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콘크리트재료 및 배합
1. 풍화된 시멘트를 사용하면 시멘트 경화체의 강도 및 품질이 저하하게 되는데 시멘트의 풍화에 미치는 요인으로 틀린 것은?
2. 압축강도 시험의 기록이 없는 현장에서 설계기준강도 (fck)가 50MPa인 콘크리트의 배합강도(fcr)로 옳은 것은?
3. 단위수량 162kg, 물-시멘트비 55%, 슬럼프 80mm, 공기량 5% 및 잔골재율 45%의 조건으로 콘크리트의 배합 설계를 실시할 때 단위시멘트량(A) 및 단위굵은골재량(B)은 얼마인가? (단, 시멘트의 밀도 : 3.14g/cm3, 잔골재의 표건 밀도 : 2.64g/cm3, 굵은골재의 표건 밀도 : 2.66g/cm3)
4. 배합설계에서 잔골재의 절대용적이 320L, 굵은골재의 절대용적이 560L일 때, 잔골재율은 얼마인가?
5. 아래 표는 굵은골재의 체가름 시험결과 이다. 이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와 조립률은?
6. 콘크리트 공시체 7개에 대한 압축강도를 실험한 데이터가 다음과 같을 때 불편분산에 의한 표준편차는?
7. 골재의 입형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8. 시멘트의 강도시험(KS L ISO 679)에서 규정하고 있는 시멘트 모르타르 압축강도 시험에 사용되는 공시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9. 잔골재의 유기불순물 시험(KS F 2510)의 목적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0. 최대 치수가 25mm인 굵은 골재로 체가름시험을 실시하려고 한다. 이 때 필요한 시료의 최소 건조 질량으로 옳은 것은?
11. 다음 혼화재중 잠재수경성인 것은?
12. KS L 5201에 규정되어 있는 포틀랜드시멘트에 속하지 않는 것은?
13. 콘크리트 배합설계의 기본 원칙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4. 셀룰로오스계와 아크릴계 두 종류의 재료가 사용되며, 수중에서의 시멘트와 골재의 분리를 막아 수중공사를 용이하게 하는 혼화제는?
15. 다음 중 AE 감수제의 사용으로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아닌 것은?
16. 그라우팅용 혼화제의 특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7. 시방배합결과 단위수량 185kg/m3, 단위잔골재량 750kg/m3, 단위굵은골재량 975kg/m3을 얻었다. 잔골재의 표면수율이 3%, 굵은골재의 표면수율이 2%라면 이를 보정하여 현장배합으로 바꾼 단위수량은?
18. 시멘트 비중시험(KS L 5110)의 정밀도 및 편차에 대한 아래 표의 내용에서 ( )안에 알맞은 수치는?
19. 아래의 표와 같은 원리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시멘트관련 시험은?
20.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의 유해물 함유량의 한도 중 연한 석편의 최대값(질량백분율)은?
2과목: 콘크리트제조, 시험 및 품질관리
21. 관입 저항침에 의한 콘크리트의 응결시간 시험(KS F 2436)에서 초결시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2. 콘크리트의 워커빌리티 측정방법 중 아래의 표에서 설명하는 방법은?
23. 관리도의 가장 기본이 되는 것으로써 평균치와 데이터 변화를 관리할 수 있고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슬럼프 공기량 등의 특성을 관리하는 데에 편리한 관리도의 명칭은?
24. 레디믹스트 콘크리트의 염화물 함유량(염소이온(Cl)량)은 구입자의 승인을 얻은 경우에는 최대 몇 kg/m3이하로 할 수 있는가?
25. 콘크리트의 응결 후에 발생하는 콘크리트의 균열의 종류가 아닌 것은?
26. 콘크리트의 워커빌리티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27. 건설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콘크리트 강도를 추정하는 방법으로 아래의 표에서 것은?
28. 슬럼프가 25mm인 레디믹스트 콘크리트의 슬럼프 허용오차로 옳은 것은?
29. 레디믹스트 콘크리트에 사용하는 천연 골재(잔골재)는 염분(NaCl)의 한도가 몇% 이하이어야 하는가? (단, 주문자의 승인을 얻지 않은 경우)
30. 통계적 품질관리 방법이 아닌 것은?
31. 일반적으로 콘크리트는 강 알칼리성 재료로써 철근의 부식을 억제하는데, 콘크리트의 알칼리 정도의 범위로 알맞은 것은?
32.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공기량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33. 콘크리트의 쪼갬 인장강도 시험에서 직경 150mm, 길이 300mm인 원주형 공시체를 사용한 경우 최대하중이 200kN이었다면, 인장강도는?
34.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시험을 위한 공시체 제작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35. 1개마다 양, 불량으로 구별할 경우 사용하나 불량률을 계산하지 않고 불량 개수에 의해서 관리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관리도는?
36. 압축강도 시험결과가 아래의 표와 같을 때 표준 편차를 구하면? (단, 불편분산의 개념에 의한다.)
37. 레디믹스트 콘크리트의 운반차로서 덤프트럭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38. 콘크리트의 응결이 지연되는 경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39. 콘크리트 재료로서 플라이애시를 사용할 때 1회 계량분에 대한 계량 허용오차로 옳은 것은?
40. 보통 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단위 용적질량으로서 가장 적당한 것은?
3과목: 콘크리트의 시공
41. 포장용 콘크리트의 배합기준 중 설계기준 휨강도(f28)는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
42.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시험을 통하여 거푸집을 해체하고자 한다. 설계기준 강도가 24MPa이고, 보의 밑면인 경우 거푸집을 해체할 때 콘크리트 압축강도는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
43. 매스콘크리트에서 균열발생을 제한할 경우에 적용하는 온도균열지수의 범위는? (단, 철근이 배치된 일반적인 구조물의 경우)
44. 경사슈트에 대한 아래 표의 설명에서 ( )에 알맞은 것은?
45. 콘크리트 제품을 제조할 때, 고온 고압 용기에 제품을 넣고 180°C 전후, 공기압 7~15기압으로 고온고압 처리하는 양생방법은?
46. 수밀콘크리트의 배합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47. 매스콘크리트에 관한 다음의 설명 중 틀린 것은?
48. 콘크리트의 운반 및 타설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49. 팽창콘크리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50. 콘크리트는 타설한 후 습윤상태로 노출면이 마르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 수분의 증발에 따라 살수를 하여 습윤 상태로 보호하여야 한다. 일평균 기온이 10°C 이상~15°C 미만이고, 보통포틀랜드시멘트를 사용한 경우 습윤양생기간의 표준으로 옳은 것은?
51. 숏크리트의 시공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52. 고강도 콘크리트의 정의에 대한 아래표의 설명에서 ( )에 알맞은 수치는?
53. 고강도 콘크리트의 배합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54. 아래의 표에서 설명하는 콘크리트는?
55. 해양 콘크리트 구조물에 쓰이는 콘크리트의 설계기준강도는 몇 MPa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
56. 터널이나 큰 공동 구조물의 라이닝, 비탈면, 법면 또는 벽면의 풍화나 박리, 박락의 방지를 위하여 적용되는 것으로 뿜어 붙여서 시공하는 콘크리트는?
57. 강섬유보강 숏크리트에서 강섬유 혼입에 따른 가장 큰 증가 효과는 다음 중 어느 것인가?
58. 경량골재 콘크리트의 시공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59. 한중 콘크리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60. 콘크리트 공장제품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4과목: 콘크리트 구조 및 유지관리
61. 지간이 4m인 직사각형 단면의 단순보가 있다. 이 보에 자중을 포함한 고정하중 10kN/m와 활화중 20kN/m가 작용하고 있을 때 계수휨모멘트는 얼마인가?
62. 보의 폭 bw=250mm, 유효깊이 d=450mm, 높이 h=500mm인 직사각형 보 단면의 균열 모멘트 Mcr은? (단, fck=24MPa, 콘크리트의 파괴계수 fr=0.63√fck이고, 보통 중량 콘크리트를 사용한 경우)
63. 전단철근이 필요하고 비틀림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단철근 직사각형보에서 최소 전단철근을 배치하려고 한다. 이때 전단철근의 최소 단면적은? (단, bw=350mm, d=500mm, fck=21MPa, fyt=350MPa 부재축의 직각인 스터럽간격=250mm)
64. 콘크리트 부재의 처짐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65. 철근의 부식이 먼저 진행하여 철근주변의 체적팽창으로 인해 콘크리트에 균열 또는 박리를 발생시키는 열화현상은?
66. 표면피복공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67. 콘크리트의 강도를 평가할 수 있는 시험 방법으로 거리가 먼 것은?
68. 다음 중 내하력 평가를 위한 시험으로 적합한 것은?
69. 인장철근 D29(공창직경은 28.6mm, 공칭단면적=642mm2)를 정착시키는데 소요되는 기본 정착 길이는? (단, fck=24MPa, fy=350MPa, 보통 중량콘크리트를 사용한 경우)
70. 재하시험에 의해 기존 구조물의 안전성 평가를 하고자 할 때 재하 하중에 대한 아래 표의 설명에서 ( )에 적합한 수치는?
71. 아래의 표에서 설명하는 동해의 형태는?
72. bw=400mm, d=500mm, fck= 27MPa, fy=400MPa인 단철근 직사각형보의 압축연단에서 중립축까지의 거리(c)를 구하면?
73. 시멘트계 보수재료 중 공극 및 균열 충전용으로 사용할 경우 다음 중 어느 것이 가장 적절한가?
74. 콘크리트 보강방법의 하나인 연속섬유 시트접착공법을 적용하는 경우 얻어지는 일반적인 개선효과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75. 프리텐션 방식의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에 관한 일반적 설명으로 틀린 것은?
76. 콘크리트 열화원인 중 환경적인 요인이 아닌 것은?
77. 철근의 부착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아닌 것은?
78. 그림과 같은 직사각형 보 단면이 압축부에 3-D22(As'=1,161mm2)의 철근과 인장부에 6-D32(As=4,765mm2)의 철근을 갖고 있을 때 등가 압축응력의 깊이(a)는? (단, fck=28MPa, fy=300MPa이다.)
79. 일반적으로 정사각형 확대기초에서 전단에 대한 위험단면은?
80. 콘크리트 구조물이 공기 중의 탄산가스의 영향을 받아 콘크리트 중의 수산화칼슘이 서서히 탄산칼슘으로 되어 콘크리트가 알칼리성을 상실하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