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물리해양학
1. 해양의 베타(β)효과(현상)에 대한설명으로 옳은 것은?
2. 코리올리힘(Coriolis force)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3. 우린나라의 동해안과 서해안의 조석과 조류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4. 우리나라 해안의 염분 상황으로 옳은 것은?
5. 천해파의 성질로만 짝지어진 것은?
6. 해류를 일으키는 요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7. 북반구에서 연안용승이 나타날 수 있는 가장 적합한 경우는?
8. 강제파에 해당하는 것은?
9. 다 자란 풍랑(fully developed sea)의 발생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0. 쿠로시오 해류와 역학적으로 가장 비슷한 성격을 가지고 있는 것은?
11. 오일러식 해류 직접관측을 할 수 있는 기기는?
12. 세계 해양 전체의 평균수심은 약 얼마인가?
13. 해수 중에서의 음속은?
14. 다음 중 해양에서 수평적으로 온도나 염분의 변화가 가장 큰 곳은?
15. 해양의 염분을 좌우하는 요소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6. 평형조석론(the equilibrium theory of the tides)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7. 태음일(lunar day)에 해당하는 것은?
18. 우리나라 근해 해류에 있어서 코리올리스의 힘(Coriolis force)이 작용하는 방향은?
19. 일조부등(diurnal inequality)이 극히 작은 시기의 조석은?
20. 우리나라 근해에 영향을 미치는 해류는?
2과목: 화학해양학
21. 해수 중의 탄산염 침전을 촉진하는 요소가 아닌 것은?
22. 해수의 염분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23. 원자력 발전소에서 해양에 배출되는 온배수의 영향이 아닌 것은?
24. 대표적인 용존산소량 측정법은?
25. 간척사업이나 해양 토목공사로 인해 수질에 가장 나쁜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26. 겉보기 간소 소비량(AOU)이란?
27. 해수의 주요성분인 음이온(ion) 중에서 중량비가 가장 큰 것은?
28. 국제적으로 인정받게 된 염분(S)과 염소(Cl)의 관계식을 바르게 나타낸 것은?
29. 해수의 미량 원소가 아닌 것은?
30. 해수 중 미량 중금속을 농축하기 위하여 가장 적합한 방법은?
31. 해양 생물의 제한 원소(Biolimiting elements)가 되지 않는 것은?
32. 해수 중 화학적산소요구량(COD)을 측정하는 방법으로서 적합한 것은?
33. 해수의 pH를 조절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성분은?
34. 다음 중 일반 해수에서 농도가 가장 낮은 것은?
35. 채수병에서 해수를 따를 때 가장 먼저 취해야 하는 분석시료는?
36. 다음 방사성 핵종들 중 연악역에 있어서 해저퇴적물의 퇴적 속도를 측정하는데 가장 흔히 이용되는 것은?
37. 유기주석화합물에 의한 해양오염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38. 해양학자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우주방사성핵종은?
39. 오염물질의 정량측정법 중 용량분석법의 종류가 아닌 것은?
40. pH와 용존산소의 측정을 위한 pH미터와 용존산소미터의 모정시기로 가장 적합한 것은?
3과목: 생물해양학
41. 연안에서 대양으로 멀어질수록 생물 분포가 희박해지는 원인 중 하나로 질소의 양을 들 수 있는데, 이와 관련된 설명으로 적합한 것은?
42. 해조류 생식방법의 설명 중 틀린 것은?
43. 지방의 신진대사를 촉진하고 혈중 콜레스테롤의 증가를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우렁쉥이류의 혈액 속에 많이 포함되어있는 미량금속 원소는?
44. 다음 중 광선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해양생물은?
45. 해조류의 수직 분포와 가장 많이 받는 해양생물은?
46. 대하(Penaeus chinensis)의 월동장이 제주도 서쪽 100마일쯤 되는 곳으로서 겨울 수온이 12℃의 해역이며, 월동을 마치면 3월에 북상하여 4월 하순부터 산란을 시작한다면 주로산란하는 수심기준은?
47. 체장이 2~3 cm 정도이며, 그 알은 보육낭에서 성체형까지 발생하는 연갑류 부유생물인 곤쟁이(Mysid)는 주로 어느 생물종류의 천연먹이로 쓰이는가?
48. 다음 중 상호관계의 연결이 틀린 것은?
49. 바다에 있어서 생물의 분포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50. 다음 중 크기가 가장 큰 플랑크톤은?
51. 조간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산호말(Corallina sp.)은 식물 분류군 중 어디에 속하는가?
52. 일반적으로 어류의 연령사정에 널리 쓰이지 않는 것은?
53. 다음 영양염류 중 해양환경에서 가장 큰 제한요소로 작용하는 것은?
54. 다음 중 암반으로 이루어진 조간댕의 생태계에 있어서 먹이 피라미드의 가장 최상부에 위치해 있는 동물은?
55. 해양에서 기초생산량의 수직분포를 볼 때 최고의 생산층이 형성되는 수심은?
56. 심해성 어류의 특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57. 해산식물의 광합성과 광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58. 한 대지방의 식물성 플랑크톤의 계절적 대번식기는?
59. ( )안에 알맞은 용어는?
60. 적조현상과 관계없는 것은?
4과목: 지질해양학
61. 해양저에서 지각 열유량이 가장 많은 곳은?
62. 해빈의 퇴적구조와 관련이 적은 것은?
63. 다음 퇴적 구조 중 유수의 방향을 가장 잘 지시해 주는 구조는?
64. 퇴적물의 운반과정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65. 심해에 널리 분포하는 연니는 주로 어떤 성분인가?
66. 물리적 풍화작용과 직접 관계치 않은 것은?
67. 원마도와 구형도를 설명한 내용 중 틀린 것은?
68. 폭이 넓은 대륙붕의 생성원인으로서 가당 적절한 것은?
69. 퇴적물의 실트(silt)의 입도범위는?
70. 우리나라 남해안에서와 같이 퇴적물 유입이 풍부한 강의 하구에서 주로 나타나는 연안 퇴적환경은?
71. 터비다이트(turbidite)에 대한 설명과 관련이 없는 것은?
72. 다음 중 조립퇴적물이 가장 많은 것은?
73. 해저 지층에서 석유 및 천연가스를 가장 많이 보존하고 있는 암석층은?
74. 해양 퇴적물의 종류가 달라지는 조건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75. 대륙사면과 대륙붕의 경계부를 지칭하는 명칭은?
76. 점이층리(Graded bedding) 형성에 가장 중요한 것은?
77. 해양에서 채취한 저질(퇴적물)을 분석할 때 주요 실험대상이 아닌 것은?
78. 조간대 환경에서 조류로(갯고랑:tidal channel)에 주로 퇴적되는 물질은?
79. 음향측심기를 이용한 수심조사에서 음파 도달 시간이 0.1초인 경우 수심은 몇 m 인가?(단, 수중에서 음파의 전달 속도는 1500 m/sec 임)
80. 일반적으로 대륙붕에서 개발 가능한 해저자원이 아닌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