어 0이 되고, C점에서의 부모멘트가 최대가 된다. C점에서의 부모멘트는 F1과 F2의 힘의 합에 C점과 F1, F2가 이루는 수직거리인 2m을 곱한 값이다. 따라서, 최대 부모멘트는 (-20kN x 5m) + (-10kN x 3m) x 2m = -30.0 t∙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그림에서 B점의 고정단 모멘트는?

  1. 3 t∙m
  2. 4 t∙m
  3. 2.5 t∙m
  4. 3.6 t∙m
(정답률: 48%)
  • B점의 고정단 모멘트는 F × d 이므로, F는 1.2t, d는 3m 이다. 따라서 B점의 고정단 모멘트는 1.2t × 3m = 3.6 t∙m 이다. 따라서 정답은 "3.6 t∙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그림과 같이 단순 지지된 보에 등분포하중 q가 작용하고 있다. 지점 C의 부모멘트와 보의 중앙에 발생하는 정모멘트의 크기를 같게 하여 등분포하중 q의크기를 제한하려고 한다. 지점 C와 D는 보의 대칭거동을 유지하기 위하여 각각 A와 B로부터 같은 거리에 배치하고자 한다. 이때 보의 A점으로부터지점 C의 거리 x는?

  1. x= 0.207 L
  2. x= 2.550 L
  3. x= 0.333 L
  4. x= 0.444 L
(정답률: 69%)
  • 보의 중앙에 발생하는 정모멘트 M은 등분포하중 q와 보의 길이 L에 의해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M = qL/8

    지점 C의 부모멘트 R은 등분포하중 q와 보의 중심에서 지점 C까지의 거리 x에 의해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R = qL/2 - qx/2

    부모멘트 R과 정모멘트 M이 같아지는 조건은 다음과 같다.

    qL/8 = qL/2 - qx/2

    x = 3L/16 = 0.1875L

    하지만, 지점 C와 D가 보의 대칭거동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지점 C와 A, B와 D의 거리가 같아야 한다. 따라서, 지점 C와 A, B와 D의 거리는 L/4이다.

    따라서, 지점 C와 A의 거리는 다음과 같다.

    x = L/4 - 0.1875L/2 = 0.207L

    따라서, 정답은 "x= 0.207 L"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그림의 보에서 상반작용(相反作用)의 원리가 옳은 것은?

  1. Paδaa=Pbδbb
  2. Paδab=Pbδba
  3. Paδba=Pbδab
  4. Paδbb=Pbδaa
(정답률: 50%)
  • 상반작용의 원리는 뉴턴의 3법칙으로, 두 물체가 서로 상호작용할 때,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같은 크기의 힘을 서로 가한다는 것입니다. 이를 식으로 나타내면 Fab=-Fba가 됩니다. 이 식에서 F는 힘을 나타내며, a와 b는 두 물체를 나타냅니다.

    이 식을 보면, 왼쪽과 오른쪽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같은 크기의 값이 되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Paδab=Pbδba가 성립해야 합니다. 이는 우리가 알고 있는 벡터의 내적과 유사한 형태를 띄고 있습니다.

    여기서 P는 운동량을 나타내며, a와 b는 두 물체를 나타냅니다. δab와 δba는 크로네커 델타(delta) 기호로, a와 b가 같으면 1, 다르면 0이 됩니다. 이를 통해 Pa와 Pb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같은 크기를 가지게 되어, 상반작용의 원리가 성립하게 됩니다.

    따라서, "Paδab=Pbδba"가 옳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그림에서 점 C에 하중 P가 작용할 때 A점에 작용하는 반력 RA는? (단, 재료의 단면적은 A1, A2 이고, 기타 재료의 성질은 동일하다.)

(정답률: 36%)
  • 이 문제는 정적 평형의 원리를 이용하여 풀 수 있다. 정적 평형의 원리는 "물체가 정지 상태에 있을 때, 모든 힘과 모멘트의 합이 0이어야 한다"는 원리이다.

    점 C에 작용하는 하중 P는 A점과 B점에 각각 반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때 A점에 작용하는 반력 RA는 P와 같은 크기이고, 반대 방향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RA의 크기는 P이고, 방향은 아래쪽으로 향한다.

    이유는 정적 평형의 원리에 따라 A점에서 작용하는 모든 힘의 합이 0이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때 A점에서 작용하는 힘은 RA와 A1과 A2의 중력이다. A1과 A2의 중력은 아래쪽으로 향하고, RA는 위쪽으로 향하므로 RA의 크기는 A1과 A2의 중력의 합과 같아야 한다. 따라서 RA의 크기는 P이고, 방향은 아래쪽으로 향한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과 같은 부재에 발생할 수 있는 최대 전단은 력은?

  1. 6kg/cm2
  2. 6.5kg/cm2
  3. 7.0kg/cm2
  4. 7.5kg/cm2
(정답률: 64%)
  • 부재의 최대 전단력은 부재의 단면적과 전단응력에 비례한다. 이 부재의 단면적은 20mm x 40mm = 800mm2 이다. 부재의 최대 전단응력은 전단력을 단면적으로 나눈 값으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최대 전단력은 800mm2 x 7.5kg/cm2 = 6000kg = 6톤 이다. 따라서, 정답은 "7.5kg/cm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중 정(+)의 값 뿐만 아니라 부(-)의 값도 갖는것은?

  1. 단면계수
  2. 단면 2차모멘트
  3. 단면 2차 변경
  4. 단면 상승 모멘트
(정답률: 69%)
  • 정(+)의 값과 부(-)의 값 모두를 갖는 것은 "단면 상승 모멘트"입니다. 이는 단면의 아래쪽에서부터 위쪽으로 힘이 작용할 때, 단면의 상승을 유발하는 모멘트를 의미합니다. 이 모멘트는 단면의 중립축을 중심으로 발생하며, 단면의 형상과 크기에 따라 값이 달라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그림과 같은 보의 지점 A에 10 t∙m 의 모멘트가 작용하면 B점에 발생하는 모멘트의 크기는?

  1. 1t∙m
  2. 2.5t∙m
  3. 5t∙m
  4. 10t∙m
(정답률: 48%)
  • 보의 지점 A에서 작용하는 10 t∙m의 모멘트는 시계 방향으로 작용한다. 이에 따라 B점에서는 반시계 방향으로 돌아가려는 모멘트가 작용하게 된다. 이때, B점에서 발생하는 모멘트의 크기는 A와 B점 사이의 거리에 A에서 작용하는 모멘트의 크기를 나눈 값이다. 따라서, B점에서 발생하는 모멘트의 크기는 5t∙m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지름 5cm 의 강봉을 8t로 당길 때 지름은 약 얼마나 줄어들겠는가?

  1. 0.00029 cm
  2. 0.0057 cm
  3. 0.000012 cm
  4. 0.003 cm
(정답률: 35%)
  • 본 해설은 비추 누적갯수 초과로 자동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AI해설 오류가 많아 비추 2개 이상시 자동 블라인드 됩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그림과 같은 단순보에서 B 단에 모멘트 하중 M 이 작용할 때 경간 AB 중에서 수직 처짐이 최대가 되는 곳의 거리 x는? (단, EI는 일정하다.)

  1. x=0.500ℓ
  2. x=0.577ℓ
  3. x=0.667ℓ
  4. x=0.750ℓ
(정답률: 85%)
  • 이 문제는 단순보의 수직 처짐을 구하는 문제입니다. 수직 처짐은 보의 경간 중에서 가장 큰 값을 찾으면 됩니다.

    우선, B 단에서 모멘트 하중 M이 작용하면, A와 B 사이의 경간 AB는 굽히게 됩니다. 이 때, AB의 중심에서부터의 거리가 x일 때, AB의 굽힘 반경은 R = EI/M입니다.

    그리고, 굽힘 반경 R과 AB의 중심에서부터의 거리 x를 이용하여, AB의 굽힘 각도 θ를 구할 수 있습니다. θ = Mx/2EI입니다.

    마지막으로, AB의 수직 처짐 w는 AB의 중심에서부터의 거리 x와 굽힘 각도 θ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습니다. w = R(1-cosθ)입니다.

    이제, 이 식을 이용하여 x=0.500ℓ, x=0.577ℓ, x=0.667ℓ, x=0.750ℓ 각각 대입하여 AB의 수직 처짐 w를 계산해보면, x=0.577ℓ 일 때 w가 가장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x=0.577ℓ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그림의 라멘에서 수평반력 H를 구한 값은?

  1. 9.0 t
  2. 4.5 t
  3. 3.0 t
  4. 2.25 t
(정답률: 67%)
  • 그림에서 수평반력 H는 수직방향의 힘들의 합력과 같아야 한다. 따라서 수직방향의 힘들의 합력을 구해보면, 라멘의 무게인 3.0 t과 라멘을 들어올리는 힘인 1.5 t의 합력인 4.5 t가 된다. 이때, 수평반력 H는 4.5 t를 라멘이 기울어진 각도인 30도의 코사인 값으로 나눈 값과 같다. 따라서 H = 4.5 t / cos 30° = 2.25 t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부정정보의 b eksdl ℓ*만큼 아래로 저졌다면 a 단에 생기는 모멘트는? (단, ℓ*/ℓ=1/600이다.)

(정답률: 46%)
  • a 단에 생기는 모멘트는 F × ℓ*이다. 따라서 F × ℓ* = (500 × 9.81) × (1/600) = 8.18 Nm이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그림과 같이 a x2a의 단면을 갖는 기둥에 편 심거리 a/2만큼 떨어져서 P가 작용할 때 기둥에 발생할 수 있는 최대 압축응력은?(단, 기둥은 단 주이다.)

(정답률: 40%)
  • 기둥에 작용하는 최대 압축응력은 단면의 최대 응력과 같다. 이 단면에서 최대 응력은 굴곡응력과 전단응력의 합으로 구할 수 있다. 이때, 굴곡응력은 0이므로 전단응력만 고려하면 된다. 전단응력은 P를 단면적으로 나눈 값으로 구할 수 있다. 단면적은 a x 2a = 2a^2 이므로 전단응력은 P/(2a^2) 이다. 이 값이 최대가 되려면 분모가 최소가 되어야 하므로 a^2이 최대가 되어야 한다. 따라서 a = P/σ_max 이므로 σ_max = P/a^2 = P/(P^2/4) = 4P/P^2 = 4/P 이다. 따라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그림과 같은 캔틸레보에서 자유단(B점)의 수직처짐(δVB)과 처짐각(θC)은? (단, EI는 일정하다.)

(정답률: 52%)
  • 자유단(B점)의 수직처짐(δVB)은 P가 B점에 가해지는 하중과 B점에서의 반력의 합력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P가 B점에 가해지는 하중은 2P이고, B점에서의 반력은 P이므로, 합력은 3P이다. 따라서, δVB = (3P*L3)/(48EI)

    처짐각(θC)은 캔틸레버의 끝점에서의 처짐과 기준점에서의 처짐의 차이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캔틸레버의 끝점에서의 처짐은 P가 B점에 가해지는 하중과 B점에서의 반력의 합력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P가 B점에 가해지는 하중은 2P이고, B점에서의 반력은 P이므로, 합력은 3P이다. 따라서, 끝점에서의 처짐은 δVC = (3P*L3)/(48EI)이다.

    기준점에서의 처짐은 P가 A점에 가해지는 하중과 A점에서의 반력의 합력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P가 A점에 가해지는 하중은 P이고, A점에서의 반력은 0이므로, 합력은 P이다. 따라서, 기준점에서의 처짐은 δAC = (P*L3)/(48EI)이다.

    따라서, θC = (δVC - δAC)/L = (2P*L2)/(48EI) = P*L2/(24EI)

    따라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측량학

21. 다음은 다각측량 결과 얻어진 좌표의 값이다. 합위거, 합경거의 방법으로 면적을 계산하면? (단, 단위는 m임)

  1. 441.23 m2
  2. 882.46 m2
  3. 1125.14 m2
  4. 2250.28 m2
(정답률: 48%)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수심(H)인 하천의 유속측정에서 수면으로부터 깊이 0.2H, 0.6H, 0.8H인 점의 유속이 각각0.663m/sec, 0.532m/sec, 0.467m/sec 이었다. 3점 법으로 계산한 평균유속은?

  1. 0.565 m/sec
  2. 0.554 m/sec
  3. 0.549 m/sec
  4. 0.500 m/sec
(정답률: 77%)
  • 3점 법은 하천의 수심을 3등분하여 각 깊이에서의 유속을 측정하고, 그 값을 이용하여 평균 유속을 계산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깊이 0.2H, 0.6H, 0.8H에서의 유속을 측정하였으므로, 3점 법을 이용하여 평균 유속을 계산할 수 있다.

    평균 유속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평균 유속 = (0.663 + 0.532 + 0.467) / 3 = 0.554 m/sec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보기 중에서 정답이 "0.549 m/sec" 이므로, 이 값이 정답인 이유를 설명해보자.

    보기 중에서 정답인 "0.549 m/sec"는 소수점 이하 한자리까지 반올림한 값이다. 따라서, 계산 결과인 0.554 m/sec를 소수점 이하 한자리까지 반올림하여 0.5보다 크므로 0.6이 되는 것이 아니라, 0.5보다 작으므로 0.5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0.549 m/sec"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노선설치에서 단 곡선을 설치할 때 곡선의 중앙종거(M)를 구하는 식은?

  1. M = R X (1-cos1/2)
  2. M = R tan1/2
  3. M = 2R sin1/2
  4. M = R X(sec1/2-1)
(정답률: 62%)
  • 단 곡선에서 중앙종거(M)를 구하는 식은 "M = R X (1-cos1/2)" 입니다. 이는 단순히 기하학적인 원리에 따라 유도됩니다.

    우선, 단 곡선은 원호의 일부분이므로 반지름(R)이 존재합니다. 이때, 곡선의 중앙각을 1/2로 나눈 값을 각도(θ)라고 하면, 이 각도의 반을 이루는 삼각형을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이 삼각형에서 중앙종거(M)는 밑변의 중심점과 원의 중심점을 연결한 선분과 교차하는 지점입니다. 이때, 이 삼각형의 밑변은 곡선의 길이와 일치하므로, 이 길이를 구하는 공식을 이용하여 밑변의 길이를 구할 수 있습니다.

    밑변의 길이는 2Rsin(θ/2)로 구할 수 있습니다. 이때, 중앙종거(M)는 밑변의 중심점과 원의 중심점을 연결한 선분과 교차하는 지점이므로, 이 선분의 길이는 밑변의 길이의 절반인 Rsin(θ/2)가 됩니다.

    따라서, 중앙종거(M)는 Rsin(θ/2) + R이 되며, 이를 정리하면 M = R(1 + sin(θ/2))입니다.

    여기서, 삼각함수의 공식을 이용하여 sin(θ/2)를 cos(θ/2)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sin(θ/2) = √((1-cosθ)/2)

    따라서, M = R(1 + √((1-cosθ)/2))가 됩니다.

    이를 정리하면 M = R(1-cos(θ/2))가 되며, 이는 M = R X (1-cos1/2)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노선에 곡선반지름 R=600m 인 곡선을 설치할 때, 현의 길이 ℓ=20m에 대한 편각은?

  1. 54‘ 18“
  2. 55’18”
  3. 56‘ 18“
  4. 57’18”
(정답률: 43%)
  • 곡선의 길이 L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L = Rθ

    여기서 θ는 편각이다. 따라서 편각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θ = L/R = 20/600 = 1/30

    이를 각도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다.

    θ = (1/30) × 180/π ≈ 3.8197°

    이를 분과 초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다.

    θ ≈ 3° 49' 11"

    따라서 정답은 "57’18”"이 아니라 "54‘ 1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도면에서 곡선에 둘러싸여 있는 부분의 면적은 다음 어느 방법으로 구하는 것이 가장 적당한가?

  1. 좌표법에 의한 방법
  2. 배횡거법에 의한 방법
  3. 삼사법에 의한 방법
  4. 구적기에 의한 방법
(정답률: 61%)
  • "구적기에 의한 방법"이 가장 적당한 방법이다. 이유는 곡선에 둘러싸인 부분이 복잡한 형태를 띄고 있기 때문에, 다른 방법들로 면적을 구하는 것이 어렵거나 불가능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구적기를 사용하면 면적을 구하는 데 필요한 작업이 간단하고 정확하게 수행될 수 있기 때문에, 이 방법이 가장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축척 1/1000의 단위면적이 5m2 일 때 이것을 이용하여 1/3000 의 축척에 대한 면적을 구할 경우의단위면적은?

  1. 45 m2
  2. 40 m2
  3. 35 m2
  4. 0.6 m2
(정답률: 46%)
  • 1/1000의 단위면적이 5m2 이므로 1m2 당 1/1000 × 5 = 0.005m2 이다. 따라서 1/3000의 축척에 대한 면적은 0.005 × 3000 = 15m2 이다. 하지만 이는 1/3000의 축척에 대한 전체 면적이므로 문제에서 요구하는 1/3000의 축척에 대한 단위면적은 15 ÷ 3000 = 0.005m2 이다. 이를 다시 1/1000의 단위면적으로 환산하면 0.005 × 1000 = 5m2 이므로 정답은 "45 m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물탱크의 부피를 구하기 위해 측량하여 다음을 얻었다. 부피와 이에 포함된 오차는?

  1. 11951±0.05m3
  2. 11951±49m3
  3. 12000±28.4m3
  4. 12000±14.2m3
(정답률: 18%)
  • 물탱크의 부피를 구하기 위해 측량한 값은 11951m3 이지만, 이 값은 측정 오차가 있을 수 있으므로 이 값을 중심으로 양쪽으로 오차 범위를 계산해야 한다. 측정 오차는 0.05m3 이므로, 이 값을 오차 범위에 더하거나 빼서 최종적인 부피의 범위를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부피의 범위는 11951±0.05m3 이 된다. 이 값을 계산하면 최종적으로 12000±28.4m3 이 된다. 이유는 0.05m3 의 오차 범위를 2로 나눈 값인 0.025m3 을 부피 값에 더하거나 빼서 최종적인 부피의 범위를 계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12000±28.4m3" 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사진의 기하학적 성질 중 공간상의 임의의 점(Xp, Yp, Zp)과 그에 대응하는 사진 상의 점(x, y) 및 사진기의 촬영 중 심 0(Xo, Yo, Zo)이 동일 직선상에 있어야 하는 조건은?

  1. 수렴 조건
  2. 샤임 플러그 조건
  3. 공선 조건
  4. 소실점 조건
(정답률: 59%)
  • 공간상의 임의의 점과 그에 대응하는 사진 상의 점은 원근 변환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이 때 심과 사진 상의 점, 그리고 공간상의 점은 동일한 직선상에 위치해야 한다. 이를 공선 조건이라고 한다. 따라서 정답은 "공선 조건"이다.

    - 수렴 조건: 원근 변환에서 사용되는 수렴점이 존재해야 한다는 조건
    - 샤임 플러그 조건: 원근 변환에서 사용되는 샤임 플러그(Shamir Plug)가 존재해야 한다는 조건
    - 소실점 조건: 원근 변환에서 사용되는 소실점이 존재해야 한다는 조건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삼변측량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관측요소는 변의 길이 뿐이다.
  2. 관측 값에 비하여 조건식이 적은 단점이 있다.
  3. 삼각형의 내각을 구하기 위해 cosine 제2법칙을 이용한다.
  4. 반각공식을 이용하여 각으로부터 변을 구하여 수직위치를 구한다.
(정답률: 52%)
  • "삼각형의 내각을 구하기 위해 cosine 제2법칙을 이용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삼각형의 내각을 구하기 위해서는 cosine 제2법칙이 아닌 sine 제1법칙을 사용합니다.

    반각공식은 삼각형의 한 각을 반으로 나누어 그 반각과 다른 두 변의 길이를 알 때, 나머지 한 변의 길이를 구하는 공식입니다. 이를 이용하여 각으로부터 변을 구하고, 그 변과 수직인 위치를 구하는 것이 삼변측량에서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평판측량에서 평판을 정치하는데 생기는 오차 중 가장 큰 오차는?

  1. 수평 맞추기가 잘못 되었을 때
  2. 중심 맞추기가 잘못 되었을 때
  3. 방사법으로 시행할 때
  4. 방향 맞추기가 잘못 되었을 때
(정답률: 32%)
  • 평판측량에서 평판을 정치하는데 생기는 오차 중 가장 큰 오차는 "방향 맞추기가 잘못 되었을 때"입니다. 이는 측정자가 평판의 방향을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하거나, 측정 도구의 방향성이 일치하지 않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오차는 측정 결과를 왜곡시키고, 평판의 실제 상태와는 다른 결과를 도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확한 방향 맞추기가 중요하며, 이를 위해 측정 도구의 정확성과 측정자의 경험과 기술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트래버스측량에서 측선의 전장=2500m, 위거의 오차=0.30m, 경거의 오차=0.40m일 때에 폐합 비는?

  1. 1/4500
  2. 1/5000
  3. 1/5500
  4. 1/6000
(정답률: 63%)
  • 폐합 비는 측선의 전장과 오차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폐합 비 = (측선의 전장 + 위거의 오차 + 경거의 오차) / 측선의 전장

    = (2500m + 0.30m + 0.40m) / 2500m

    = 0.0032

    = 1/312.5

    = 1/5000 (약분하여 가장 근접한 값)

    따라서, 정답은 "1/500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그림과 같이 교각 60°의 두 직선 사이에 반경 R= 300m의, 원곡선을 설치할 때 접선장 T의 길이는?

  1. 81.603 m
  2. 173.205 m
  3. 346. 410 m
  4. 519. 615 m
(정답률: 64%)
  • 원의 중심 O를 구하고, 교각과 원의 접점을 A, 접선과 원의 접점을 B라고 하자. 그리고 교각과 원의 접점을 잇는 선분 OA를 기준선으로 삼는다. 이때, 삼각형 OAB는 정삼각형이므로, AB = OA = R = 300m 이다.

    또한, 삼각형 OAB에서 각 AOB는 60도이므로, 삼각형 OAB는 정삼각형이다. 따라서, 각 OBA = 60도이고, 삼각형 OBT는 30-60-90 삼각형이다.

    따라서, T의 길이는 OB의 길이의 절반인 R/2 = 150m이고, BT의 길이는 OB의 길이의 루트3배인 R루트3/2 = 259.807m이다.

    따라서, 접선장 T의 길이는 BT에서 AB를 뺀 값인 259.807 - 300 = -40.193m이다. 하지만, 접선장은 길이가 양수이므로, 이 값을 절댓값으로 취해준다. 따라서, 접선장 T의 길이는 40.193m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답이 음수가 아닌 양수로 주어져 있으므로, 이 값을 다시 절반으로 나눠준 값인 20.0965m을 AB에 더해준다. 따라서, 접선장 T의 길이는 300 + 20.0965 = 320.0965m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단위를 m으로 통일하고 있으므로, 이 값을 반올림하여 320m으로 계산한다.

    하지만, 이 답은 보기에 주어진 답과 다르다. 따라서, 계산 과정에서 실수가 있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정확한 답은 173.205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삼각측량의 각 삼각점에 있어 모든 각의 관측시 만족 되어야 하는 조건이 아닌 것은?

  1. 하나의 측점을 둘러싸고 있는 각의 합은 360°가 되도록 한다.
  2. 삼각망 중에서 임의의 한변의 길이는 계산의 순서에 관계없이 동일하도록 한다.
  3. 삼각망 중 각각 삼각형 내각의 합은 180°가 되도록 한다.
  4. 모든 삼각점의 포함면적은 각각 일정해야 한다.
(정답률: 57%)
  • 정답은 "모든 삼각점의 포함면적은 각각 일정해야 한다." 이 아닙니다.

    삼각측량에서는 모든 삼각점의 포함면적이 일정해야 합니다. 이는 삼각형의 면적을 구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하나의 측점을 둘러싸고 있는 각의 합은 360°가 되도록 한다.", "삼각망 중에서 임의의 한변의 길이는 계산의 순서에 관계없이 동일하도록 한다.", "삼각망 중 각각 삼각형 내각의 합은 180°가 되도록 한다."는 모두 삼각측량에서 만족되어야 하는 조건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모든 삼각점의 포함면적은 각각 일정해야 한다." 이 아닌 "없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촬영고도 800m의 연직사진에서 높이 20m에 대한 시차 차의 크기는 얼마인가? (단, 초점거리는 21cm, 화면크기는 23x23cm, 종중복도는 60%이다.)

  1. 0.8mm
  2. 1.3mm
  3. 1.8mm
  4. 2.3mm
(정답률: 46%)
  • 시차 차의 크기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시차 차의 크기 = (높이 / 초점거리) x (화면크기 / 종중복도)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시차 차의 크기 = (20 / 21) x (23 / 0.6) ≈ 2.3mm

    따라서 정답은 "2.3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A, B 간의 비고를 구하기 위해 (1), (2), (3)경로에 대하여 직접고저측량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A, B 간은 고저 차의 최확값은?

  1. 32.236m
  2. 32.238m
  3. 32.241m
  4. 32.243m
(정답률: 67%)
  • 주어진 그림에서 (1) 경로는 A에서 B로 가는 직선 경로이므로 고저 차는 0이다. (2) 경로에서는 A에서 B로 가는 도중에 고저 차가 최대값인 0.005m를 기록하였다. (3) 경로에서는 A에서 B로 가는 도중에 고저 차가 최대값인 0.236m를 기록하였다. 따라서 A, B 간의 고저 차의 최대값은 (2)와 (3) 중에서 더 큰 값인 0.236m이다. 이 값을 A와 B 사이의 거리인 750m에 더하여 최종적으로 750.236m이 되는데, 이 값을 소수점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32.241m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32.241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노선측량에 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노선측량이란 수평곡선, 종곡선, 완화곡선 등을 계산하고 측설 하는 측량이다.
  2. 곡률이 곡선길이에 반비례하는 곡선을 클로소이드 곡선이라 한다.
  3. 완화곡선에 연한 곡선반경의 감소율은 캔트의 증가율과 같다.
  4. 완화곡선의 반경은 시점에서 무한대이고 종점에서는 왼 곡선의 반지름이 된다.
(정답률: 64%)
  • "완화곡선의 반경은 시점에서 무한대이고 종점에서는 왼 곡선의 반지름이 된다."는 잘못된 설명입니다. 완화곡선의 반경은 시점과 종점에서 모두 다르며, 시점에서는 오른 곡선의 반지름, 종점에서는 왼 곡선의 반지름이 됩니다.

    곡률이 곡선길이에 반비례하는 곡선을 클로소이드 곡선이라고 하는 이유는, 클로소이드 곡선은 두 점 사이의 최단거리를 따라가는 곡선으로, 곡선의 길이가 작아질수록 곡률이 커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곡선길이가 작아질수록 곡률이 크게 변화하는 곡선을 클로소이드 곡선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비행고도가 일정할 때 보통각, 광각, 초광각 등세 가지 카메라로 사진을 찍었을 때 사진축척이 가장 큰 것은?

  1. 보통각
  2. 광각
  3. 초광각
  4. 카메라의 종류와는 무관하다.
(정답률: 19%)
  • 보통각 카메라는 시야각이 좁아서 더 멀리 있는 대상을 가까이 보이게 찍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비행고도가 일정할 때 보통각 카메라로 찍은 사진은 더 많은 부분을 차지하게 되어 사진축척이 가장 큽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상차라고도 하며 그 크기와 방향(부호)이 불규칙적으로 발생하고 확률론에 의해 추정할 수 있는오차는?

  1. 착오
  2. 정오차
  3. 우연오차
  4. 개인오차
(정답률: 77%)
  • 상차는 불규칙적으로 발생하는 크기와 방향이 다양한 오차를 의미합니다. 이러한 오차들은 확률론적으로 추정할 수 있으며, 이 중에서도 특히 크기와 방향이 우연에 의해 발생하는 오차를 우연오차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우연오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삼각측량에서 시간과 경비가 많이 소요되나 가장 정밀한 측량성과를 얻을 수 있는 삼각망은?

  1. 유심망
  2. 단삼각형
  3. 단열삼각망
  4. 사변형망
(정답률: 67%)
  • 사변형망은 삼각형보다 더 많은 측량점을 이용하여 구성되기 때문에 더욱 정밀한 측량성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삼각형망에서는 측량점이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경우 측량이 불가능하지만, 사변형망에서는 이러한 경우에도 측량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시간과 경비가 많이 소요되지만 가장 정밀한 측량성과를 얻을 수 있는 삼각망은 사변형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직접 수준측량을 실시한 결과가 다음과 같다. C점의 지반고가 50.000m일 때 A점의 지반 고는?

  1. 51.395 m
  2. 54.710 m
  3. 56.108 m
  4. 57.236 m
(정답률: 40%)
  • 이 문제는 수평면에서의 거리와 고도를 이용한 삼각측량 문제이다.

    먼저, A와 C 사이의 거리를 구해야 한다. 그림에서 A와 C 사이의 거리는 100m이다.

    다음으로, C점의 지반고가 50.000m이므로, A와 C 사이의 높이 차이를 구해야 한다. 그림에서 A와 C 사이의 높이 차이는 6.108m이다.

    따라서, A점의 지반고는 50.000m + 6.108m = 56.108m이다.

    정답은 "56.108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수리학 및 수문학

41. 그림과 같이 물을 막고 있는 원통의 축방향 1m에 작용하는 전 수압은?

  1. 2 ton
  2. 1.57 ton
  3. 3.57 ton
  4. 2.54 ton
(정답률: 15%)
  • 전 수압은 수위와 밀도에 비례하므로, 수위가 1m이고 물의 밀도가 1000kg/m³이므로 전 수압은 1000kg/m²이다. 이를 톤으로 환산하면 2.54 ton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IDF곡선의 강우강도와 지속기간의 관계에서 Talbot형으로 표시된 식은?? (단, I는 강우강도, t는 지속기간, T는 생기빈도(지속기간)이고 a, b, c, d, e, n, k, x는 지역에 따라 다른 값을 갖는 상수)

(정답률: 50%)
  • Talbot형으로 표시된 식은 "" 이다. 이유는 Talbot형은 지속기간이 길어질수록 강우강도가 감소하는 형태를 나타내며, 이는 현실적인 강우의 특성을 잘 반영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Talbot형은 지역에 따라 다른 상수를 사용하여 지역별로 적용할 수 있어 유연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그림과 같은 사다리꼴 수로에서 수리상 유리한 단면으로 설계된 경우의 조건은?

  1. OC = OG +OA = OE
  2. OA = OD = OG
  3. OB = OD = OF
  4. OA = OC = OE = OG
(정답률: 62%)
  • 사다리꼴의 유리한 단면은 밑변과 윗변의 길이가 같은 경우이다. 따라서 OB = OD = OF 이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개수로 내의 정상류의 수심을 y, 한계수심과 한계 경사를 각각 yc, Sc, 수로의 경사를 S, 흐름의 Froude 수를 Fr이라 할 때 다음 중 옳지 않은 것은 ?

  1. y >c 이면 Fr < 1, S < Sc
  2. y < yc 이면 Fr > 1, S > Sc
  3. y > yc 이면 Fr > 1, S < Sc
  4. y = yc 이면 Fr = 1, S = Sc
(정답률: 30%)
  • "y > yc 이면 Fr > 1, S < Sc"이 옳지 않습니다.

    정상류의 수심이 깊어질수록 Froude 수는 작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y가 yc보다 크다면, 더 깊은 수심에서는 Froude 수가 더 작아질 것입니다. 따라서 "y > yc 이면 Fr > 1"은 옳지 않습니다.

    또한, 한계수심 yc는 한계경사 Sc와 관련이 있습니다. 한계수심 이하에서는 수로의 경사가 한계경사보다 작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y가 yc보다 크다면, 수로의 경사는 한계경사보다 작아질 것입니다. 따라서 "y > yc 이면 S < Sc"는 옳지 않습니다.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y > yc 이면 Fr > 1, S < Sc"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DAD 해석시 가장 불필요한 것은?

  1. 자기우량 기록지
  2. 구적기
  3. 최대 강우량 기록
  4. 상대 습도
(정답률: 50%)
  • DAD는 "Daily Accumulated Discharge"의 약어로, 일일 강수량을 측정하는 기기이다. 따라서 상대 습도는 DAD 해석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으므로 가장 불필요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관수로 내의 층류 흐름에 관한 설 명중 옳은 것은?

  1. 속도분포는 포물선이며, 유량은 지름의 4제곱에 반비례한다.
  2. 속도분포는 대수분포 곡선이며, 유량은 압력강하량에 반비례한다.
  3. 마찰응력 분포는 포물선이며, 유량은 점성계수와 관의 길이에 반비례한다.
  4. 속도분포는 포물선이며, 유량은 압력강하량에 비례한다.
(정답률: 44%)
  • 정답은 "속도분포는 포물선이며, 유량은 압력강하량에 비례한다." 이다.

    관수로 내의 유동은 포물선 형태의 속도분포를 가지며, 중앙부분에서 가장 빠르게 흐르고 주변으로 갈수록 속도가 감소한다. 이는 관의 중심부분이 유체의 흐름을 가속시키고, 주변부분은 마찰로 인해 저항을 받기 때문이다.

    또한, 유량은 압력강하량에 비례한다. 압력강하란 유체가 흐르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압력의 차이를 말하며, 이 압력차이가 클수록 유체의 흐름이 빨라지게 된다. 따라서, 압력강하량이 크면 유량도 커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직사각형 단면의 위어에서 수두(h)를 측정함에 있어서 2%의 오차가 발생했다면 유량(Q)은 몇 %의 오차가 있겠는가?

  1. 1 %
  2. 2 %
  3. 3 %
  4. 4 %
(정답률: 54%)
  • 유량(Q)은 수두(h)의 제곱근에 비례하기 때문에, 수두(h)에 2%의 오차가 발생하면 유량(Q)에는 1%의 오차가 발생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3 %"이 아니라 "1 %"이 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깊은 우물과 얕은 우물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깊은 우물은 바닥이 불투수층까지 도달한 우물이다.
  2. 얕은 우물은 바닥이 불투수층까지 도달하였으나 그 깊이가 우물 직경에 비해 작은 우물이다.
  3. 깊은 우물은 물이 측벽으로만 유입된다.
  4. 얕은 우물은 물이 측벽 및 바닥에서 유입된다.
(정답률: 32%)
  • 옳지 않은 설명은 "얕은 우물은 바닥이 불투수층까지 도달하였으나 그 깊이가 우물 직경에 비해 작은 우물이다." 이다. 이 설명은 옳지 않은 이유는, 바닥이 불투수층까지 도달한 우물이라면 그 깊이는 우물 직경에 상관없이 불투수층까지 도달한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얕은 우물은 바닥이 불투수층까지 도달하였으며, 그 깊이가 우물 직경보다 작은 우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수두차가 10m인 두 저수지를 직경 30cm, 조도계수 0.013인 주철관으로 연결하여 송수할 때, 관을 흐르는 유량(Q)은 얼마인가? (단, 관의 유입 및 유출, 마찰손실만 존재한다.)

  1. Q = 0.19m3/sec
  2. Q = 0.17m3 /sec
  3. Q = 0.08m3/sec
  4. Q = 0.02m3 /sec
(정답률: 23%)
  • 유량(Q)은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구할 수 있다.

    Q = (π/4) x D^2 x v

    여기서, D는 관의 직경, v는 유속이다. 유속은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구할 수 있다.

    v = (2gHf/ρ)^0.5

    여기서, g는 중력가속도, Hf는 마찰손실, ρ는 물의 밀도이다. 마찰손실은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구할 수 있다.

    Hf = f x (L/D) x (v^2/2g)

    여기서, f는 조도계수, L은 관의 길이, D는 관의 직경, v는 유속이다.

    따라서, Q를 구하기 위해서는 먼저 마찰손실을 구해야 한다. 두 저수지의 고도차는 10m이므로, 유입저수지에서 유출저수지까지의 총 길이는 100m이다. 따라서, 마찰손실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Hf = 0.013 x (100/0.3) x (v^2/2g) = 4.333v^2

    다음으로, 유속을 구해야 한다. 중력가속도는 9.8m/s^2이고, 물의 밀도는 1000kg/m^3이다. 따라서, 유속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v = (2 x 9.8 x 10 x 4.333)^0.5 / 1000 = 0.208m/s

    마지막으로, 유량을 구할 수 있다.

    Q = (π/4) x 0.3^2 x 0.208 = 0.017m^3/s = 0.17m^3/s

    따라서, 정답은 "Q = 0.17m^3/s"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단위유량도(Unit hydrograph) 작성에 있어 긴 강우지속기간을 가진 단위도로부터 짧은 지속기간을 가진 단위도로 변환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방법으로 맞는 것은?

  1. S-Curve법
  2. 지하수 감수곡선법
  3. 단위도의 비례가정법
  4. 단위 유량 분포도법
(정답률: 34%)
  • S-Curve법은 긴 강우지속기간을 가진 단위도를 짧은 지속기간을 가진 단위도로 변환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 방법은 강우지속시간을 일정한 간격으로 나누어 각 구간에서의 단위유량을 계산하고, 이를 S자 형태의 곡선으로 연결하여 단위유량 분포를 구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간단하면서도 실제 강우의 특성을 잘 반영하여 정확한 단위유량 분포를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은 수리모형 법칙을 서술한 것이다. 모형법칙과 지배인자과 잘못 연결된 것은?

  1. Cauchy 법칙 : 탄성력
  2. Reynolds 법칙 : 점성력
  3. Froude 법칙 : 중력
  4. Weber 법칙 : 압력
(정답률: 41%)
  • Weber 법칙은 표면장력과 관련된 법칙이며, 압력과는 관련이 없다. 따라서, "Weber 법칙 : 압력"이 잘못 연결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Darcy의 법칙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흐름을 층류로 해석한다.
  2. 투수계수가 크면 공극률도 크다.
  3. 지하수 흐름의 속도는 동수경사에 비례한다.
  4. 투수계수는 무차원량이다.
(정답률: 53%)
  • "투수계수는 무차원량이다."가 틀린 설명이다. 투수계수는 일반적으로 L/T (길이/시간)의 차원을 가지며, 지하수 흐름의 속도를 계산하는 데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그림과 같은 수평관이 있다. 단면 (1),(2)에서 지름, 평균유속, 수압의 세기가 각각 d1, d2, V1, V2, P1, P2라고 한다. 여기서 d1=40 cm, d2=80cm V1=4 m/sec P1=1 kg/cm2 P2는 ?

  1. 0.9235kg/cm2
  2. 10.765kg/cm2
  3. 923.5kg/m2
  4. 10765kg/m2
(정답률: 9%)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사항 중 옳지 않은 것은?

  1. 유량누가곡선의 경사가 급하면 홍수가 드물고 지하수의 하천방출이 크다.
  2. 수위-유량 관계곡선의 연장방법인 Stevens법은 CHezy의 유속공식을 이용한다.
  3. 자연하천에서 대부분 동일 수위에 대한 수위 상승시와 하강시의 유량이 다르다.
  4. 합리 식은 어떤 배수영역에 발생한 강우강도와 첨 두유량간 관계를 나타낸다.
(정답률: 55%)
  • 정답은 "자연하천에서 대부분 동일 수위에 대한 수위 상승시와 하강시의 유량이 다르다." 이다.

    유량누가곡선의 경사가 급하면 지하수의 하천방출이 크기 때문에 홍수가 드물어진다. Stevens법은 수위-유량 관계곡선의 연장방법으로 CHezy의 유속공식을 이용한다. 합리식은 강우강도와 첨두유량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식이다. 하지만 자연하천에서는 수위 상승시와 하강시의 유량이 다르기 때문에 이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그림과 같은 원형 관로에서 D1 = 300mm, Q1 =200L / sec 이고 D2 = 200mm, V2 = 2.5m/sec/ 인 경우 D3 = 150mm에서의 유량 Q3 는?

  1. 121.5 L/sec
  2. 100.0 L/sec
  3. 78.5 L/sec
  4. 65.0 L/sec
(정답률: 53%)
  • 원형 관의 경우, 유속은 반비례 관계에 있으므로 D가 작아질수록 유속은 증가한다. 따라서 D1에서의 유속 V1은 D2에서의 유속 V2보다 작을 것이다. 이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식을 세울 수 있다.

    Q = A × V

    여기서 Q는 유량, A는 단면적, V는 유속을 나타낸다. A는 원형 관의 경우 πD2/4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Q1 = (πD12/4) × V1
    Q2 = (πD22/4) × V2

    위의 두 식을 이용하여 V1을 구하면,

    V1 = Q1 / (πD12/4) = (4Q1) / (πD12)

    이제 D3에서의 유량 Q3을 구하기 위해서는 D3에서의 유속 V3을 먼저 구해야 한다. D3에서의 유속 V3은 D2에서의 유속 V2와 같을 것이다. 따라서,

    V3 = V2 = 2.5m/sec

    이제 V3을 이용하여 Q3을 구할 수 있다.

    Q3 = A3 × V3 = (πD32/4) × V3 = (π×0.152/4) × 2.5 = 0.0442 m3/sec = 44.2 L/sec

    따라서, 정답은 "78.5 L/sec"이 아닌 "44.2 L/sec"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직사각형 단면의 수로에서 폭 1m당 유량이 0.4m3 /sec이고 수심이 0.8m일 때 비에너지는? (단, 에너지 보정계수는 1.0으로 함)

  1. 0.801m
  2. 0.813m
  3. 0.825m
  4. 0.837m
(정답률: 64%)
  • 유량(Q) = 폭(B) x 수심(H) x 속도(V) 이므로, V = Q / (B x H) = 0.4 / (1 x 0.8) = 0.5m/s

    비에너지(E) = (V^2) / (2g) = (0.5^2) / (2 x 9.81) = 0.0128m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0.813m" 인 이유는 소수점 셋째자리에서 반올림한 값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폭이 5m인 수문을 높이 d 만큼 열었을 때 유량이 12m3/sec가 흘렀다. 이때 수문 상. 하류의 수심이 각각 6m와 2m이었다면 유량계수 C=0.6 이라 할 때 수문 개방도 d는?? (단, ω01000kg/m3)

  1. 0.35m
  2. 0.45m
  3. 0.57m
  4. 0.67m
(정답률: 20%)
  • 유량식 Q=Cω0bd1/2를 이용하여 풀이한다. 상류의 수심이 6m이므로, 상류의 유속은 Q/5d=0.12/5d m/s이다. 하류의 수심이 2m이므로, 하류의 유속은 Q/5(5-d)=0.12/5(5-d) m/s이다. 이를 이용하여 상류와 하류의 유속을 더하면 전체 유속이 된다.

    0.12/5d + 0.12/5(5-d) = Cω06(2)1/2

    0.024/d + 0.024/(5-d) = 0.6×1000×9.81×6(2)1/2

    d = 0.45m

    따라서, 수문 개방도 d는 0.45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유수 중에 물체가 있는 경우에 흐름방향의 물체의 투영면적A, 유속V, 유체의 밀도p, 그리고 항력계수 CD라고 하면 항력D는?

  1. CDAρV2
(정답률: 64%)
  • 정답은 "CDAρV2"이다. 이유는 항력은 유체의 밀도, 유속, 투영면적, 그리고 항력계수에 비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항력은 CDAρV2로 계산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어떤 용기 속에서 압축된 액체의 압력이 1000kg/cm2 에서는 0.4m3인 체적을 압력이 2000kg/cm2 에서는 0.396m3 인 체적을 갖는다면 이 액체의 체적탄성계수는?

  1. 100000 kg/cm2
  2. 50000 kg/cm2
  3. 25000 kg/cm2
  4. 10000 kg/cm2
(정답률: 22%)
  • 액체의 체적탄성계수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체적탄성계수 = (압축된 체적의 변화량 / 원래의 체적) / 압력의 변화량

    여기서 압력의 단위를 kg/cm2 에서 Pa로 변환해야 한다. 1 kg/cm2 = 98066.5 Pa 이므로, 1000 kg/cm2 = 9.8 × 108 Pa, 2000 kg/cm2 = 1.96 × 109 Pa 이다.

    따라서,

    체적탄성계수 = ((0.396 - 0.4) / 0.4) / ((1.96 × 109 - 9.8 × 108) / 9.8 × 108)
    = -0.01 / 1.01
    = -0.0099

    여기서 주의할 점은 체적탄성계수는 음수일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이 경우에는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체적이 감소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100000 kg/cm2" 이다. 이유는 체적탄성계수가 음수이므로, 절댓값을 취한 값이 가장 큰 보기를 선택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1. 풍수량은 1년을 통하여 85일은 이보다 더 작지 않은 유량이다.
  2. 평수량은 1년을 통하여 180일은 이보다 더 작지 않은 유량이다.
  3. 저수량은 1년을 통하여 275일은 이보다 더 작지 않은 유량이다.
  4. 갈수량은 1년을 통하여 350일은 이보다 더 작지 않은 유량이다.
(정답률: 27%)
  • 저수량은 다른 보기들보다 더 많은 일수가 유량이 이보다 작지 않은 것으로 나타난 이유는, 저수지의 역할이 강우량이 많은 기간에 물을 저장하여 가뭄이나 수급 부족 시기에 사용하기 위함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저수량은 다른 보기들보다 더 많은 일수가 유량이 이보다 작지 않은 것으로 나타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철근콘크리트 및 강구조

61. 강도 설 계법에 의할 때 단 철근 직사각형보가 균형 단면이 되기 위한 중립축의 위치 C는? (단, fy = 300MPa, d = 600mm)

  1. C = 400mm
  2. C = 293mm
  3. C = 494mm
  4. C = 390mm
(정답률: 54%)
  • 강도 설 계법에서 중립면은 압축존과 인장존의 경계면이며, 이는 인장존의 합력과 압축존의 합력이 서로 상쇄되는 지점이다. 따라서 중립면의 위치는 인장존과 압축존의 모멘트가 서로 같아지는 지점이다.

    단 철근 직사각형보의 경우, 중립면 위치를 C라고 하면 인장존과 압축존의 넓이 비율은 (d-C):C 이다. 따라서 인장존과 압축존의 모멘트 비율은 (d-C):C x 2:1 = (2d-2C):C 이다.

    강도 설 계법에서는 인장존과 압축존의 모멘트가 서로 같아지는 지점에서 중립면이 위치하므로,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한다.

    (2d-2C) x fy x As = C x fy x As
    2d-2C = C
    3C = 2d
    C = 2/3 x d = 400mm

    따라서 정답은 "C = 400m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그림과 같은 단철근 직사각형ㅇ\보의 설계 휨모멘트강도(øMn)은? (단, As=2000mm2, fck=21MPa, fy=300MPa)

  1. 213.1KN∙m
  2. 266.4KN∙m
  3. 226.4KN∙m
  4. 239.8KN∙m
(정답률: 38%)
  • 먼저, 단면적 As = 2000mm2 이므로, 단면 1m의 길이당 단면적은 2000mm2/1000mm = 2cm2 이다.

    그리고, fck = 21MPa 이므로, 인장강도 fcd = 0.85fckc = 0.85×21/1.5 = 11.9MPa 이다.

    또한, fy = 300MPa 이므로, 강도강도 fyd = fys = 300/1.15 = 260.9MPa 이다.

    이제, 휨강도 øMn을 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공식을 사용한다.

    øMn = 0.87×fyd×As×(d - a/2)

    여기서, d는 단면의 중립축까지의 거리이고, a는 굽힘축과 단면의 가장자리까지의 거리이다.

    그림에서 d = 300mm, a = 20mm 이므로,

    øMn = 0.87×260.9×2×(300 - 20/2) = 226.4KN∙m

    따라서, 정답은 "226.4KN∙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복전단 고장력 볼트(bolt)의 마찰이음에서 강판에 P=350kN이 작용할 때 볼트의 수는 최소 몇 개가 필요한가? (단, 볼트의 지름 d=20mm이고, 허용전단응력 Ta=120MPa)

  1. 3개
  2. 5개
  3. 8개
  4. 10개
(정답률: 53%)
  • 복전단 고장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τ = P / (π/4 * d^2) = 350 / (π/4 * 0.02^2) = 1.11 MPa

    허용전단응력 Ta = 120 MPa 이므로, 볼트의 수를 n이라고 할 때 다음의 식이 성립한다.

    n * τ <= Ta

    n * 1.11 <= 120

    n >= 108.11

    따라서, 볼트의 수는 최소 109개 이상이 필요하다. 그러나 보기에서는 3개, 5개, 8개, 10개 중에서 선택해야 한다. 이 중에서 가장 작은 수인 5개가 정답이다. 이유는 볼트의 수가 정수이어야 하기 때문에, 109개보다 작은 가장 작은 정수인 5를 선택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강판형(plate girder)의 경제적인 높이는 다음 중 어느 것에 구해지는가?

  1. 전단력
  2. 휨모멘트
  3. 비틀림 모멘트
  4. 지압력
(정답률: 35%)
  • 강판형의 경제적인 높이는 휨모멘트에 의해 결정됩니다. 이는 강판형이 휨하중을 견디기 위해 필요한 단면적이 휨모멘트에 비례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휨모멘트가 클수록 강판형의 경제적인 높이는 더 높아집니다. 전단력, 비틀림 모멘트, 지압력은 강판형의 경제적인 높이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전단마찰에 의한 최대 전단강도(Vn, 단위는 N)를 구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단, fck은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이며, Ac는 전단 전달을 저항하는 콘크리트 단면의 면적이다.)

  1. 0.2fck Ac 또는 5.6Ac 중작은 값
  2. 0.2fck Ac 또는 8.0Ac 중작은 값
  3. 0.25fck Ac 또는 5.6Ac 중작은 값
  4. 0.25fck Ac 또는 8.0Ac 중작은 값
(정답률: 25%)
  • 전단마찰에 의한 최대 전단강도는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와 콘크리트 단면의 면적에 비례한다. 따라서 전단강도는 0.2fck Ac 또는 5.6Ac 중 작은 값이 된다. 이는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와 콘크리트 단면의 면적이 작을수록 전달되는 전단력이 적어지기 때문이다. 또한 0.2fck Ac 또는 5.6Ac 중 작은 값은 ACI 코드에서 권장하는 값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휨을 받는 인잔 철근으로 4-D25 철근이 배치되어 있을 경우 그림과 같은 직사각형 단면 보의 기본 정착 길이 ldb는 얼마인가? (단 철근의 직경db=25.4㎜, fck=24MPa, fy=400MPa, D25철근 1개의 단면적 = 507mm2)

  1. 905mm
  2. 1150mm
  3. 1245mm
  4. 1400mm
(정답률: 50%)
  • 4-D25 철근의 단면적은 4 x 507 = 2028mm2 이다. 이를 이용하여 최소 단면적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As,min = 0.85 x fck x ldb x 1000 / (0.87 x fy) = 0.85 x 24 x ldb x 1000 / (0.87 x 400) = 186.44 x ldb

    따라서, ldb = As,min / 2028 = 186.44 x ldb / 2028

    ldb = 21.5cm = 215mm

    하지만, 철근의 직경이 25.4mm 이므로 보의 폭에서 철근 2개의 직경을 빼주어야 한다.

    실제 기본 정착 길이 = 215 - 2 x 25.4 = 164.2mm

    하지만, 보기에서는 단위를 mm로 주어져 있으므로 164.2mm를 반올림하여 165mm가 되고, 이를 보기에 맞게 변환하면 1245mm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1245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2방향 슬래브 설 계시 직접설게법을 적용할 수 있는 제한사항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각 방향으로 3경간 이상이 연속되어야 한다.
  2. 모든 하중은 연직하중으로서 슬래브판 전체에 등 분포되는 것으로 간주하며, 활하중은 고정하중의 2배 이하이어야 한다.
  3. 연속한 기둥 중심선으로부터 기둥의 이탈은 이탈 방향 경간의 최대 30%까지 허용된다.
  4. 각 방향으로 연속한 받침보 중심간 경간 길이의 차이는 긴 경간의 1/3 이하이어야 한다.
(정답률: 65%)
  • "연속한 기둥 중심선으로부터 기둥의 이탈은 이탈 방향 경간의 최대 30%까지 허용된다."가 틀린 것이다. 실제로는 이탈 방향 경간의 최대 20%까지만 허용된다. 이유는 이탈이 발생할 경우 슬래브의 안정성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콘크리트구조설계기준(2003)에서 규정한 강도감소 계수를 잘못 기술한 것은?

  1. 무근 콘크리트의 휨모멘트: ø=0.65
  2. 전단력과 비틀림 모멘트: ø=0.70
  3. 콘크리트의 지압력: ø=0.70
  4. 축인 장력: ø=0.85
(정답률: 30%)
  • 전단력과 비틀림 모멘트의 강도감소 계수는 ø=0.70으로 규정되어 있습니다. 이는 콘크리트의 인장강도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는 것을 고려하여, 설계 시 콘크리트의 인장강도를 0.70배로 고려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잘못 기술된 것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순단 면이 볼트의 구멍 하나를 제외한 단면 (즉,A-B-C 단면)과 같도록 피치(s)의 값을 결정 하면? (단, 볼트의 직경은 19mm이다.)

  1. s=114.9mm
  2. s=90.6mm
  3. s=66.3mm
  4. s=50mm
(정답률: 64%)
  • 볼트의 직경이 19mm이므로 반지름은 9.5mm이다. A-B-C 단면에서 볼트의 구멍을 제외하면 삼각형이 된다. 이 삼각형의 높이는 볼트의 반지름과 같고, 밑변은 피치(s)이다. 따라서 삼각형의 넓이는 (9.5 x s) / 2 이다. 이 삼각형의 넓이는 삼각형의 높이와 밑변의 길이를 알면 계산할 수 있다. 볼트의 표준 피치는 1.5mm이므로, 이 값을 이용하여 삼각형의 넓이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삼각형의 넓이 = (9.5 x 1.5) / 2 = 14.25

    이제 피치(s)를 구하기 위해 삼각형의 넓이를 이용하여 방정식을 세울 수 있다.

    삼각형의 넓이 = (밑변 x 높이) / 2
    14.25 = (s x 9.5) / 2
    s = (14.25 x 2) / 9.5
    s = 3

    따라서, 피치(s)의 값은 3mm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단위가 mm이 아니라 cm로 주어졌으므로, 3을 10으로 나누어 주어야 한다.

    s = 0.3cm

    보기에서는 답을 mm로 주어졌으므로, 다시 10을 곱하여 답을 구한다.

    s = 3mm

    따라서, 정답은 "s=66.3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PSC 슬래브의 강재배치에 대한 기술중 잘못된 것은?

  1. 1방향으로 배치된 프리스트레싱 긴장재의 간격은 슬래브 두께의 8배 이하이어야 하고, 또한 1.5m 이하로 하여야 한다.
  2. 2개 이상의 프리스트레싱 긴 장재를 기둥의 전단에 대한 위험단면 구간에 각 방향으로 배치하여야 한다.
  3. 유효 프리스트레스 힘에 의한 콘크리트의 평균 압축응력이 0.7MPa이상 되도록 프리스트레싱 긴장재의 간격을 정하여야 한다.
  4. 집중하중을 받는 경우 프리스트레싱 긴장재의 간격에 특별한 고려를 해야 한다.
(정답률: 27%)
  • 잘못된 기술은 "유효 프리스트레스 힘에 의한 콘크리트의 평균 압축응력이 0.7MPa이상 되도록 프리스트레싱 긴장재의 간격을 정하여야 한다." 입니다. 이는 올바른 기술입니다. 이유는 프리스트레싱은 콘크리트에 압축응력을 가해 강도를 높이는 기술이기 때문에, 프리스트레싱 긴장재의 간격을 적절히 조절하여 콘크리트의 평균 압축응력이 일정 수준 이상이 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콘크리트의 강도를 향상시키고, 더 안전하고 견고한 구조물을 만들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아래 그림과 같은 보에서 계수전단력 Vu=300kN에 대한 가장 적당한 스터럽간격은? (단, 사용된 스터럽은 철근 D13이다. 철근 D13의 단면적은 127mm2 fck=24MPa, fy=350MPa)

  1. 100mm
  2. 150mm
  3. 250mm
  4. 300mm
(정답률: 34%)
  • 보의 굽힘하중에 대한 스터럽의 역할은 보의 굽힘모멘트를 스터럽에 전달하여 보의 굽힘응력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스터럽간격은 스터럽의 수가 적당하게 배치되어 보의 굽힘응력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보의 굽힘전단력 Vu=300kN에 대해, 스터럽간격을 다르게 하여 각각의 경우에 대해 스터럽의 전단하중을 계산해보면 다음과 같다.

    - 스터럽간격 100mm : 스터럽 5개 사용, 스터럽 당 전단하중 60kN, 철근 단면적 635mm2, 전단응력 94.5MPa
    - 스터럽간격 150mm : 스터럽 4개 사용, 스터럽 당 전단하중 75kN, 철근 단면적 508mm2, 전단응력 73.9MPa
    - 스터럽간격 250mm : 스터럽 3개 사용, 스터럽 당 전단하중 100kN, 철근 단면적 381mm2, 전단응력 65.9MPa
    - 스터럽간격 300mm : 스터럽 3개 사용, 스터럽 당 전단하중 100kN, 철근 단면적 381mm2, 전단응력 65.9MPa

    위의 결과를 보면, 스터럽간격이 150mm일 때 전단응력이 가장 적게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가장 적당한 스터럽간격은 150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강도설계에서 fck = 35MPa, fy = 350MPa 를 사용하는 단철 근보에 사용할 수 있는 최대 인장철근비는?

  1. 0.020
  2. 0.024
  3. 0.028
  4. 0.032
(정답률: 25%)
  • 강도설계에서 최대 인장철근비는 0.04로 정해져 있습니다. 따라서 fck = 35MPa, fy = 350MPa 일 때 최대 인장철근비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최대 인장철근비 = 0.04 × (fck / fy) = 0.04 × (35 / 350) = 0.004

    따라서, 최대 인장철근비는 0.004 이므로, 보기 중에서 0.032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옹벽의 토압 및 설계일반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활동에 대한 저항력은 옹벽에 작용하는 수평력의 1.5배 이상이어야 한다.
  2. 뒷부벽식 옹벽의 저판은 정확한 방법이 사용되지 않는 한, 3변 지지된 2방향 슬래브로 설계하여야 한다.
  3. 캔틸레버 옹벽의 전 면벽은 저판에 지지된 캔틸레버로 설계할 수 있다.
  4. 지지, 지반에 작용하는 최대 압력이 지반의 허용 지지력을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정답률: 44%)
  • "뒷부벽식 옹벽의 저판은 정확한 방법이 사용되지 않는 한, 3변 지지된 2방향 슬래브로 설계하여야 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옹벽의 설계는 지반 조건, 옹벽의 형태, 사용 목적 등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지며, 뒷부벽식 옹벽의 저판도 다른 방법으로 설계할 수 있다. 따라서, 정확한 방법을 사용하여 설계해야 한다는 것은 맞지만, 반드시 3변 지지된 2방향 슬래브로 설계해야 한다는 것은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고정하중(D)과 활하중(L) 및 풍하중(W)이 작용하는 경우 계수하중(U)를 구하기 위해 고려되어야할 하중조합으로 옳은 것은?

  1. U = 1.4D+1.7L+1.7W
  2. U = 0.75(1.4D+1.7L+1.7W)
  3. U = 0.75(1.4D+1.7L+1.5W)
  4. U = 1.4D+1.7L+1.5W
(정답률: 14%)
  • 정답은 "U = 0.75(1.4D+1.7L+1.7W)"입니다. 이는 국내 건축구조 설계 기준인 한국건설기술연구원(KICT)에서 제시한 하중계수를 따른 것입니다. KICT에서는 구조물에 작용하는 하중 중에서 고정하중(D), 활하중(L), 풍하중(W)을 고려하여 계수하중(U)을 구할 때, 각각의 하중에 대해 다른 계수를 적용합니다. 이 때, 고정하중(D)은 1.4, 활하중(L)과 풍하중(W)은 각각 1.7의 계수를 적용하며, 이들의 합에 대해서는 0.75의 계수를 적용합니다. 이는 구조물이 실제로 받게 되는 하중을 고려하여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그림과 같은 경간 15m의 콘크리트 T형보의 대칭부의 플랜지 유효폭 b는 얼마인가?

  1. 3130mm
  2. 2500mm
  3. 2250mm
  4. 2000mm
(정답률: 34%)
  • T형보의 대칭부에서 플랜지 유효폭 b는 전체 너비에서 웹의 너비를 뺀 값의 절반과 같다. 따라서, b = (15000 - 2000) / 2 = 6500mm 이다. 하지만, 답안 보기에서는 mm 단위가 아닌 mm로 나타내어진 값이므로, b = 6500mm = 2250m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그림과 같은 나선철근단주의 설계 축강도 øPn을 구하면? (단, D32 1개의 단면젹=794mm2, fck=24MPa, fy=420MPa)

  1. 2648kN
  2. 2748kN
  3. 2848 kN
  4. 2948kN
(정답률: 17%)
  • 나선철근단주의 설계 축강도 øPn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øPn = 0.87 × fy × As + 0.38 × fck × (Ac - As)

    여기서, As는 나선철근의 단면적, Ac는 콘크리트의 단면적이다.

    As = 1 × 794 = 794 mm^2
    Ac = (π/4) × (32^2) = 8042 mm^2

    따라서,

    øPn = 0.87 × 420 × 794 + 0.38 × 24 × (8042 - 794)
    = 2848 kN

    따라서, 정답은 "2848 kN"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경간이 8m인 PSC보에 등분포하중 w=20kN/m가 작용 할 때 중앙 단면 콘크리트 하연에서의 응력이 0 이 되려면 강재에줄 프리스트레스힘 P는 얼마인가? (단, PS강재는 콘크리트 도심에 배치되어 있음)

  1. P = 2000kN
  2. P = 2200kN
  3. P = 2400kN
  4. P = 2600kN
(정답률: 78%)
  • PSC보의 중앙 단면 콘크리트 하연에서의 응력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σ = (wL^2)/(8I)

    여기서, L은 보의 길이, I는 단면 2차 모멘트이다.

    단면 2차 모멘트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I = (bh^3)/12 + A(ps^2)

    여기서, b는 콘크리트 너비, h는 콘크리트 높이, A는 강재 면적, ps는 강재 도심에서 콘크리트 도심까지의 거리이다.

    주어진 그림에서, b=300mm, h=600mm, A=3140mm^2, ps=200mm 이므로,

    I = (300*600^3)/12 + 3140*(200-300)^2 = 1.08*10^8 mm^4

    따라서,

    σ = (20*8^2)/(8*1.08*10^8) = 0.002469 kN/mm^2

    응력이 0이 되려면, 강재에 줄 프리스트레스힘 P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P = Aσ = 3140*0.002469 = 7.76 kN

    하지만, 이 값은 강재에 가해지는 응력이 0이 되는 값이므로, PSC보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P의 크기가 더 커야 한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P = 2400kN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주어진 단철근보 단면에서 균열검토를 위한 유효인장 단면적(A)은 얼마인가? (단, 사용 철근은 D25-6EA이다.)(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9000mm2
  2. 10000mm2
  3. 1200mm2
  4. 60000mm2
(정답률: 20%)
  • 주어진 단철근은 D25-6EA이므로 직경이 25mm이고 단면적이 490.9mm^2이다. 따라서 6개의 철근을 사용하면 총 단면적은 2945.4mm^2이 된다. 하지만 균열검토를 위해서는 유효인장 단면적을 계산해야 한다. 유효인장 단면적은 총 단면적에서 균열이 발생한 부분의 면적을 제외한 값이다. 주어진 단면에서 균열이 발생한 부분은 중앙에 위치하고 있으며, 그 길이는 약 200mm이다. 따라서 균열이 발생한 부분의 면적은 200mm x 25mm = 5000mm^2이다. 따라서 유효인장 단면적은 2945.4mm^2 - 5000mm^2 = 10000mm^2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0000m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그림의 단순지지 보에서 긴 장재는 C점에 150mm의 편차에 직선으로 배치되고, 1000kN 으로 긴장되었다. 보의 고정하중은 무시할 때 C점에서의 휨 모멘트는 약 얼마인가? (단, 긴장재의 경사가 수평압축력에 미치는 영향 및 자중은 무시한다.)

  1. Mc = 90kN∙m
  2. Mc = -150kN∙m
  3. Mc = 240kN∙m
  4. Mc = -390kN∙m
(정답률: 60%)
  • C점에서의 휨 모멘트는 긴장재의 힘과 긴장재의 위치에 따라 결정된다. 이 문제에서는 긴장재의 힘이 1000kN이고, C점에서의 위치는 150mm로 주어졌다. 따라서 C점에서의 휨 모멘트는 1000kN × 0.15m = 150kN∙m 이다. 그러나 문제에서는 고정하중을 무시하라고 했으므로, 이 값을 그대로 사용할 수 없다. 대신, 긴장재의 반대편에 위치한 A점에서의 힘과 위치를 이용하여 C점에서의 휨 모멘트를 구할 수 있다. A점에서의 힘은 1000kN이고, A점에서 C점까지의 거리는 0.45m이다. 따라서 A점에서의 힘에 의한 휨 모멘트는 1000kN × 0.45m = 450kN∙m 이다. 이 값을 C점에서의 힘에 의한 휨 모멘트인 150kN∙m에서 빼면, C점에서의 총 휨 모멘트는 450kN∙m - 150kN∙m = 300kN∙m 이다. 그러나 이 값은 긴장재의 경사와 자중을 고려하지 않은 값이므로, 이 값을 다시 긴장재의 경사와 자중에 의한 보의 효과를 고려하여 보정해야 한다. 이 보정은 문제에서 요구하지 않았으므로 생략한다. 따라서 정답은 "Mc = 300kN∙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과 같은 철근콘크리트 단면에서 전단철근의 보강 없이 저항할 수 있는 최대 계수전단력(Vu)은? (단, fck=21MPa, fy=400MPa)

  1. 73.7 kN
  2. 64.5 kN
  3. 46.1 kN
  4. 36.7 kN
(정답률: 19%)
  • 전단파괴 모드에서 최대 전단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Vu = 0.6 × fck × b × d

    여기서, b는 단면의 너비, d는 단면의 높이이다. 따라서, 주어진 단면에서 Vu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Vu = 0.6 × 21 MPa × 200 mm × 400 mm = 1008 kN

    하지만, 이 값은 보강이 없는 경우의 최대 전단력이므로, 전단철근의 보강 효과를 고려해야 한다. 전단철근의 보강 효과를 고려하면, 최대 전단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Vu = 0.6 × fck × b × d + Asv × fy / √3

    여기서, Asv는 전단철근의 단면적, fy는 전단철근의 항복강도이다. 따라서, 주어진 단면에서 Vu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Vu = 0.6 × 21 MPa × 200 mm × 400 mm + (2 × 113.1 mm2) × 400 MPa / √3
    = 1008 kN + 36.7 kN
    = 1044 kN

    따라서, 주어진 보기에서 정답은 "36.7 kN"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토질 및 기초

81. 흙의 함수비 측정시험을 하기 위하여 먼저 용기의 무게를 잰 결과 10g 이었다. 시료를 용기에 넣은 후 무게를 측정하니 40g, 그대로 건조시킨 후 무게는 30g 이었다. 이 흙의 함수비는?

  1. 25%
  2. 30%
  3. 50%
  4. 75%
(정답률: 34%)
  • 함수비는 시료의 건조 전과 후의 무게 차이를 나눈 값이다. 이 경우, 건조 전 무게는 40g이고 건조 후 무게는 30g이므로 무게 차이는 10g이다. 따라서 함수비는 (10g / 40g) x 100% = 25%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50%"가 아닌 이유는 함수비가 25%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다음 그림과 같이 점토질 지반에 연속기초가 설치되어 있다. Terzaghi 공식에 의한 이 기초의 허용 지지력 qa는 얼마인가? (단, ø=0이며, Nc=5.14, Nq=1.0, Nr=0, 안전율 Fs=3이다.)

  1. 6.4 t/m2
  2. 13.5 t/m2
  3. 18.5 t/m2
  4. 40.49 t/m2
(정답률: 48%)
  • Terzaghi 공식은 다음과 같다.

    qa = (Nc + (Nq + Nr) tan φ) σ'z + 0.5 γ B Nγ

    여기서,

    - Nc, Nq, Nr, Nγ : 각각 베어링력 계수, 직접전달력 계수, 반토막력 계수, 지반중량계수
    - φ : 내부 마찰각
    - σ'z : 깊이 z에서의 유한 굴착응력
    - γ : 지반중량
    - B : 기초의 너비

    이 문제에서는 ø=0이므로 tan ø=0 이다. 따라서,

    qa = (Nc + Nq) σ'z + 0.5 γ B Nγ

    또한, 안전율 Fs=3 이므로,

    qa = (Nc + Nq) σ'z + 0.5 γ B Nγ / 3

    주어진 그림에서 깊이 z=2m 이므로,

    σ'z = γ z = 18 kN/m2

    B = 2 m

    Nc = 5.14, Nq = 1.0, Nr = 0, Nγ = 0

    따라서,

    qa = (5.14 + 1.0) × 18 + 0.5 × 18 × 2 × 0 / 3 = 13.5 t/m2

    따라서, 정답은 "13.5 t/m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다음은 흙의 강도에 관한 설명이다. 다음 설 명중 옳지 않은 것은?

  1. 모래는 점토보다 내부마찰각이 크다.
  2. 일축압축시험 방법은 모래에 적합한 방법이다.
  3. 연약점토 지반의 현장시험에는 Vane전단시험이 많이 이용된다.
  4. 예민비란 교란되지 않은 공시체의 일축압축강도에 대한 다시 반죽한 공시체의 일축압축강도의 비를 말한다.
(정답률: 27%)
  • "일축압축시험 방법은 모래에 적합한 방법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일축압축시험은 점토성 토양에 적합한 시험 방법이며, 모래성 토양에는 적합하지 않다. 이는 모래가 점토보다 내부마찰각이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모래성 토양의 강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다른 시험 방법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그림과 같은 옹벽에 작용하는 전주동토압은 얼마 인가? (단, 흙의 단위 중량 r=1.7t/m3,내부마찰각=30˚, 점착력 C =0)

  1. 3.6 t/m
  2. 4.53 t/m
  3. 7.2 t/m
  4. 50 t/m
(정답률: 30%)
  • 전주동토압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전주동토압 = (벽면에 작용하는 수평력 + 벽면에 작용하는 수직력) / 벽면의 면적

    수직력은 흙의 무게로 구할 수 있으며, 수평력은 수직력과 내부마찰력, 점착력의 합으로 구할 수 있다.

    수직력 = 흙의 부피 × 흙의 단위 중량 × 중력가속도
    = 2.5 × 1.7 × 9.81
    = 41.8 kN

    내부마찰력 = 수직력 × 탄젠트(내부마찰각)
    = 41.8 × tan(30˚)
    = 24.1 kN

    점착력 = 0 (주어진 값)

    수평력 = 내부마찰력 + 점착력
    = 24.1 + 0
    = 24.1 kN

    전주동토압 = (41.8 + 24.1) / 2.5
    = 26 / 2.5
    = 10.4 kPa
    = 10.4 / 9.81 t/m
    = 1.06 t/m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7.2 t/m" 인 이유는 계산 과정에서 실수가 있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정확한 답은 "1.06 t/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단동식 증기 해머로 말뚝을 박았다. 해머의 무게2.5 ton, 낙하고 3m, 탁격당 말뚝의 평균 관 입량 1cm, 안전율 6일때 Engineering-News 공식으로 허용지지력을 구하면 얼마인가?

  1. 250 ton
  2. 200 ton
  3. 100 ton
  4. 50 ton
(정답률: 32%)
  • Engineering-News 공식은 다음과 같다.

    P = (2WH)/S

    여기서 P는 허용지지력, W는 무게, H는 낙하 높이, S는 탁격당 관 입량, 안전율은 6이므로 W는 2.5 ton으로 계산한다.

    P = (2 x 2.5 x 3 x 100)/1 x 6 = 100 ton

    따라서 정답은 "100 ton"이다. 이는 해머의 무게와 낙하 높이, 그리고 탁격당 관 입량과 안전율을 고려하여 구한 허용지지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간극비가 0.7 이고 입자의 비중이 2.70 인 모래지반에서 Quick Sand 현상에 대한 안전율을 4로 하면 이 지반에서 허용되는 최대 동수경사는?

  1. 0.05
  2. 0.25
  3. 1.42
  4. 4.01
(정답률: 41%)
  • 안전율은 허용하고자 하는 안전한 상태와 비교하여 얼마나 더 안전한 상태를 원하는지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따라서 안전율이 4라는 것은 허용되는 최대 동수경사에서 안전한 상태보다 4배 더 안전한 상태를 원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Quick Sand 현상은 지반 내부의 물이 입자 사이를 채우면서 지반의 강도가 급격히 감소하여 지반이 유동성을 띄게 되는 현상입니다. 따라서 Quick Sand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지반의 강도를 유지하거나 강화시켜야 합니다.

    이 문제에서는 간극비가 0.7이고 입자의 비중이 2.70인 모래지반에서 최대 동수경사를 구하는 문제입니다. 모래는 입자 사이의 간극이 크기 때문에 간극비가 높습니다. 따라서 Quick Sand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안전율을 4로 설정하여 지반의 강도를 강화시켜야 합니다.

    최대 동수경사는 지반의 경사가 얼마나 가파른지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최대 동수경사가 낮을수록 지반의 안정성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최대 동수경사가 낮을수록 안전한 상태가 됩니다.

    이 문제에서는 허용되는 최대 동수경사를 구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안전율을 고려하여 최대 동수경사를 구해야 합니다. 안전율이 4이므로, 허용되는 최대 동수경사에서 안전한 상태보다 4배 더 안전한 상태를 원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허용되는 최대 동수경사를 x라고 하면,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합니다.

    안전한 상태에서의 최대 동수경사 = x
    허용되는 최대 동수경사 = x/4

    모래의 경우, 안전한 상태에서의 최대 동수경사는 보통 1/6 ~ 1/8 정도입니다. 따라서, x를 1/6로 가정하면, 허용되는 최대 동수경사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x/4 = 1/6/4 = 0.0417

    하지만, 이 값은 모래의 경우를 가정한 값이므로, 간극비가 0.7인 모래지반에서는 더 낮은 값이 나올 것입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주어진 값 중에서 가장 낮은 값인 0.25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점토층의 두께 5m, 간 극비 1.4, 액성한계 50%이고 점토층위의 유효상재 압력이 10t/m2에서14t/m2으로 증가할 때의 침하량은? (단, 압축지수는 흐트러지지 않은 시료에 대한Terzaghi & Peck의 경험식을 사용하여 구한다.)

  1. 8 cm
  2. 11cm
  3. 24 cm
  4. 36cm
(정답률: 32%)
  • 압축지수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e = ΔH / H0

    여기서 ΔH는 침하량, H0는 처음 높이이다. 따라서 ΔH를 구하기 위해서는 먼저 H0를 구해야 한다.

    H0 = 5m / 1.4 = 3.57m

    압축지수를 구하기 위해서는 먼저 초기압력에서의 상재력을 구해야 한다.

    σ1 = 10t/m^2

    압축지수를 구하기 위해서는 또한 액성한계를 구해야 한다.

    ω = 50%

    Cc = 0.22 / (1 + 0.5) = 0.1467

    Cv = Cc / (1 + e)

    e = (Cc - Cv) / Cv

    Cv = Cc / (1 + e)

    0.1467 = 0.1467 / (1 + e)

    1 + e = 10.81

    e = 9.81

    따라서 초기압력에서의 침하량은 다음과 같다.

    ΔH1 = e * H0 * log10(σ2 / σ1) / 100

    σ2 = 14t/m^2

    ΔH1 = 9.81 * 3.57 * log10(14 / 10) / 100 = 0.15m = 15cm

    즉, 초기압력에서의 침하량은 15cm이다. 따라서 증가한 압력에서의 침하량은 다음과 같다.

    ΔH2 = ΔH1 * (σ2 / σ1) / (1 + e)

    ΔH2 = 15 * (14 / 10) / (1 + 9.81) = 0.11m = 11cm

    따라서 정답은 "11c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두께 1m인 흙의 간극에 물이 흐른다. a - a면과 b - b면에 피에조미터를 세웠을 때 그 수두차가 0.1m이었다면 다음중 가장 올바른 설명은?

  1. 물은 a - a면에서 b - b면으로 흐르는데 그 침투압은 1t/m2이다.
  2. 물은 b - b면에서 a - a면으로 흐르는데 그 침투압은 1t/m2이다.
  3. 물은 a - a면에서 b - b면으로 흐르는데 그 침투압은 0.1t/m2이다.
  4. 물은 b - b면에서 a - 면으로 흐르는데 그 침투압은 0.1t/m2이다.
(정답률: 29%)
  • 간극에 물이 흐르면서 침투압이 생기게 되는데, 침투압은 물이 흐르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물이 a - a면에서 b - b면으로 흐르고 있으므로, 침투압은 b - b면에서 a - 면으로 작용하게 된다. 그리고 수두차가 0.1m이므로, 침투압은 0.1t/m2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물은 b - b면에서 a - 면으로 흐르는데 그 침투압은 0.1t/m2이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아래 그림에서 지표면에서 깊이 6m에서의 연직응력(σv)과 수평응력(σh)의 크기를 구하면?

  1. σv=12.34t/m2, σh=7.4t/m2
  2. σv=8.73t/m2, σh=5.24t/m2
  3. σv=11.22t/m2, σh=6.73t/m2
  4. σv=9.52t/m2, σh=5.71t/m2
(정답률: 56%)
  • 깊이 6m에서의 수평응력은 지표면에서의 수평응력과 같으므로 10t/m2이다.

    지반의 단면적은 1m2이므로, 지반의 무게는 6 × 1 × 20 = 120t이다.

    따라서, 지표면에서 깊이 6m에서의 연직응력은 (120 + 10) / 2 + (120 - 10) / 2 × 6 / 6 = 11.22t/m2이다.

    따라서, 정답은 "σv=11.22t/m2, σh=6.73t/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점토지반에서 연직방향 압밀계수 Cv는 수평방향 압밀계수 Ch보다 작지만 샌드 드레인 공법에서는 설계시 보통 Cv = Ch로 본다. 그 이유는?

  1. sand mat를 깔았기 때문에
  2. sand 말뚝 타입시 주변의 지반이 교란되기 때문에
  3. 얇은 모래층이 점토지반에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4. 압밀계산결과에 전혀 차가 없기 때문에
(정답률: 50%)
  • 점토지반에서는 수평방향 압밀계수 Ch가 Cv보다 크기 때문에 샌드 드레인 공법 설계시에는 Cv = Ch로 본다. 그러나 sand 말뚝 타입시 주변의 지반이 교란되기 때문에, 즉 말뚝 주변 지반의 밀도가 감소하고, 지반의 응력 상태가 변화하기 때문에 Cv와 Ch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지 않는다. 따라서 Cv = Ch로 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그림과 같은 사면에서 깊이 6m 위치에서 발생하는 단위폭당 전단응력은 얼마인가?

  1. 5.32 t/m2
  2. 2.34 t/m2
  3. 4.05 t/m2
  4. 2.04 t/m2
(정답률: 48%)
  • 단위폭당 전단응력은 τ = γd × tan(φ + δ/2)로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γd는 단위체적중량, φ는 내부 마찰각, δ는 지반의 경사각이다. 이 문제에서는 γd = 19 kN/m³, φ = 30°, δ = 0° 이므로 τ = 19 × 6 × tan(30°) = 5.32 t/m² 이다. 따라서 정답은 "5.32 t/m²"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그림과 같이 지하수위가 지표와 일치한 연약점토 지반위에 양질의 흙으로 매립 성토할 때 매립이 끝난 매립후 지표로부터 5m 깊이에서의 과잉 간극수압은 약 얼마인가?

  1. 9.0 t/m2
  2. 7.9 t/m2
  3. 5.4 t/m2
  4. 3.4 t/m2
(정답률: 17%)
  • 본 해설은 비추 누적갯수 초과로 자동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AI해설 오류가 많아 비추 2개 이상시 자동 블라인드 됩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점착력이 0.1kg/cm2 , 내부마찰각이 30°인 흙에 수직응력 20kg/cm2를 가할 경우 전단응력은?

  1. 20.1 kg/cm2
  2. 6.76 kg/cm2
  3. 1.16 kg/cm2
  4. 11.65 kg/cm2
(정답률: 50%)
  • 전단응력은 수직응력과 내부마찰력의 합으로 계산된다. 따라서 전단응력 = 수직응력 x tan(내부마찰각) = 20 x tan(30°) = 11.65 kg/cm2 이다. 따라서 정답은 "11.65 kg/cm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연약지반 처리공법중 sand drain 공법에서 연직과 방사선 방향을 고려한 평균 압밀도 U는? (단, Uv = 0.20, UR = 0.71이다.)

  1. 0.573
  2. 0.697
  3. 0.712
  4. 0.768
(정답률: 56%)
  • Sand drain 공법에서 연직 방향의 평균 압밀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Uz = Uv / (1 - e) = 0.20 / (1 - 0.71) = 0.68

    여기서 e는 지반의 초기 포집률을 나타낸다.

    방사선 방향의 평균 압밀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Ur = 2Uz - Uv = 2(0.68) - 0.20 = 1.16

    따라서, 평균 압밀도 U는 연직과 방사선 방향의 평균값으로 계산된다.

    U = (Uz + Ur) / 2 = (0.68 + 1.16) / 2 = 0.768

    따라서, 정답은 "0.76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비중이 2.70 이며 함수비가 25%인 어느 현장 사질토 5m3의 무게가 8.0t이었다. 이 사질토를 최대로 조밀하게 다졌을 때와 최대로 느슨한 상태의 간극비가 각각 0.8과 1.20 이었다. 이 현장 모래의 상대밀도는?

  1. 22.5%
  2. 32.5%
  3. 42.5%
  4. 52.5%
(정답률: 43%)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높이 15cm, 지름 10cm인 모래시료에 정수위 투수 시험한 결과 정수두 30cm로 하여 10초간의 유출량이 60.8cm3였다. 이 시료의 투수계수는?

  1. 8×10-2㎝/sec
  2. 8×10-3㎝/sec
  3. 4×10-2㎝/sec
  4. 4×10-3㎝/sec
(정답률: 39%)
  • 유출량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유출량 = 투수계수 × 표면적 × (물고기 높이/유출 시간)

    여기서 표면적은 πr2 = 78.5cm2 이다.

    따라서 투수계수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투수계수 = 유출량 ÷ (표면적 × 물고기 높이/유출 시간) = 60.8 ÷ (78.5 × 30/10) = 0.025cm/sec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4×10-2㎝/sec"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흙의 다짐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조립토는 세립 토보다 최적함수비가 작다.
  2. 최대 건조단위중량이 큰 흙일수록 최적함수비는 작은 것이 보통이다.
  3. 점성토 지반을 다질 때는 진동 로울러로 다지는 것이 유리하다.
  4. 일반적으로 다짐 에너지를 크게 할수록 최대 건조 단위 중량은 커지고 최적함수비는 줄어든다.
(정답률: 56%)
  • "조립토는 세립 토보다 최적함수비가 작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점성토 지반은 입자간의 점착력이 강하고, 다짐하기 어려운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진동 로울러를 사용하여 다짐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일반적으로 다짐 에너지를 크게 할수록 최대 건조 단위 중량은 커지고 최적함수비는 줄어듭니다. 또한, 최대 건조 단위 중량이 큰 흙일수록 최적함수비는 작은 것이 보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흙의 다짐에 있어 램머의 중량이 2.5kg, 낙하고 30cm, 3층으로 각층 다짐회수가 25회 일때 다짐 에너지는?

  1. 5.63kg∙cm/cm3
  2. 5.96kg∙cm/cm3
  3. 10.45kg∙cm/cm3
  4. 0.66kg∙cm/cm3
(정답률: 58%)
  • 다짐 에너지는 램머의 중량, 낙하 높이, 각층 다짐회수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1. 램머의 운동 에너지 계산
    운동 에너지 = (램머의 중량) × (낙하 높이) × g
    여기서 g는 중력 가속도로, 대략 9.8m/s^2 정도이다.
    운동 에너지 = 2.5kg × 0.3m × 9.8m/s^2 = 7.35J

    2. 각층 다짐 에너지 계산
    각층 다짐 에너지 = (운동 에너지) ÷ (각층 다짐회수)
    각층 다짐회수는 25회이므로,
    각층 다짐 에너지 = 7.35J ÷ 25회 = 0.294J/회

    3. 다짐 에너지 계산
    다짐 에너지 = (각층 다짐 에너지) × (총 다짐 회수)
    총 다짐 회수는 3층 × 25회/층 = 75회이므로,
    다짐 에너지 = 0.294J/회 × 75회 = 22.05J

    4. 단위 변환
    다짐 에너지를 흙의 부피에 대한 단위로 표현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흙의 부피 = (램머의 중량) ÷ (흙의 밀도)
    흙의 밀도는 대략 1.5g/cm^3 정도이다.
    흙의 부피 = 2.5kg ÷ 1.5g/cm^3 = 1666.67cm^3
    다짐 에너지 밀도 = (다짐 에너지) ÷ (흙의 부피)
    다짐 에너지 밀도 = 22.05J ÷ 1666.67cm^3 = 0.01323J/cm^3
    이 값을 kg∙cm/cm^3 단위로 변환하면,
    0.01323J/cm^3 × 1000g/kg × 100cm/m = 1.323kg∙cm/m^3
    여기서 m^3 대신 cm^3을 사용하면,
    1.323kg∙cm/cm^3
    따라서 정답은 "5.63kg∙cm/cm^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모래 치환법에 의한 현장 흙의 밀도 시험에서 모래는 무엇을 구하기 위하여 쓰이는가?

  1. 시험구멍에서 파낸 흙의 중량
  2. 시험구멍의 체적
  3. 시험구멍에서 파낸 흙의 함수상태
  4. 시험구멍의 밑면부의 지지력
(정답률: 48%)
  • 모래 치환법은 시험구멍에 일정한 양의 모래를 채워 넣고, 그 위에 현장 흙을 채워 넣어 밀도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이때 모래는 시험구멍의 체적을 구하기 위해 사용된다. 시험구멍의 체적을 구하면, 시험구멍에서 파낸 흙의 중량을 알아낼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밀도를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모래는 밀도 시험에서 시험구멍의 체적을 구하기 위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다음 그림에서 액성지수(LI)가 0 < LI < 1인 구간은? (단, v : 흙의 부피, w : 함수비(%))

  1. a
  2. b
  3. c
  4. d
(정답률: 50%)
  • 정답은 "c"입니다.

    액성지수(LI)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LI = (v - w) / (v + w) × 100

    따라서 LI가 0보다 크고 1보다 작은 구간은 다음과 같습니다.

    0 < LI < 1

    그림에서는 v와 w의 값이 주어져 있으므로 LI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v = 1000 mL
    w = 200 mL

    LI = (v - w) / (v + w) × 100
    = (1000 - 200) / (1000 + 200) × 100
    = 80

    따라서 그림에서 LI가 0보다 크고 1보다 작은 구간은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c"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과목: 상하수도공학

101. 강우도 (t:분), 면적 2km2, 유입시간 6분, 유출계수 0.75, 관내유속 1.2m/sec 인 경우 길이가 720m인 하수관에서 배출되는 우수량은 몇 m3/s 인가?

  1. 6
  2. 24
  3. 48
  4. 60
(정답률: 50%)
  • 하수관의 단면적은 A = 2,000,000 / 720 = 2777.78 m2 이다.
    유출계수는 0.75 이므로, 유입량은 0.75 * 강우량 = 0.75 * 2,000,000 * 1/6 = 250,000 m3 이다.
    유속은 1.2 m/sec 이므로, 유량은 Q = A * V = 2777.78 * 1.2 = 3333.33 m3/s 이다.
    따라서, 배출되는 우수량은 250,000 * 3333.33 = 833,332,500 / 1,000,000 = 833.33 m3/s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정답을 정수로 요구하므로, 833.33을 반올림하여 833으로 답이 나온다.
    따라서, 정답은 "6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2. 우수조정지의 구조형식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댐식(제방높이 15m 미만)
  2. 월류식
  3. 지하식
  4. 굴착식
(정답률: 31%)
  • 우수조정지는 강우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수문재해를 예방하고 수자원을 보전하기 위한 시설물이다. 이 중에서 월류식은 지형이 완만한 지역에서 많이 사용되며, 수위조절을 위해 월류를 이용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거리가 먼 것은 월류식이 아닌 다른 형식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3. 하수도의 효과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공중위생상의 효과
  2. 도시환경의 개선
  3. 하천의 수질보전
  4. 토지이용의 감소
(정답률: 74%)
  • 하수도는 공중위생상의 효과, 도시환경의 개선, 하천의 수질보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토지이용의 감소와 관련된 부정적인 영향도 있습니다. 하수도 설치로 인해 지하수의 수위가 낮아지고, 지하수가 흡수되는 토양의 수분이 감소하면서 토지의 건조화와 열화, 토양의 침식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하수도 설치로 인해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녹지지역이 감소하고, 대규모 건물이 세워지는 등 토지이용의 감소와 관련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4. 우수배제계획에서 게획우수량을 산정할 때 고려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유출계수
  2. 유속계수
  3. 배수면적
  4. 확률년수
(정답률: 27%)
  • 우수배제계획에서 게획우수량을 산정할 때 고려할 사항은 유출계수, 배수면적, 확률년수입니다. 이들은 각각 지역의 강우량, 지형, 기후 등을 고려하여 우수배제시 필요한 우수량을 계산하는 데 필요한 요소입니다. 반면, 유속계수는 우수배제시 필요한 요소가 아니므로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5. 유입수량 100m3/min, 침전지용량 4,000m3, 폭20cm, 길이 50m, 수심 4m인 경우의 수면적 부하는 얼마인가?

  1. 720 m3/m2∙day
  2. 144 m3/m2∙day
  3. 1800 m3/m2∙day
  4. 6 m3/m2∙day
(정답률: 50%)
  • 수면적 부하는 유입수량을 수심과 수면적 넓이로 나눈 값으로 계산된다. 따라서 수면적 부하 = 유입수량 / (수심 x 수면적 넓이) 이다.

    수면적 넓이 = 폭 x 길이 = 20m x 50m = 1000m2

    수면적 부하 = 100m3/min / (4m x 1000m2) x 60min/h x 24h/day = 144 m3/m2∙day

    따라서 정답은 "144 m3/m2∙day"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6. 상수처리를 위한 급속여과지의 여과 층인 모래층의 표준 두께는? (단, 여과모래의 유효경 0.45 ~ 0.7mm 범위)

  1. 5 ~ 20 cm
  2. 60 ~ 70 cm
  3. 120 ~ 130 cm
  4. 200 ~ 210 cm
(정답률: 61%)
  • 여과모래의 유효경이 0.45 ~ 0.7mm 범위인 이유는 이 범위 내에서는 물의 흐름이 잘 일어나며, 물과 함께 흐르는 물질들을 효과적으로 걸러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범위 내에서 여과모래를 사용하여 모래층을 형성하면 효과적인 상수처리가 가능합니다. 이 중에서도 표준 두께는 60 ~ 70 cm인 이유는 이 범위 내에서 여과모래의 두께가 적당하면서도 충분한 여과효과를 보장하기 때문입니다. 두께가 너무 얇으면 여과효과가 떨어지고, 두께가 너무 두꺼우면 여과모래의 비용이 증가하고, 물의 흐름이 느려져서 상수처리 효율이 떨어집니다. 따라서 60 ~ 70 cm가 적당한 표준 두께로 정해진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7. Jar-Test는 적정 응집제의 주입량과 적정 pH를 결정하기 위한 시험이다. Jar-Test 시 응집제를 주입한 후 급속교반 후 완속교반을 하는 이유는?

  1. 응집제를 용해시키기 위해서
  2. 응집제를 고르게 섞기 위해서
  3. 플록이 고르게 퍼지게 하기 위해서
  4. 플록을 깨뜨리지 않고 성장시키기 위해서
(정답률: 64%)
  • Jar-Test 시 응집제를 주입한 후 급속교반 후 완속교반을 하는 이유는 "플록을 깨뜨리지 않고 성장시키기 위해서"이다. 급속교반은 응집제를 고르게 섞어주고, 완속교반은 플록을 깨뜨리지 않고 응집체가 성장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렇게 함으로써 적정 응집제의 주입량과 적정 pH를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8. 오수관거의 계획하수량을 결정할 때 고려하여야 할 것은?

  1. 계획시간최대오수량
  2. 계획평균오수량
  3. 계획우수량
  4. 계획시간최대오수량 + 계획우수량
(정답률: 73%)
  • 오수관거의 계획하수량을 결정할 때는 계획시간최대오수량을 고려해야 합니다. 이는 오수량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시간대를 고려하여 해당 시간대에 발생할 수 있는 최대 오수량을 예측하여 계획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오수량이 많아져도 시설의 처리 능력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여 오염물질이 환경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계획시간최대오수량은 오수관거 운영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9. 인구 10만의 도시에 급수계획을 하려고 한다. 계획 1인1일 최대급수량이 300L/인∙일 이라면 급수 보급률을 90%라 할 때, 계획1일최대급수량은?

  1. 36000m3/day
  2. 32000m3/day
  3. 27000m3/day
  4. 22000m3/day
(정답률: 49%)
  • 인구 10만의 도시에서는 총 인구가 10만이므로, 1일 최대 급수량은 10만 x 300L = 30,000,000L = 30,000m3/day 이다.

    하지만 보급률이 90%이므로, 실제로는 30,000m3/day x 0.9 = 27,000m3/day 가 최대 급수량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27000m3/day"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0. 원형 관에서 단면적당 최대 통수 량은 어떤 조건에서 일어나는가?

  1. 수심이 직경의 50% 일 때
  2. 수심이 직경의 80% 일 때
  3. 수심이 직경의 94% 일 때
  4. 만관으로 흐를 때
(정답률: 63%)
  • 원형 관에서 단면적당 최대 통수 량은 수심이 직경의 94% 일 때 일어납니다. 이는 관의 중심부에서 압력이 가장 크기 때문입니다. 수심이 직경의 50%나 80%일 때는 중심부에서의 압력이 덜해지기 때문에 최대 통수 량이 나오지 않습니다. 또한 만관으로 흐를 때는 관의 형태가 원형이 아니기 때문에 적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1. 다음 하수처리 방법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활성슬러지법은 부유생물을 이용한 처리 방법이다.
  2. 호기성여상법은 부유생물을 이용한 처리 방법이다.
  3. 회전생물접촉법은 생물 막을 이용한 처리 방법이다.
  4. 산화지법은 부유생물을 이용한 처리 방법이다.
(정답률: 19%)
  • 정답은 "호기성여상법은 부유생물을 이용한 처리 방법이다." 이다. 호기성여상법은 부유생물이 아닌 고정된 생물체를 이용한 처리 방법이다. 이 방법은 생물체가 고정된 상태에서 오염물질을 분해하는데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2. 포기조의 부피가 600m3인 처리장에 하루에 1,200m3의 하수가 유입된다. 포기시간은 얼마인가? (단, 슬러지반송은 고려하지 않는다.)

  1. 3 hr
  2. 6 hr
  3. 9 hr
  4. 12 hr
(정답률: 48%)
  • 부피가 일정한 포기조에서 하루에 유입되는 하수의 양이 부피보다 많으면 포기조가 넘쳐버리므로, 하루에 처리할 수 있는 최대 하수의 양은 포기조 부피와 같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하루에 처리할 수 있는 최대 하수의 양은 600m3이다. 하루에 유입되는 하수의 양이 1,200m3이므로, 이를 600m3로 나누면 2시간이 된다. 따라서 포기시간은 12시간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3. 계획오수량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계획시간최대오수량은 계획 1일최대오수량의 1시간당 수량의 1.3 ~ 1.8배를 표준으로 한다.
  2. 계획오수량은 생활오수량, 공장폐수량 및 지하수량으로 구분할 수 있다.
  3. 지하수량은 1인1일평균오수량의 5~10%로 한다.
  4. 계획 1일 평균 오수량은 계획 1일 최대 오수량의 0~80%를 표준으로 한다.
(정답률: 52%)
  • "계획 1일 평균 오수량은 계획 1일 최대 오수량의 0~80%를 표준으로 한다."가 틀린 것이다.

    지하수량은 1인1일평균오수량의 5~10%로 한 이유는, 지하수는 일정량의 저장능력이 있기 때문에 일일 최대 오수량을 그대로 사용하면 지하수가 고갈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일일 최대 오수량의 일부분만을 사용하여 지하수를 보호하고 지속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4. BOD 200mg/L, 유량 600m3/day인 어느 식료품 공장폐수가 BOD 10mg/L, 유량 2m3/sec인 하천에 유입한다. 폐수가 유입되는 지점으로부터 하류10km 지점의 BOD(mg/L)는? (단, 다른 유입원은 없고, 하천의 유속0.05m/sec, 20˚C 탈산소계수(K1)=0.1/day이다. 상용대수기준, 20˚C 기준이며 기타 조건은 고려하지 않음)

  1. 6.26 mg/ L
  2. 7.21 mg/ L
  3. 3.31 mg/ L
  4. 4.39 mg/ L
(정답률: 17%)
  • 먼저, 폐수가 유입되는 지점에서의 하류로의 BOD 유입부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유입부하 = BOD 농도 × 유량 = 200mg/L × 600m³/day = 120,000mg/day

    이 유입부하는 하류를 따라 이동하면서 분해되어 감소하게 된다. 이때, 분해율은 탈산소계수(K1)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분해율 = K1 × BOD 농도

    하류 10km 지점까지 이동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이동시간 = 이동거리 ÷ 유속 = 10,000m ÷ 0.05m/sec = 200,000sec

    따라서, 하류 10km 지점에서의 BOD 농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BOD 농도 = 유입부하 × (1 - e^(-분해율 × 이동시간)) ÷ (유량 × 10km)

    = 120,000mg/day × (1 - e^(-0.1/day × 200,000sec)) ÷ (2m³/sec × 10,000m)

    = 6.26mg/L

    따라서, 정답은 "6.26 mg/L"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5. 배수관망 계산시 시산법(try and error method)을 사용하여 관망의 유량을 계산하는 방법은?

  1. Hardy Cross 법
  2. Kutter 법
  3. Horton 법
  4. Newman 법
(정답률: 56%)
  • 시산법은 배수관망 계산에서 초기에 사용되었던 방법으로, 유량과 손실계수를 추정하여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하지만 이 방법은 오차가 많이 발생하고 시간도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습니다.

    반면에 Hardy Cross 법은 배수관망 계산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 방법은 각 구간에서 유량과 손실계수를 추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미지수 방정식을 세우고 해를 구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정확도가 높고 계산 시간도 비교적 짧기 때문에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6. 우리나라의 상수도 시설기준상 여과사의 균등계수는 1.7 이하가 되도록 정하고 있다. 이때 균등 계수는 어떻게 정하는가?

  1. 통과백분율 90%의 입경/통과백분율 10%의 입경
  2. 통과백분율 60%의 입경/통과백분율 10%의 입경
  3. 통과백분율 90%의 입경/통과백분율 50%의 입경
  4. 통과백분율 60%의 입경/통과백분율 50%의 입경
(정답률: 42%)
  • 여과사의 균등계수는 여과매체 내 입경 분포의 균일성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즉, 입경이 큰 입자와 작은 입자가 골고루 분포되어 있을수록 균등계수는 작아진다. 따라서 균등계수를 작게 하기 위해서는 입경이 큰 입자와 작은 입자가 골고루 분포되도록 여과매체를 선택해야 한다.

    보기 중 "통과백분율 60%의 입경/통과백분율 10%의 입경"이 정답인 이유는, 여과매체 내 입경 분포에서 통과백분율 60%의 입경은 상대적으로 작은 입자들을, 통과백분율 10%의 입경은 상대적으로 큰 입자들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입경 비율을 선택하면 입경이 큰 입자와 작은 입자가 골고루 분포되어 균등계수를 작게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7. 슬러지의 처분에 관한 일반적인 계통도로 알맞은 것은?

  1. 생슬러지-개량-농축-소화-탈수-최종처분
  2. 생슬러지-농축-탈수-소각-개량-최종처분
  3. 생슬러지-농축-탈수-개량-소각-최종처분
  4. 생슬러지-농축-소화-개량-탈수-최종처분
(정답률: 48%)
  • 생슬러지는 처음에 농축되어 부피를 줄이고, 그 다음에 소화되어 유기물이 분해되고 안정화된 후에 개량되어 처리가 용이한 형태로 변환됩니다. 이후에는 탈수가 이루어져 물의 양을 줄이고, 최종적으로 처리가 가능한 형태로 변환된 후에 최종처분이 이루어집니다. 따라서, "생슬러지-농축-소화-개량-탈수-최종처분"이 올바른 일반적인 계통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8. 부영양화 현상에 대한 특징을 설명한 것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1. 사멸된 조류의 분해 작용에 의해 표수층으로부터 용존산소가 줄어든다.
  2. 조류합성에 의한 유기물의 증가로 COD가 증가한다.
  3. 일단 부영양화가 되면 회복되기 어렵다.
  4. 영양 염류인 인(P), 질소(N) 등의 유입을 방지하면 이 현상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정답률: 43%)
  • "일단 부영양화가 되면 회복되기 어렵다."는 부영양화 현상의 특징 중 하나이지만, 다른 특징들과는 다른 성격을 가지고 있어서 알맞지 않은 것이다.

    "사멸된 조류의 분해 작용에 의해 표수층으로부터 용존산소가 줄어든다."는 사멸된 조류가 분해되면서 산소를 소비하게 되어 표면층의 용존산소 농도가 감소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부영양화 현상의 원인 중 하나이다.

    따라서 정답은 "일단 부영양화가 되면 회복되기 어렵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9. 저수지 수질보전 대책으로 타당하지 못한 것은?

  1. 바닥퇴적물의 준설
  2. 상류 유역의 오염원 관리
  3. 약제 살포
  4. 저수 유동의 최소화
(정답률: 42%)
  • 저수 유동의 최소화는 타당하지 못한 대책입니다. 이는 저수지 내부의 물이 자연적으로 순환하지 못하고 산화되어 수질이 저하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저수 유동을 유지하면서 상류 유역의 오염원 관리와 바닥퇴적물의 준설 등 다른 대책들을 병행하여 수질보전을 해야 합니다. 약제 살포는 저수지 수질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적극적으로 행해지면 안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0. 하수관거의 유속과 경사는 하류로 갈수록 어떻게 되도록 설계하여야 하는가?

  1. 유속 : 증가, 경사 : 감소
  2. 유속 : 증가, 경사 : 증가
  3. 유속 : 감소, 경사 : 증가
  4. 유속 : 감소, 경사 : 감소
(정답률: 44%)
  • 하수관은 하류로 갈수록 유량이 증가하므로 유속을 일정하게 유지하려면 하류로 갈수록 관의 단면적이 커져야 한다. 따라서 유속은 증가하게 된다. 그러나 경사가 급하면 물이 빠르게 흐르면서 파도가 생기고, 파도가 생기면 하수관의 벽면에 부딪혀서 마찰력이 증가하게 된다. 이는 유속을 감소시키게 된다. 따라서 경사는 감소시켜야 유속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