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과목 구분 없음
1. 고객과의 계약에서 생기는 수익에서 수행의무의 이행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 충당부채의 인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 다음 중 무형자산으로 인식하는 것만을 모두 고르면?
4. 다음의 기말수정 사항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으로 옳지 않은 것은?
5. (주)한국의 자산과 부채에 대한 자료는 다음과 같으며, (주)한국은 기중에 ₩2,000의 주식배당을 실시하였다. (주)한국의 당기순이익이 ₩5,000인 경우, 당기의 기타포괄손익은?
6. 다음 자료를 이용한 (주)한국이 20×1년도 포괄손익계산서에 인식할 게임접근권에 대한 수익은? (단, 수익은 월할 계산한다)
7. 간접법에 따라 영업활동현금흐름 계산 시,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에 차감하는 항목만을 모두 고르면?
8. (주)한국은 20×1년 초에 취득한 기계장치를 원가모형을 적용하여 연수합계법으로 감가상각하고 있다. (주)한국은 동 기계장치의 내용연수를 4년, 잔존가치는 ₩50,000으로 추정하였다. (주)한국이 20×3년도에 인식한 감가상각비가 ₩10,000인 경우, 동 기계장치의 취득원가는? (단, 취득 이후 기계장치에 대한 손상은 없다)
9. 재고자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0. 사채의 회계처리와 관련하여 사채할인발행차금을 유효이자율법에 따라 상각할 때 재무상태에 미치는 영향으로 옳은 것은? (단, 유효이자율은 0보다 크다)
11. 20×1년 1월 1일 (주)한국의 매출채권에 대한 손실충당금 잔액은 ₩10,000이다. (주)한국은 20×1년 중 ₩20,000의 매출채권을 회수불능으로 판단하여 장부에서 제거하였다. 20×1년 말 매출채권 잔액은 ₩700,000이며, 기대신용손실은 ₩40,000으로 추정하였다. (주)한국이 20×1년도 포괄손익계산서에 인식할 손상차손은?
12. 회계상 거래가 아닌 것은?
13. 재무보고를 위한 개념체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4. 다음 자료를 이용한 수정분개가 당기순이익에 미치는 영향은?
15. 수익과 비용 계정을 마감 후 집합손익 계정의 잔액은 ₩100,000이다. 수익이 비용보다 큰 경우, 집합손익 계정의 마감분개로 옳은 것은?
16. 다음은 (주)한국의 건설계약 관련 자료이다. (주)한국이 20×1년도에 인식할 공사수익은?
17. 다음 자료를 이용한 (주)한국의 20×1년 기말재고자산 금액은? (단, 회전율 계산 시 기초와 기말의 평균값을 이용한다)
18. 은행계정조정표 작성을 위한 은행 측 조정사항은?
19. 재무제표 표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0. 상품매매기업의 재고자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재고자산에 대한 감모(평가)손실, 매입할인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