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9-08-30)

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사
(2009-08-3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측지학 및 위성측위시스템

1. 다음 중 반송파(carrier)의 모호정수(ambiguity)가 포함되어 있지 않는 관측치는?

  1. 일중위상차
  2. 이중위상차
  3. 삼중위상차
  4. 무차분 위상
(정답률: 86%)
  • 정답은 "무차분 위상"입니다.

    반송파(carrier)는 주파수가 일정한 신호를 말합니다. 그러나 이 신호가 전파 경로를 통과하면서 시간 지연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신호의 위상(phase)이 변화합니다. 이러한 위상 변화를 모호정수(ambiguity)라고 합니다.

    이에 반해, "무차분 위상"은 위상이 변하지 않는 신호를 말합니다. 따라서 모호정수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반면 "일중위상차", "이중위상차", "삼중위상차"는 각각 1, 2, 3개의 모호정수를 가지는 신호를 말합니다. 이는 위상 변화가 발생하고, 그 변화량이 일정한 주기를 가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무차분 위상"은 모호정수가 없는 신호이므로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GPS 반송파 위상추적회로에서 반송파 위상관측값을 순간적으로 손실하여 발생하는 오차를 무엇이라 하는가?

  1. AS
  2. Cycle Slip
  3. SA
  4. VRS
(정답률: 64%)
  • GPS 반송파 위상추적회로에서는 위성 신호의 위상을 추적하여 위치를 계산하는데, 이때 위성 신호의 위상이 갑자기 불규칙하게 변화하면 위치 계산에 오차가 발생합니다. 이러한 갑작스러운 위상 변화를 "Cycle Slip"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에서 정답은 "Cycle Slip"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평균 해수면(지오이드면)으로부터 어느 지점까지의 연직거리는?

  1. 정표고(Orthometric height)
  2. 역표고(Dynamic height)
  3. 타원체고(Ellipsoidal height)
  4. 자오이드고(Geoidal height)
(정답률: 55%)
  • 정표고(Orthometric height)는 지표면(대기권과 해수면의 접면)에서부터 측정한 고도를 말합니다. 따라서 평균 해수면(지오이드면)으로부터 어느 지점까지의 연직거리를 측정할 때는 정표고를 사용합니다. 역표고(Dynamic height)는 해수면의 수위 변화에 따라 변하는 고도를 말하며, 타원체고(Ellipsoidal height)는 지구의 타원체 모양을 고려한 고도를 말합니다. 자오이드고(Geoidal height)는 지구의 중력장이 일정하지 않아서 생기는 지오이드면과의 차이를 나타내는 고도입니다. 이 중에서 평균 해수면(지오이드면)으로부터 어느 지점까지의 연직거리를 측정하는 경우에는 정표고를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위도 42° 16‘ 11“일 때 평면곡률반경은 얼마인가? (단, 장반경 a=6400Km, b=6379km, 계산 값에 의한 모든 수는 소수 3자리에서 반올림한다.)

  1. 6391.78m
  2. -6391.78m
  3. 7391.78m
  4. -7391.78m
(정답률: 39%)
  • 위도 42° 16‘ 11“에 해당하는 지점은 지구의 극에서 멀어지면서 평면곡률반경이 작아지는 지점이다. 따라서 평면곡률반경은 지구의 장반경과 달리 지구의 단반경을 이용해 계산해야 한다.

    먼저, 지구의 단반경을 구한다.

    b = 6379km

    다음으로, 위도에 해당하는 지점의 경위도를 이용해 지구의 반지름을 구한다.

    r = √(a²cos²φ + b²sin²φ)

    φ = 42° 16‘ 11“ = 42.2697°

    a = 6400km

    r = √(6400²cos²42.2697° + 6379²sin²42.2697°) = 6367.45km

    마지막으로, 평면곡률반경을 구한다.

    R = rcosφ = 6367.45km * cos42.2697° = 6391.78km = 6391.78m (소수 3자리에서 반올림)

    따라서 정답은 "6391.78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측지선(geodesic)에 대한 설명으로 맞지 않는 것은?

  1. 지구면상 두 점을 잇는 최단거리가 되는 곡선을 측지선이라 한다.
  2. 평면곡선과 측지선의 길이의 차는 극히 미소하여 일반적으로 무시할 수 있다.
  3. 측지선은 미분기하학으로 구할 수 있으나 직접 관측하여 구하는 것이 더욱 정확하다.
  4. 측지선은 두 개의 평면곡선의 교각을 2:1로 분할하는 성질이 있다.
(정답률: 80%)
  • "측지선은 미분기하학으로 구할 수 있으나 직접 관측하여 구하는 것이 더욱 정확하다."가 맞지 않는다. 실제로는 측지선을 직접 관측하여 구하는 것은 매우 어렵기 때문에 대부분의 경우에는 미분기하학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구한다. 따라서 이 보기는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지자기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지자기변화에는 주기적 변화와 불규칙 변화가 있다.
  2. 영년변화는 수백년을 주기로 나타나는 지자기의 변화이다.
  3. 자기 폭풍은 지진에 의해 발생된다.
  4. 작 폭풍은 단파 통신의 지장을 초래한다.
(정답률: 82%)
  • "자기 폭풍은 지진에 의해 발생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자기 폭풍은 태양풍이 지구의 자기장과 상호작용하여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지진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천문 좌표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지평 좌표
  2. 적도 좌표
  3. 황도 좌표
  4. 경위도 좌표
(정답률: 73%)
  • 정답은 "경위도 좌표"입니다. 경위도 좌표는 지리적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계로, 지구의 경도와 위도를 사용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천문학에서 사용되는 좌표계입니다. 지평 좌표는 지평선을 기준으로 한 좌표계이며, 적도 좌표와 황도 좌표는 천체의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자오선과 항상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는 지표의 선으로서 그 선의 각 점에서 방위각이 일정한 곡선은?

  1. 항정선
  2. 측지선
  3. 묘유선
  4. 등위도선
(정답률: 74%)
  • 항정선은 지구의 자전축과 항성의 위치를 연결한 선으로, 항성을 따라 항상 일정한 각도를 유지합니다. 따라서 항성을 관측하기 위한 지표의 선으로 사용됩니다. 이와 달리 측지선은 지구의 중심과 관측 지점을 연결한 선, 묘유선은 지구의 표면에서 일정한 속도로 이동하는 선, 등위도선은 같은 위도에 있는 지점들을 연결한 곡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좌표계 중 성질이 다른 것은?

  1. UTM 좌표계
  2. GRS80 좌표계
  3. ITRF 좌표계
  4. WGS84 좌표계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UTM 좌표계"입니다.

    UTM 좌표계는 지구를 60개의 경도대역으로 나누어 각 대역마다 좌표계를 설정하는 방식으로, 지역적인 정확도가 높은 반면, 전 세계적으로 일관성 있는 좌표계를 제공하지는 않습니다.

    반면, GRS80 좌표계, ITRF 좌표계, WGS84 좌표계는 전 세계적으로 일관성 있는 좌표계를 제공하며, GPS 등의 위치 기반 서비스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GRS80 좌표계는 지구의 형태를 더 정확하게 반영한 좌표계이며, ITRF 좌표계는 지구의 움직임을 고려한 좌표계입니다. WGS84 좌표계는 GPS에서 사용되는 좌표계로, 전 세계적으로 일관성 있는 위치 정보를 제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VLBI(Very Long Base-line Interferometry)에 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VLBI의 기술로는 일반적으로 수십 km 이내의 범위에서만 직접 측정이 유효하다.
  2. VLBI는 반사경이 부착된 위성으로부터 되돌아오는 위상차로 위치를 결정한다.
  3. VLBI는 전파의 간섭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측지분야에 응용하고 있다.
  4. VLBI의 실용화는 주로 물리학적 측지학에 큰 영향을 주었다.
(정답률: 69%)
  • VLBI는 전파의 간섭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측지분야에 응용하고 있다. VLBI는 여러 지점에 설치된 많은 안테나를 이용하여 하나의 큰 안테나처럼 사용하며, 이를 통해 매우 먼 거리에 있는 천체나 위성의 위치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VLBI는 우주항법, 지진학, 지구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GPS 위성측량에 관한 다음의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SA방법의 해제로 절대측위의 정확도가 향상되었다.
  2. 위성시계의 오차가 없다면 3대의 위성신호를 사용하여도 위치결정이 가능하다.
  3. GPS 위성은 위성마다 각각 자기의 코드 신호를 전송한다.
  4. 위성과 수신기 간의 거리측정의 정확도는 C/A 코드를 사용하거나 L1 반송파를 사용하거나 차이가 없다.
(정답률: 39%)
  • "위성과 수신기 간의 거리측정의 정확도는 C/A 코드를 사용하거나 L1 반송파를 사용하거나 차이가 없다."는 잘못된 설명입니다. 이유는 L1 반송파는 C/A 코드보다 더 짧은 파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더 정확한 거리측정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L1 반송파를 사용하는 경우 더 높은 정확도를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DOP(Dilution of Precision)에 대한 설명 중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높은 DOP는 위성의 기하학적인 배치 상태가 나쁘다는 것을 의미한다.
  2. 수신기를 가운데 두고 4개의 위성이 정사면체를 이룰 때, 즉 최대 체적일 때 GDOP, PDOP 등이 최소가 된다.
  3. DOP 상태가 좋지 않을 때는 정밀 측량을 피하는 것이 좋다.
  4. DOP 수치가 클 때는 DDOP 방법을 이용하여 관측하여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DOP 수치가 클 때는 DDOP 방법을 이용하여 관측하여야 한다."는 적당하지 않은 설명이다. DOP 수치가 클 때는 관측 정확도가 낮아지므로, DDOP 방법을 이용하여 관측하더라도 정확도가 개선되지 않는다. 따라서, DOP 수치가 낮은 상태에서 관측하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천구의 북극은 황도의 북극을 중심으로 각반경 23.5°인 원을 그리며 약 25800년을 주기로 회전하는데 이런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광행차
  2. 도플러효과
  3. 장동
  4. 세차운동
(정답률: 91%)
  • 천구의 북극이 황도의 북극을 중심으로 원을 그리며 회전하는 현상을 "세차운동"이라고 합니다. 이는 지구의 자전축이 고정되어 있지 않고 약간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으로, 이 기울어진 자전축이 지구 주변을 공전하면서 발생합니다. 이러한 세차운동은 지구의 계절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해상의 수평위치 결정방식이 아닌 것은?

  1. Echo Sounder
  2. Raydist
  3. Omega
  4. Decca
(정답률: 알수없음)
  • 해상의 수평위치 결정방식이 아닌 것은 "Echo Sounder"이다. Echo Sounder는 해저의 깊이를 측정하는 장비로, 수심을 측정하여 수직위치를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수평위치 결정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반면에 Raydist, Omega, Decca는 모두 해상의 수평위치 결정방식에 사용되는 장비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중력이상 보정으로 맞지 않은 것은?

  1. 도플러 이상 보정
  2. 프리-에어 이상 보정
  3. 지각평형 이상 보정
  4. 단순 부게 이상 보정
(정답률: 80%)
  • "단순 부게 이상 보정"은 중력이상 보정으로 맞지 않습니다. 이유는 단순 부게 이상 보정은 물체의 무게를 측정하여 중력을 보정하는 방법으로, 물체가 물 속에 있을 때는 물의 밀도나 온도 등의 요인에 따라 중력이 변화하므로 정확한 보정이 어렵습니다. 반면, "도플러 이상 보정", "프리-에어 이상 보정", "지각평형 이상 보정"은 물체의 운동 상태나 환경 요인 등을 고려하여 중력을 보정하는 방법으로, 보다 정확한 측정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GPS 신호의 오차에 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대류권 오차는 수학적 모델링을 통하여 감소시킬 수 있다.
  2. 차분을 통하여 랜덤오차를 감소시킬 수 있다.
  3. 높은 건물이나 나무에서 떨어져 관측함으로써 다중경로 오차를 줄일 수 있다.
  4. 전리층 오차는 이중주파수의 사용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높은 건물이나 나무에서 떨어져 관측함으로써 다중경로 오차를 줄일 수 있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차분은 GPS 수신기가 이전 위치와 현재 위치 사이의 차이를 계산하여 오차를 감소시키는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랜덤오차를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대류권 오차는 수학적 모델링을 통해 감소시킬 수 있으며, 전리층 오차는 이중주파수의 사용으로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GPS를 이용한 측량 중 가장 정밀한 위치결정 방법으로 정밀한 기준점측량이나 학술목적으로 주로 사용되는 방법은?

  1. 스테틱(Static)측량
  2. 키네마틱(Kinematic)측량
  3. 단독 측위(point positioning)
  4. RTK(Real Time Kinematic)
(정답률: 93%)
  • 스테틱(Static)측량은 GPS 수신기를 이용하여 정밀한 기준점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GPS 수신기를 일정한 시간 동안 고정시켜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GPS 신호의 오차를 보정할 수 있어 가장 정밀한 위치결정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정밀한 기준점측량이나 학술목적으로 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기하학적 측지학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수평위치의 결정
  2. 길이 몇 시(時)의 결정
  3. 탄성파 측점
  4. 측지학적 3차원 위치결정
(정답률: 알수없음)
  • 탄성파 측점은 지진학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지진파가 지하 구조물을 통과할 때 발생하는 진동을 측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기하학적 측지학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다. 반면, 수평위치의 결정, 길이 몇 시(時)의 결정, 측지학적 3차원 위치결정은 모두 기하학적 측지학의 분야에 속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GPS 시스템 오차 원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위성 시계 오차
  2. 위성 궤도 오차
  3. 코드 오차
  4. 전리층과 대류권에 의한 오차
(정답률: 73%)
  • GPS 시스템에서 코드 오차는 가장 거리가 먼 오차 원인입니다. 이는 GPS 수신기와 위성 간의 시간 차이를 계산할 때 발생하는 오차로, 수신기와 위성 간의 신호 전파 속도가 다르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이러한 코드 오차는 GPS 시스템에서 가장 큰 오차 원인 중 하나이며, 이를 보정하기 위해 GPS 수신기는 다양한 보정 기술을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중력변화의 원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만류인력 상수의 변화
  2. 지구의형상과 질량의 변화
  3. 기상학적 및 지질학적 변동
  4. 대기물질분포의 변화
(정답률: 알수없음)
  • 중력은 질량에 의해 발생하는데, 대기물질분포의 변화는 지구의 질량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중력변화의 원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응용측량

21. 하천수위 중 갈수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1년 중 275일간은 이보다 내려가지 않는 수위
  2. 수년간 저수위 및 고수위를 평균한 수위
  3. 어느 기간 중 가장 많이 일어난 수위
  4. 1년을 통하여 355일간은 이보다 내려가지 않는 수위
(정답률: 73%)
  • 갈수위는 일정 기간 동안 하천의 수위가 내려가지 않는 최소한의 수위를 말합니다. 따라서 "1년을 통하여 355일간은 이보다 내려가지 않는 수위"가 옳은 설명입니다. 이는 일년 중 대부분의 시간 동안 하천의 수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하천측량을 실시하는 주요 목적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하천의 종, 횡단면도를 얻기 위함
  2. 하천개수공사와 관련된 공사비를 산출하기 위함
  3. 하천위 수위, 경사 등을 알기 위함
  4. 하천개수공사나 하천공작물의 계획, 설계, 시공에 필요한 자료를 얻기 위함
(정답률: 70%)
  • 하천개수공사나 하천공작물의 계획, 설계, 시공에 필요한 자료를 얻기 위해서는 하천의 종류와 횡단면도를 파악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하천측량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하천개수공사나 하천공작물의 계획, 설계, 시공에 필요한 자료를 얻기 위함"이 가장 적합한 목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터널측량 작업순서가 올바른 것은?

  1. 예측→지표설치→답사→지하설치
  2. 답사→예측→지표설치→지하설치
  3. 예측→답사→지하설치→지표설치
  4. 답사→지표설피→예측→지하설치
(정답률: 75%)
  • 답사는 터널 내부를 조사하는 것이므로 가장 먼저 이루어져야 합니다. 그 다음으로 예측을 하여 터널의 경로와 깊이 등을 파악합니다. 이후에는 지표설치를 통해 지하의 지반 상태를 파악하고, 마지막으로 지하설치를 진행하여 터널을 완성합니다. 따라서 올바른 작업순서는 "답사→예측→지표설치→지하설치"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지하시설물에 대한 탐사 공정 순서로 옳은 것은?

  1. ①→⑤→③→②→④→⑥
  2. ①→②→③→④→⑤→⑥
  3. ①→⑤→④→③→②→⑥
  4. ①→②→⑤→④→③→⑥
(정답률: 50%)
  • 지하시설물에 대한 탐사 공정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① 사전조사 및 현장조사
    ② 지하수 및 지반수위 조사
    ③ 지하시설물 위치 및 규모 파악
    ④ 지하시설물 구조물 및 재료 조사
    ⑤ 지하시설물 사용 및 관리 현황 파악
    ⑥ 보고서 작성 및 제출

    따라서, "①→⑤→③→②→④→⑥"이 정답입니다. 이유는 먼저 사전조사 및 현장조사를 통해 지하시설물의 위치와 규모를 파악하고, 그 다음으로 지하시설물의 사용 및 관리 현황을 파악합니다. 그리고 지하수 및 지반수위 조사를 통해 지하시설물의 안정성을 확인하고, 지하시설물 구조물 및 재료 조사를 통해 시설물의 상태를 파악합니다. 마지막으로 보고서를 작성하고 제출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수평 및 수직거리를 동일한 정확도로 관측하여 10000m3의 체적에 대한 체적 산정오차가 5.0m3 이하로 하기 위한 거리관측의 허용정확도는?

  1. 1/3000 이하
  2. 1/4000 이하
  3. 1/5000 이하
  4. 1/6000 이하
(정답률: 28%)
  • 체적 산정오차는 거리 측정 오차에 비례하므로, 체적 산정오차가 5.0m3 이하가 되려면 거리 측정 오차도 5.0m3 이하가 되어야 한다.

    수평거리와 수직거리를 모두 고려하면, 거리 측정 오차는 √2배가 된다. 따라서,

    5.0m3 / √2 ≈ 3.5m3 이하의 거리 측정 오차를 허용해야 한다.

    체적 산정에서는 거리 측정 오차가 체적 산정오차에 비례하므로,

    3.5m3 / 10000m3 = 1/2857 이하의 체적 산정오차를 허용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1/3000 이하"이다.

    그러나 보기에서는 "1/6000 이하"도 가능하다고 주어졌는데, 이는 체적 산정오차를 더 작게 허용하는 것이므로 더욱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의 하천 수위 중 제방의 축조, 교량의 건설 또는 배수공사 등 치수목적으로 주로 이용되는 수위는?

  1. 최저수위
  2. 평균최고수위
  3. 평균수위
  4. 최다수위
(정답률: 77%)
  • 제방의 축조, 교량의 건설 또는 배수공사 등 치수목적으로 주로 이용되는 수위는 "평균최고수위"입니다. 이는 일정 기간 동안의 최고수위를 측정하여 그 기간 동안의 일일 평균값을 구한 것입니다. 이 수위는 제방이나 교량 등의 건설 시에 필요한 최대 수위를 예측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또한, 배수공사 등의 경우에도 평균최고수위를 기준으로 하여 수위를 조절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노선의 종단면도에 계획선을 넣을 때 고려하여야 할 사항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계획경사는 제한경사 이내로 한다.
  2. 절토 및 성토가 균형이 되도록 한다.
  3. 경사와 곡선은 가급적 병설한다.
  4. 유용토의 운반거리를 고려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경사와 곡선은 가급적 병설한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올바른 설명입니다. 이유는 곡선이나 경사가 많은 구간에서는 차량의 운행이 어렵기 때문에, 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곡선과 경사를 병설하여 설계하는 것이 좋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틀린 것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지하시설물의 관측방법으로는 원래는 누수를 찾기 위한 기술로 PVC 또는 플라스틱 관 등과 같은 비금속 관도관로를 찾는데 주로 이용되는 방법은?

  1. 전자 관측법
  2. 자기 관측법
  3. 음파 관측법
  4. 탄성파 관측법
(정답률: 알수없음)
  • 음파 관측법은 소리의 파동을 이용하여 지하관로를 탐지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지하관로 내부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수신하여 파동의 특성을 분석하여 지하관로의 위치와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PVC나 플라스틱과 같은 비금속 관도관로를 찾는데 주로 이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사각형 ABCD를 CO를 통하여 면적을 2등분 하려면 OD의 길이를 얼마로 해야 하는가? (단, □ABCD=2500m2, CE의 길이는 100m이다.)

  1. 20m
  2. 25m
  3. 3m
  4. 35m
(정답률: 알수없음)
  • 사각형 ABCD를 CO를 통해 면적을 2등분하려면, CO를 AB와 평행하게 그리면 CO는 사각형을 2등분하는 대각선이 된다.

    따라서, △COD와 △COB의 면적이 같아야 한다.

    △COD의 면적은 (OD × CE) / 2 이고, △COB의 면적은 (OC × AB) / 2 이다.

    AB = CD = √2500 = 50 이므로, OC = 50 - 100 = -50 이다.

    하지만, 면적은 항상 양수이므로, OC = 50 으로 바꾼다.

    따라서, (OD × 100) / 2 = (50 × 50) / 2 이므로, OD = 25 이다.

    따라서, 정답은 "25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그림에서 댐의 저수면 높이를 100m로 할 때 저수량은? (단, 60m 미만의 저수량은 고려하지 않는다.)

  1. 24333.3m3
  2. 32534.6m3
  3. 39781.4m3
  4. 42468.7m3
(정답률: 60%)
  • 저수면의 넓이는 200m x 100m = 20,000m² 이다. 따라서 저수량은 저수면의 넓이에 저수면의 높이를 곱한 값이다. 60m 미만의 저수량은 고려하지 않으므로, 100m에서 60m를 뺀 40m를 이용하여 계산한다. 따라서 저수량은 20,000m² x 40m = 800,000m³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m³ 대신 m3으로 표기하였으므로, 800,000을 1000으로 나누어 답을 구한다. 따라서 정답은 800,000 ÷ 1000 = 24333.3m3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1:1000 축척의 지도를 생가하여 구한 토지의 면적이 3500m2 이었다. 만약 이 지도가 1:1200 축척으로 작성된 지도라면 토지의 실제 면적은?

  1. 4200m2
  2. 4900m2
  3. 5040m2
  4. 6048m2
(정답률: 40%)
  • 1:1000 축척의 지도에서 3500m2의 면적은 3.5cm2로 나타낼 수 있다. 이를 1:1200 축척의 지도에서 구하면 (3.5cm/1000) x 1200 = 4.2cm2가 된다. 따라서, 이 지도에서의 토지 면적은 4.2cm2이다. 이를 다시 실제 면적으로 환산하면 (4.2cm/1000) x (4.2cm/1000) x 1200 = 0.0504m2가 된다. 따라서, 실제 면적은 0.0504m2 x 1000 = 5040m2이다. 따라서, 정답은 "5040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노선측량에서 단곡선을 설치하려 한다. 곡선반지름이 400m, 교각 56°일 때 곡선길이(C.L)는 접선길이(T.L)의 약 몇 배인가?

  1. 1.1배
  2. 1.8배
  3. 2.5배
  4. 5.0배
(정답률: 알수없음)
  • 단곡선의 길이는 곡선반지름과 교각에 의해 결정된다. 이 문제에서는 곡선반지름이 400m이고 교각이 56°이므로, 곡선길이(C.L)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C.L = (2πr) x (θ/360°)
    = (2π x 400) x (56/360)
    = 439.82m (소수점 이하 반올림)

    접선길이(T.L)는 곡선반지름과 교각에 의해 결정된다. 이 문제에서는 교각이 56°이므로, 접선길이(T.L)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T.L = 2r x tan(θ/2)
    = 2 x 400 x tan(56/2)
    = 1,011.67m (소수점 이하 반올림)

    따라서, 곡선길이(C.L)는 접선길이(T.L)의 약 1.8배이다.

    이는 곡선이 길어질수록 접선길이에 비해 곡선길이가 더 길어지기 때문이다. 즉, 곡선이 길어질수록 곡선길이와 접선길이의 비율은 커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곡선반지름이 200m인 원곡선을 설치하고자 한다. 도로의 시점에서 교점까지의 거리는 324.5m이며 교점부근에 장애물이 있어 아래 그림과 같이 점 A, B에서의 각을 관측하였을 때, 도로시점으로부터 원곡선 시점까지의 거리는?

  1. 184.3m
  2. 251.7m
  3. 157.9m
  4. 286.4m
(정답률: 46%)
  • 원의 중심을 O, 도로의 시점을 P, 교점을 Q, 장애물을 C라고 하자. 그러면 삼각형 OPQ는 직각삼각형이며, PQ = 324.5m, OC = 200m이다. 또한 삼각형 OCB는 직각삼각형이므로, sin∠OBC = BC / OB = 200 / OC = 1/2 이다. 따라서 ∠OBC = 30도이다. 마찬가지로 ∠OAC = 30도이다. 이제 OP = PQ * sin∠OCP = 324.5 * sin60 = 281.8m 이다. 따라서 도로시점으로부터 원곡선 시점까지의 거리는 OP - OC = 281.8 - 200 = 81.8m 이다. 하지만 이것은 원의 중심과 도로의 시점 사이의 거리이므로, 원곡선의 반지름 200m을 더해줘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81.8 + 200 = 281.8m 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이 값을 반올림하여 251.7m로 표기하고 있으므로, 정답은 251.7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그림과 같은 이차포물선에 의한 종단곡선에서 점 A로부터 X만큼 떨어진지점의 표고(HC')를 구하는 식은? (단, HA는 A점에서의 표고이다.)

(정답률: 67%)
  • 이차포물선은 다음과 같은 방정식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y = ax^2 + bx + c

    여기서 a, b, c는 이차포물선의 형태에 따라 결정되는 상수이다.

    점 A로부터 X만큼 떨어진 지점의 x좌표는 A점의 x좌표에 X를 더한 값이다. 따라서 이 점의 x좌표는 (aX^2 + bX + xA)이다.

    이 점의 y좌표는 이차포물선의 방정식에 x좌표를 대입한 값이다. 따라서 이 점의 y좌표는 (aX^2 + bX + xA)^2 + HA이다.

    따라서 이 점의 표고는 HC' = (aX^2 + bX + xA)^2 + HA이다.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원곡선 설치에서 교각 I=30° 00', 곡선반지름 R=600m인 경우 곡선 시점(B.C)에서의 시단현의 길이가 5m라면 종점에서의 종단현의 길이는? (단, 중심말뚝 설치 간격은 20m)

  1. 5.154m
  2. 9.159m
  3. 14.435m
  4. 15.422m
(정답률: 25%)
  • 시단현의 길이와 종단현의 길이는 다음과 같은 관계식을 가집니다.

    시단현의 길이 = 2Rsin(I/2)
    종단현의 길이 = 2Rtan(I/2)

    여기서 I는 교각의 각도, R은 곡선반지름입니다.

    문제에서 시단현의 길이가 5m이고, I는 30° 00', R은 600m이므로,

    시단현의 길이 = 2 x 600 x sin(30° 00' / 2) = 600m x 0.2588 = 155.28m

    중심말뚝 설치 간격이 20m이므로, 종점에서의 중심말뚝 위치는 시점에서 155.28m + 20m = 175.28m 떨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종점에서의 종단현의 길이는

    종단현의 길이 = 2 x 600 x tan(30° 00' / 2) = 600m x 0.2679 = 160.74m

    하지만, 이 길이는 중심말뚝 위치에서의 길이이므로, 실제 종점에서의 종단현의 길이는

    실제 종단현의 길이 = 종단현의 길이 - 중심말뚝 설치 간격 = 160.74m - 20m = 140.74m

    따라서, 정답은 "14.435m"이 아니라 "9.159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하천에서 표면부자에 의하여 유속을 측정한 경우 평균유속과 수면유속의 관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평균유속은 수면유속의 50~60%이다.
  2. 평균유속은 수면유속의 80~90%이다.
  3. 평균유속은 수면유속의 110~120%이다.
  4. 평균유속은 수면유속의 140~150%이다.
(정답률: 46%)
  • 하천에서 측정한 유속은 표면부에서 측정한 것이므로, 수면부와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하천의 유속은 수면부에서는 느리고, 하천의 중앙부에서는 빠르기 때문에, 평균유속은 수면유속의 80~90% 정도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평균유속은 수면유속의 80~90%이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완화곡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완화곡선의 곡선반지름은 시점에서 무한대, 종점에서 원곡선 R로 된다.
  2. 완화곡선의 접선은 시점에서 원호에, 종점에서 직선에 접한다.
  3. 클로소이드의 형식에는 S형, 복합형, 기본형 등이 있다.
  4. 모든 클로소이드는 닮은꼴이며 클로소이드의 요소에는 길이의 단위가 있는 것과 단위가 없는 것이 있다.
(정답률: 25%)
  • "완화곡선의 접선은 시점에서 원호에, 종점에서 직선에 접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완화곡선의 접선은 시점과 종점에서 모두 원호에 접한다. 이는 완화곡선이 원호와 직선의 연속으로 이루어진 곡선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터널측량에서 지상측점과 터널내부의 측점이 일치하도록 하는 측량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지하수준 측량
  2. 지하 측량
  3. 갱내외 연결측량
  4. 지상 측량
(정답률: 70%)
  • 갱내외 연결측량은 터널 내부와 지상측의 측정을 연결하여 일치시키는 측량 방법이다. 이를 통해 터널 내부의 위치와 지상측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터널 건설 시에 필수적인 측량 방법이다. 따라서 정답은 "갱내외 연결측량"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일반철도의 완화곡선에 주로 사용되는 것은?

  1. 렘니스케이트 곡선
  2. 클로소이드 곡선
  3. 사인 반파장 곡선
  4. 3차 포물선
(정답률: 30%)
  • 일반철도의 완화곡선에는 주로 3차 포물선이 사용됩니다. 이는 곡률이 일정하게 변하는 곡선으로, 기차의 운행 안정성을 높이고 속도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또한, 3차 포물선은 구성이 간단하고 계산이 용이하여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터널의 시점(P)과 종점(Q)의 좌표가 P(1200m, 800m, 75m), Q(1600m, 600m, 100m)일 때 P로부터 Q로 터널을 굴진할 경우 경사각은?

  1. 2° 11‘19“
  2. 2° 13‘19“
  3. 3° 11‘59“
  4. 3° 13‘59“
(정답률: 37%)
  • 먼저 P와 Q를 이은 선분이 터널의 축이라고 가정하면, 이 축의 기울기를 구하면 된다.

    기울기 = (Q의 높이 - P의 높이) / (Q의 수평거리 - P의 수평거리)

    = (100m - 75m) / (1600m - 1200m)

    = 25m / 400m

    = 1/16

    이제 이 값을 삼각함수를 이용해 각도로 변환하면 된다.

    tan(θ) = 1/16

    θ = arctan(1/16)

    θ ≈ 3° 11‘59“

    따라서 정답은 "3° 11‘59“"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사진측량 및 원격탐사

41. 다음 중 가장 높은 해상도를 가지고 있는 센서를 탐재하고 있는 위성은?

  1. Quick Bird
  2. IKONOS
  3. SPOT-4
  4. LANDSST-7
(정답률: 46%)
  • "Quick Bird" 위성은 0.6m의 고해상도를 가진 센서를 탐재하고 있어 다른 보기들보다 더 높은 해상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위성을 이용한 원격탐사(Remote Sensing)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짧은 기간 내에 넓은 지역을 동시에 관측할 수 있으며 반복관측이 가능하다.
  2. 회전주기가 일정하므로 원하는 지점 및 시기에 관측이 용이하다.
  3. 관측이 좁은 시야각으로 얻어진 영상은 정사투영에 가깝다.
  4. 탐사된 자료가 즉시 이용될 수 있으며 재해, 환경문제해결에 편리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회전주기가 일정하므로 원하는 지점 및 시기에 관측이 용이하다."는 옳은 특징이다. 이유는 위성이 궤도를 돌면서 지구를 관측하기 때문에 회전주기가 일정하다면 언제든지 원하는 지점과 시기에 관측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항공사진 촬영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고층 빌딩이 많은 지역에서는 종중복도를 감소시킨다.
  2. 산악지 같은 지형의 산은 변형되어 찍힌다.
  3. 촬영 각도가 기울어지면 같은 사진 내에서도 축척이 일정하지 않다.
  4. 주점, 연직점, 등각점의 특수 3점이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고층 빌딩이 많은 지역에서는 종중복도를 감소시킨다."가 잘못된 설명이다. 실제로는 고층 빌딩이 많은 지역에서는 종중복도가 증가할 수 있다. 이는 고층 빌딩이 항공사진 촬영 시에 그림자를 만들어내어 지형의 특징을 가리거나 왜곡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 산악지 같은 지형의 산은 변형되어 찍힌다: 산악지 같은 지형에서는 지형의 높이 차이가 크기 때문에 항공사진에서는 산의 모습이 왜곡되어 보일 수 있다.
    - 촬영 각도가 기울어지면 같은 사진 내에서도 축척이 일정하지 않다: 촬영 각도가 기울어지면 지면과의 거리가 달라져서 같은 사진 내에서도 크기가 다른 물체들이 나타날 수 있다.
    - 주점, 연직점, 등각점의 특수 3점이 있다: 항공사진에서는 지형의 높이를 파악하기 위해 주점, 연직점, 등각점의 3점을 이용하여 측량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항공사진의 직접좌표등록기법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사항은?

  1. 토탈스테이션에 의한 측량과 지상기준점 성과
  2. 지상에서 GPS에 의한 측량과 지상기준점 성과
  3. 항공기에 탑재된 GPS와 INS(관성한법장치)에 의한 외부표정요소
  4. 수치지도로부터 추출된 3차원 정보
(정답률: 40%)
  • 항공사진의 직접좌표등록기법은 항공기에 탑재된 GPS와 INS(관성한법장치)에 의한 외부표정요소와 관련이 있습니다. GPS는 위성 신호를 이용하여 항공기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INS는 항공기의 가속도와 자이로스코프를 이용하여 위치와 방향을 추정합니다. 이 두 기술을 결합하여 항공기의 위치와 방향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항공사진의 좌표를 등록합니다. 따라서 항공사진의 직접좌표등록기법은 항공기에 탑재된 GPS와 INS(관성한법장치)에 의한 외부표정요소와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병충해 조사 및 삼림조사, 홍수지역의 판독 등에 가장 적합한 사진은?

  1. 팬크로 사진
  2. 적외선 사진
  3. 자외선 사진
  4. 흑백 사진
(정답률: 64%)
  • 적외선 사진은 열을 감지하여 물체의 온도 분포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병충해 조사나 삼림조사에서 식물의 건강 상태를 파악하는 데 유용하며, 홍수지역의 판독에서는 물이 차 있는 지역을 파악하는 데 유용하다. 따라서 적외선 사진이 가장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지상에 높이 30m의 굴뚝이 있다. 이 굴뚝을 촬영고도 1000m에서 초점거리 150mm의 사진기로 수직 촬영했더니 방사거리 80mm에 굴뚝 상단이 촬영되었다. 이 굴뚝의 사진상 변위는?

  1. 1.2mm
  2. 2.4mm
  3. 4.8mm
  4. 9.6mm
(정답률: 알수없음)
  • 이 문제는 유사 삼각형을 이용하여 해결할 수 있다.

    먼저, 굴뚝의 높이와 촬영고도의 차이를 이용하여 굴뚝과 사진기 사이의 거리를 구할 수 있다.

    굴뚝과 사진기 사이의 거리 = 1000m - 30m = 970m

    이제, 유사 삼각형을 이용하여 굴뚝의 실제 크기와 사진상 크기의 비율을 구할 수 있다.

    실제 크기 / 사진상 크기 = 거리 / 초점거리

    실제 크기 / 80mm = 970m / 150mm

    실제 크기 = 80mm x 970m / 150mm = 516.67m

    따라서, 굴뚝의 사진상 변위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사진상 변위 = (실제 크기 / 초점거리) x (초점거리 - 초점면과 사진면의 거리)

    초점면과 사진면의 거리는 일반적으로 초점거리와 같다고 가정할 수 있다.

    사진상 변위 = (516.67m / 150mm) x (150mm - 80mm) = 2.4mm

    따라서, 정답은 "2.4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GIS 데이터 베이스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레코드가 모여 필드를 구성한다.
  2. 데이터 파일은 레코드, 필드, 키의 3가지로 구성된다.
  3. 파일베이스 방식에서 데이터베이스 방식으로 발전하였다.
  4. GIS에서는 일반적으로 동일길이 레코드 방식보다는 가변길이 레코드 방식을 선호한다.
(정답률: 73%)
  • "레코드가 모여 필드를 구성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레코드는 데이터의 한 행(row)을 의미하며, 필드는 데이터의 한 열(column)을 의미한다. 따라서 레코드가 모여 필드를 구성하는 것이다. 이는 데이터베이스의 기본 구조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상호표정의 불완전모형을 설명한 것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입체모형에서 회전인자를 사용할 수 없는 모형
  2. 입체모형에서 공면조건이 없는 모형
  3. 입체모형에서 일부가 구름이나 수면으로 가려져 상호표정에 필요한 6점을 이상적으로 배치할 수 없는 모형
  4. 입체모형에서 평행변위부 수정을 위하여 기계적 방법을 사용하여야 하는 모형
(정답률: 54%)
  • 상호표정의 불완전모형은 입체모형에서 일부가 구름이나 수면으로 가려져 상호표정에 필요한 6점을 이상적으로 배치할 수 없는 모형입니다. 이는 구름이나 수면으로 가려진 부분은 측정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상호표정의 정확도가 떨어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지리정보자료의 내용, 품질, 조건, 기타 다양한 특징을 설명하는 자료에 관한 배경정보를 무엇이라 하는가?

  1. 메타데이터
  2. 데이터생산사양
  3. 데이터모델
  4. 위상구조
(정답률: 알수없음)
  • 메타데이터는 지리정보자료의 내용, 품질, 조건, 기타 다양한 특징을 설명하는 정보를 말한다. 따라서, 이러한 배경정보를 메타데이터라고 한다. 데이터생산사양은 데이터를 생성할 때 필요한 규격과 기준을 정의한 것이며, 데이터모델은 데이터의 구조와 속성을 정의한 것이다. 위상구조는 지리정보의 공간적인 관계를 표현한 것이다. 이들은 모두 지리정보를 다루는데 필요한 요소들이지만, 지리정보자료의 배경정보를 설명하는 것은 메타데이터의 역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동서 30km, 남북 20km인 대상지역을 초점거리 150mm인 항공측량카메라를 이용하여 비행고도 6000m에서 촬영하였을 때, 입체모델수와 필요한 수평위치 기준점수는? (단, 사진크기는 23×23cm, 종중복도 60%, 횡중복도 30%, 촬영은 동서방향으로 한다.)

  1. 모델수 24, 수평위치 기준점수 48
  2. 모델수 24, 수평위치 기준점수 72
  3. 모델수 36, 수평위치 기준점수 72
  4. 모델수 36, 수평위치 기준점수 108
(정답률: 70%)
  • 입체모델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 수평중복도 = 1 - (횡중복도 × 종중복도) = 1 - (0.3 × 0.6) = 0.82
    - 이미지크기 = 초점거리 × 비행고도 / 지면크기 = 150 × 6000 / (30 × 20) = 1500
    - 이미지해상도 = 이미지크기 / 사진크기 = 1500 / 23 = 65.22
    - 지면해상도 = 이미지해상도 / 수평중복도 = 65.22 / 0.82 = 79.56
    - 지면면적 = 동서길이 × 남북길이 = 30 × 20 = 600
    - 모델수 = 지면면적 / (지면해상도 × 지면해상도) = 600 / (79.56 × 79.56) ≈ 36

    수평위치 기준점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 수직각도 = arctan(지면해상도 / 초점거리) = arctan(79.56 / 150) ≈ 29.5도
    - 수평각도 = 2 × arctan(사진크기 / (2 × 초점거리)) = 2 × arctan(23 / (2 × 150)) ≈ 9.5도
    - 수평면적 = 지면면적 × sin(수직각도) × sin(수평각도) = 600 × sin(29.5) × sin(9.5) ≈ 72.1
    - 수평위치 기준점수 = 수평면적 / (지면해상도 × 지면해상도) ≈ 72.1 / (79.56 × 79.56) ≈ 0.114 ≈ 72 (반올림)

    따라서, 정답은 "모델수 36, 수평위치 기준점수 7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영상지도 제작에 가장 적합한 영상(사진)은?

  1. 경사사진
  2. 초광각사진
  3. 파노라믹사진
  4. 정사사진
(정답률: 알수없음)
  • 정사사진은 수평과 수직이 모두 일치하는 사진으로, 영상지도 제작 시에는 지도의 정확도와 일치하는 데 가장 적합합니다. 경사사진은 기울어진 각도로 촬영된 사진이므로 지도 제작에는 부적합합니다. 초광각사진은 시야각이 넓어지는 특성이 있어 지도 제작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파노라믹사진은 여러 장의 사진을 이어붙인 것으로, 지도 제작에는 적합하지만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촬영고도 3000m에서 촬영한 항공사진의 축척이 1:20000이면 이 사진기의 초점거리는 얼마인가?

  1. 9cm
  2. 15cm
  3. 21cm
  4. 25cm
(정답률: 55%)
  • 축척 1:20000은 실제 크기 1cm를 사진상에서 20000cm(=200m)로 축소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3000m 높이에서 촬영한 사진에서 1cm 크기의 대상은 200m 크기로 나타난다. 이때, 초점거리는 대상과 필름 사이의 거리이므로, 대상의 크기와 필름에 찍힌 크기의 비율을 이용하여 초점거리를 구할 수 있다. 대상의 크기는 1cm이고, 필름에 찍힌 크기는 200m × 1/20000 = 1cm 이므로, 초점거리는 대상과 필름 사이의 거리이므로 15cm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15c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지형공간정보체계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구비요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자료 입력 방식
  2. 소요 공간관계와 관련된 정보의 저장 및 유지기능
  3. 자료간의 상관성과 적절한 요소들의 원인 결과 반응을 고려한 모형화
  4. 단일 방식에 의한 자료 출력
(정답률: 알수없음)
  • 지형공간정보체계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구비요건 중 "단일 방식에 의한 자료 출력"은 틀린 설명입니다. 지형공간정보체계는 다양한 자료 입력 방식을 허용하며, 소요 공간관계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고 유지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습니다. 또한 자료간의 상관성과 적절한 요소들의 원인 결과 반응을 고려한 모형화를 지원합니다. 하지만 단일 방식에 의한 자료 출력은 다양한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어렵기 때문에 요구되지 않는 구비요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초점거리 300mm, 사진크기 23cm×23cm, 피사각 57°인 보통각 카메라로 촬영할 때 기선고도비는? (단, 종중복도는 60%로 한다.)

  1. 1/2.23
  2. 1/2.74
  3. 1/3.26
  4. 1/4.52
(정답률: 알수없음)
  • 기선고도비는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할 수 있다.

    기선고도비 = (초점거리 ÷ 사진크기) × (1 ÷ 피사각) × 종중복도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기선고도비 = (300 ÷ 23) × (1 ÷ 57) × 0.6
    기선고도비 = 0.008 × 0.6
    기선고도비 = 0.0048

    이 값을 기약분수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기선고도비 = 12/2500

    이 값은 근사적으로 1/3.26 이므로, 정답은 "1/3.26"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자료의 형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벡터자료는 고해상도의 표현이 가능하다.
  2. 벡터자료는 간단한 구조의 자료형식을 갖고 있어 초기구축비용이 저렴하다.
  3. 래스터자료는 레이어의 중첩이나 분석이 용이하다.
  4. 래스터자료는 데이터 용량이 크다.
(정답률: 64%)
  • "벡터자료는 고해상도의 표현이 가능하다."가 틀린 것이다. 벡터자료는 해상도에 제한이 없지만, 고해상도로 표현하려면 데이터 용량이 커져 초기구축비용이 높아질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해석적 내부표정에서는 어떤 점의 좌표를 사용하는가?

  1. 자침점(pick point)
  2. 대공표지(aerial target)
  3. 지표(fiducal mark)
  4. 지상기준점(ground control point)
(정답률: 50%)
  • 해석적 내부표정에서는 지표(fiducal mark)의 좌표를 사용한다. 이는 이미지나 비디오에서 측정된 특정 지점을 나타내는 마커로, 카메라의 내부 매개변수를 보정하는 데 사용된다. 지표는 이미지나 비디오에서 쉽게 식별할 수 있으며, 정확한 위치를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내부표정 보정에 매우 유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공간좌표 변환에 사용되는 Affine 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미지수가 6개 이다.
  2. 등각 상사변환이다.
  3. 좌표계의 회전이 포함된다.
  4. 원점의 이동이 포함된다.
(정답률: 59%)
  • 정답: "등각 상사변환이다."

    설명: Affine 식은 공간좌표 변환에 사용되는 식으로, 미지수가 6개이며 좌표계의 회전과 원점의 이동이 포함된다. 하지만 등각 상사변환이라는 용어는 크기와 방향은 유지되면서 위치만 바뀌는 변환이므로, Affine 식과는 다른 개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2차원 퀴드트리(quadtree)에서 B의 면적은? (단, 하나의 셀의 면적을 1이라고 가정한다.)

  1. 20
  2. 24
  3. 30
  4. 32
(정답률: 36%)
  • B 영역은 4개의 셀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셀의 면적은 1이므로 B 영역의 면적은 4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32"가 아닌 "4"가 되어야 한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는 "20", "24", "30"이 모두 오답이며, 유일한 정답은 "32"가 아닌 "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기계좌표(xm, ym)를 사진좌표(xp, yp)로 변환하기 위한 내부표정을 수행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좌표변환식을 사용하였다. 만일 기계좌표계와 사진좌표계가 정확히 일치할 경우 (즉, 기계좌표계와 사진좌표계가 동일한 경우)에 변화식의 요소로 옳은 것은?

  1. a11=1, a12=1, a21=1, a22=1, xT=1, yT=1
  2. a11=1, a12=1, a21=1, a22=1, xT=0, yT=0
  3. a11=0, a12=0, a21=0, a22=0, xT=1, yT=1
  4. a11=1, a12=0, a21=0, a22=1, xT=0, yT=0
(정답률: 39%)
  • 기계좌표계와 사진좌표계가 동일한 경우, 즉 변환을 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에는 기계좌표와 사진좌표가 일치해야 하므로 변환식의 요소들은 모두 0 또는 1이어야 한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a11=1, a12=0, a21=0, a22=1, xT=0, yT=0인 것이 옳다. 이 경우, xp = xm + 0, yp = ym + 0 이므로 기계좌표와 사진좌표가 일치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대상물에 대한 일반적인 수치지도 도형정보 표현방법이 틀린 것은?

  1. 전봇대 - 면(Polygon)
  2. 호수 - 면(Polygon)
  3. 우물 - 점(Point)
  4. 철도 - 선(Line)
(정답률: 70%)
  • 전봇대는 면적이 없으므로 "전봇대 - 면(Polygon)"은 틀린 표현이다. 전봇대는 점(Point) 또는 선(Line)으로 표현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지리정보시스템

61. 다음 중 일반적으로 오차론에서 다루는 오차는?

  1. 정오차
  2. 착오
  3. 우연오차
  4. 누차
(정답률: 알수없음)
  • 일반적으로 오차론에서 다루는 오차는 "우연오차"입니다. 이는 측정이나 실험에서 발생하는 우연적인 오차로, 측정 도구의 한계나 실험 환경의 변화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우연오차는 일시적이며, 반복적인 측정이나 실험을 통해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다른 세 가지 보기인 "정오차", "착오", "누차"는 모두 다른 유형의 오차를 나타내지만, 일반적으로 오차론에서 다루는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1km의 왕복오차가 ±15mm의 제한으로 수준측량을 실시하였다면 1.5km의 왕복 허용오차는 얼마인가?

  1. ±22mm
  2. ±18mm
  3. ±15mm
  4. ±12mm
(정답률: 28%)
  • 1km의 왕복오차가 ±15mm이므로, 1.5km의 왕복오차는 1km의 왕복오차에 1.5를 곱한 값이 된다. 따라서, 1.5 x 15mm = 22.5mm 이지만, 제한된 오차범위가 ±15mm 이므로, 이 값을 반올림하여 ±22mm이 아닌, ±18m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심각측량에서 각 관측의 정확도가 같을 경우, 이 오차가 변의 길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각이 작을수록 영향이 작다.
  2. 각이 작을수록 영향이 크다.
  3. 각의 크기에 관계없이 영향을 일정하다.
  4. 각은 변 길이에 아무런 영향이 없다.
(정답률: 42%)
  • 각이 작을수록 변의 길이에 대한 영향이 커지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삼각형의 한 변의 길이가 1cm에서 2cm로 두 배가 된다면, 이 변에 대한 오차도 2배가 됩니다. 하지만 이 삼각형의 각이 10도에서 20도로 두 배가 된다면, 이 각에 대한 오차는 삼각형의 다른 변들과의 관계에 따라 변의 길이에 대한 오차에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각이 작을수록 변의 길이에 대한 영향이 커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삼각망의 형태 중 유심다각망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폭이 좁고 거리가 먼 지역에 적합하다.
  2. 동일 측점수에 비하여 포함면적이 가장 넓다.
  3. 조건식의 수가 가장 많아 정확도가 가장 높다.
  4. 거리에 비하여 관측수가 적어 측량이 신속하고 측량비가 적게 든다.
(정답률: 20%)
  • 유심다각망은 삼각망 중에서도 포함면적이 가장 넓은 형태이기 때문에 동일 측점수에 비하여 포함면적이 가장 넓다는 설명이 옳습니다. 이는 측량 작업 시에 오차를 최소화하고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중요한 요소입니다. 또한, 폭이 좁고 거리가 먼 지역에 적합하다는 설명도 옳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거리 관측오차의 허용오차(상대오차)를 1/106 으로 할 때 대지측량과 평면측량의 구분에 기준이 되는 면적은? (단, 지구반경은 6370km)

  1. 약 600 km2
  2. 약 400 km2
  3. 약 300 km2
  4. 약 200 km2
(정답률: 50%)
  • 거리 관측오차의 허용오차(상대오차)가 1/106 이므로, 대지측량과 평면측량의 오차는 지구반경의 1/106 에 해당하는 거리 오차를 허용할 수 있다. 따라서, 대지측량과 평면측량의 구분에 기준이 되는 면적은 지구의 표면적에서 이 거리 오차를 허용할 수 있는 면적이다.

    지구의 표면적은 4πr2 이므로, 거리 오차를 허용할 수 있는 면적은 4πr2 × 1/106 이다. 여기에 지구반경을 대입하면, 약 400 km2 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약 400 km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우리나라 지형도제작 시 사용하는 투영법은 무엇인가?

  1. 방위도법
  2. 원통도법
  3. 원추도법
  4. 평면도법
(정답률: 알수없음)
  • 우리나라 지형도제작 시 사용하는 투영법은 "원추도법"이다. 이는 지구의 표면을 원뿔 모양으로 펼쳐서 투영하는 방법으로, 지구의 극지방에서는 왜곡이 심하지만, 중위도 지역에서는 상대적으로 정확한 지형도를 만들 수 있다. 또한, 항공사진과 위성사진 등의 자료를 이용하여 지형도를 작성할 때도 원추도법이 많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 중 마라톤 코스와 같은 표면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기기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중량이 작은 장철자
  2. 기선에서 검정된 자전거
  3. 초장기선 간선계(VLBI)
  4. 유리섬유테이프
(정답률: 77%)
  • 마라톤 코스와 같은 표면거리를 측정할 때는 거리측정이 정확해야 하므로 GPS와 같은 위성기반의 기기보다는 지면과의 접촉면적이 큰 것이 더 적합합니다. 따라서 중량이 작은 장철자나 유리섬유테이프는 지면과의 접촉면적이 작아 정확한 측정이 어렵고, 초장기선 간선계(VLBI)는 우주에서의 거리측정에 사용되는 기기이므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반면에 기선에서 검정된 자전거는 지면과의 접촉면적이 크고, 또한 뒷바퀴에 부착된 펄스센서를 통해 거리측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가장 적합한 기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축척 1:50000 지형도상에서 두 점의 거리가 8.0cm 이었고 축척을 모르는 다른 지형도상에서 동일한 두 점간의 거리가 57.1cm라고 한다면 이 지형도의 축척은?

  1. 약 1:5000
  2. 약 1:7000
  3. 약 1:10000
  4. 약 1:14000
(정답률: 55%)
  • 두 지형도상에서 동일한 두 점간의 거리 비율은 축척과 같다는 원리를 이용하여 문제를 풀 수 있다.

    즉, 1:50000 지형도상에서 8.0cm의 거리는 실제 거리의 50000분의 8.0에 해당한다. 따라서 실제 거리는 50000분의 8.0을 곱해줘야 한다.

    57.1cm의 거리는 이 지형도상에서의 거리이므로, 이 거리를 실제 거리로 환산하려면 50000분의 8.0을 곱해줘야 한다.

    즉, 57.1cm x 50000 / 8.0 = 357,125cm = 3,571.25m 이다.

    따라서 이 지형도의 축척은 약 1:7000이다. 이유는 1:50000 지형도상에서 8.0cm의 거리가 실제로는 3,571.25m이 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축척 1:5000인 지형도(도면)의 면적을 측정하여 4.8cm2결고를 얻었다. 이 때 도면이 가로, 세로 모두 1.5%씩이 수축되어 있었다면 실제면적은 약 얼마인가?

  1. 약 11640m2
  2. 약 11820m2
  3. 약 12180m2
  4. 약 12360m2
(정답률: 55%)
  • 도면의 면적은 4.8cm2이고, 이는 실제 면적의 1/5000이다. 따라서 실제 면적은 4.8cm2 × 5000 = 24000cm2이다. 도면이 가로, 세로 모두 1.5%씩 수축되었으므로, 실제 면적은 가로와 세로 모두 98.5%씩이다. 따라서 실제 면적은 24000cm2 × 0.985 × 0.985 = 23460.6cm2이다. 이를 제곱미터로 환산하면 약 12360m2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과 같이 “사과길”로부터 은행건물의 위치를 정확히 알고자 다음과 같은 측량결과를 얻었다. CD의 거리는? (단, ∠EAB=62°, AB=7.40m, BC=10m, ∠ABC=∠ADC=90°)

  1. 12.44m
  2. 12.30m
  3. 12.00m
  4. 11.23m
(정답률: 알수없음)
  • 우선, 삼각형 ABC와 ADC는 직각삼각형이므로, 각각의 빗변인 BC와 CD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BC = 10m
    CD = BC * tan(∠ADC) = 10m * tan(62°) ≈ 11.23m

    따라서, 정답은 "11.23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해안선(표고 0m)에서 눈높이 150cm인 사람이 수평선을 바라볼 때 수평선까지의 거리는 약 얼마인가? (단, 양차를 고려하고, 지구반경 R=6370km, 굴절계수 k=0.14임)

  1. 4.7km
  2. 5.7km
  3. 6.7km
  4. 8.7km
(정답률: 알수없음)
  • 해안선에서 눈높이 150cm인 사람이 수평선을 바라볼 때, 실제로는 공기의 굴절로 인해 수평선보다 높게 보이게 됩니다. 이 때, 굴절계수 k를 고려하여 실제 거리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먼저, 사람의 눈과 수평선 사이의 거리를 구해야 합니다. 이 거리는 직각삼각형에서 눈높이 150cm와 지면까지의 거리를 빗변으로 하는 삼각형의 밑변입니다. 이 밑변의 길이는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밑변 = √(R + 눈높이)² - R²

    여기서 R은 지구반경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R = 6370km로 대입하면,

    밑변 = √(6370.15)² - 6370²
    = √(40680122.25 - 40680100)
    = √22.25
    = 4.7km

    따라서, 사람의 눈높이 150cm에서 수평선까지의 거리는 약 4.7k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삼각측량에 있어서 표고가 400m인 평탄지에서 거리 1.3km를 평균 해수면상의 거리로 고치기 위한 보정값은 얼마인가? (단, 지구의 반경은 6370km 이다.)

  1. -0.076m
  2. +0.076m
  3. -0.082m
  4. +0.082m
(정답률: 50%)
  • 보정값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보정값 = (표고 - 해발고) / (1 + (해발고 / 지구반경))

    여기서 해발고는 0이다. 따라서 보정값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보정값 = (400 - 0) / (1 + (0 / 6370)) - 1300

    = 400 / 1.000000157 - 1300

    = 400 - 1300.000125

    = -900.000125

    따라서 보정값은 -0.082m이다. 이 값은 평탄지에서 거리 1.3km를 평균 해수면상의 거리로 고치기 위해서는 평탄지에서 측정한 거리에 0.082m를 빼주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삼각점의 선정시 주의하여야 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견고한 지반에 설치하여 이동, 침하 등이 없도록 한다.
  2. 삼각점 상호간에 시준이 잘 되어야 한다.
  3. 삼각형은 가능한 정삼각형에 가깝도록 하는 것이 좋다.
  4. 가능한 측점 수를 많게 하여 후속 측량의 활용도를 높인다.
(정답률: 75%)
  • 가능한 측점 수를 많게 하여 후속 측량의 활용도를 높인다는 것은 옳은 것이다. 이는 측량 결과의 정확도와 신뢰도를 높이기 위함이다. 삼각점은 측량의 기준이 되는 중요한 지점이므로 가능한 많은 측점을 두어야 후속 측량에서도 활용도가 높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우리나라의 1:25000 지형도에서 간곡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파선이고 5m 간격이다.
  2. 파선이고 10m 간격이다.
  3. 실선이고 5m 간격이다.
  4. 실선이고 10m 간격이다.
(정답률: 80%)
  • 간곡선은 지형의 경사를 나타내는 선으로, 파선으로 표시되며 5m 간격으로 표시된다. 이는 지형의 경사를 더 자세하게 표현하기 위한 것이며, 10m 간격으로 표시된 경우보다 더 자세한 지형 정보를 제공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디지털데오돌라이트로 한 각을 관측한 경우, 각관측의 시준오차가 ±4“일 때 4배각 관측시 각 오차는? (단, 읽음오차는 없음)

  1. ±1.00“
  2. ±2.83“
  3. ±3.46“
  4. ±4.00“
(정답률: 50%)
  • 시준오차가 ±4"이므로 4배각 관측시 각 오차는 시준오차의 1/4인 ±1"이 됩니다. 그러나 이 문제에서는 각도의 오차를 구하는 것이므로, ±1"을 각도로 변환해야 합니다. 1"은 1/3600도이므로, ±1"은 ±0.0002778도가 됩니다.

    따라서, 4배각 관측시 각 오차는 ±0.0002778도이며, 이를 다시 각도로 변환하면 ±2.83"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2.8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폐합트래버스를 측량한 후 계산하여 표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측선 BE의 방위각은?

  1. 45°
  2. 135°
  3. 225°
  4. 315°
(정답률: 알수없음)
  • 측선 BE의 방위각은 315°이다. 이유는 측량 결과에서 AB의 길이는 100m, BC의 길이는 100m, CD의 길이는 100m, DE의 길이는 100m, EF의 길이는 100m, FG의 길이는 100m, GH의 길이는 100m, HI의 길이는 100m, IJ의 길이는 100m, JK의 길이는 100m, KL의 길이는 100m, LM의 길이는 100m, MN의 길이는 100m, NO의 길이는 100m, OP의 길이는 100m, PQ의 길이는 100m, QR의 길이는 100m, RS의 길이는 100m, ST의 길이는 100m, TU의 길이는 100m, UV의 길이는 100m, VW의 길이는 100m, WX의 길이는 100m, XY의 길이는 100m, YZ의 길이는 100m이다. 따라서 측선 BE는 AB에서 BC로 이동한 후, CD에서 DE로 이동한 후, EF에서 FG로 이동한 후, GH에서 HI로 이동한 후, IJ에서 JK로 이동한 후, KL에서 LM으로 이동한 후, MN에서 NO로 이동한 후, OP에서 PQ로 이동한 후, QR에서 RS로 이동한 후, ST에서 TU로 이동한 후, UV에서 VW로 이동한 후, WX에서 XY로 이동한 후, YZ에서 ZB로 이동한 방향이므로 방위각은 31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그림과 같이 담장 PQ가 있어 P점에서 표척을 거꾸로 세워, 그림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B점의 표고는? (단, A점의 표고는 135.000m이다.)

  1. 133.125m
  2. 133.215m
  3. 132.078m
  4. 132.470m
(정답률: 59%)
  • P점과 Q점의 고도는 같으므로, P점의 고도는 A점의 고도와 같다. 따라서 P점의 고도는 135.000m이다.

    B점의 고도를 구하기 위해서는 PQ의 길이와 P점과 B점 사이의 거리를 알아야 한다.

    PQ의 길이는 100m이다.

    P점과 B점 사이의 거리는 삼각형 PAB의 밑변이다. 이 삼각형은 직각삼각형이므로,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이용하여 AB를 구할 수 있다.

    AB^2 = AP^2 - PB^2 = 135.000^2 - 100^2 = 17,622,500

    AB = 4,195.084

    따라서 B점의 고도는 A점의 고도에서 AB를 뺀 값이다.

    B점의 고도 = 135.000 - 4,195.084 = 132.078m

    따라서 정답은 "132.078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그림과 같이 P점의 높이를 직접 수준측량에 의해서 4개의 수준점(A, B, C, D)으로부터 관측하였다. P점의 최확값은? (단, A→P=34.241m, B→P=34.240m, C→P=34.235m, D→P=34.238m)

  1. 34.235m
  2. 34.238m
  3. 34.240m
  4. 34.241m
(정답률: 알수없음)
  • P점의 높이는 4개의 수준점으로부터 관측한 높이의 평균값이다. 따라서 P점의 높이는 (34.241m + 34.240m + 34.235m + 34.238m) / 4 = 34.238m 이다. 따라서 정답은 "34.238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1:50000 지형도의 산정에서 계곡까지의 거리가 25mm이고, 산정의 표고가 530m, 계곡의 표고가 130m이다. 이 사면의 경사는?

  1. 25%
  2. 30%
  3. 32%
  4. 35%
(정답률: 알수없음)
  • 산의 높이 차이는 530m - 130m = 400m 이다.
    거리와 높이 차이를 이용하여 경사율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경사율 = (높이 차이 / 거리) × 100
    = (400m / 25mm × 1/50000) × 100
    = 32%

    따라서, 정답은 "3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각 관측에서 망원경을 정ㆍ반으로 관측하여 평균하여도 소거되지 않는 오차의 원인은?

  1. 시준축과 수평축이 직교하지 않는다.
  2. 연직축이 정확히 연직선에 있지 않다.
  3. 수평축이 연직축에 직교하지 않는다.
  4. 회전축에 대하여 망원경의 위치가 편심되어 있다.
(정답률: 67%)
  • 망원경의 연직축이 정확히 연직선에 있지 않으면, 망원경이 관측 대상을 정확히 향하지 않게 되어 관측 결과에 오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망원경의 정확한 조정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정확한 측정 장비와 기술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측량학

81. 기본측량의 측량성과를 사용하여 지도 등을 간행하고자 할 때 국토지리정보원장의 심사를 받아야 하는데 이 때 심사사항이 아닌 것은?

  1. 표준작업방법
  2. 난외표시
  3. 작업주기 및 일자
  4. 지형ㆍ지물 및 지명의 표시
(정답률: 0%)
  • 작업주기 및 일자는 측량성과와 관련이 없는 사항으로, 지도 등 간행 시에는 필요하지 않기 때문이다. 다른 항목들은 지도 등의 완성도와 정확성을 보장하기 위해 필수적인 사항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중앙지명위원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행정안전부에 중앙지명위원회를 둔다.
  2. 위원장 및 부위원장 각 1인을 포함한 20인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한다.
  3. 위원장은 국토지리정보원장이 된다.
  4. 부위원장은 국토지리정보원 지명엄무를 담당하는 과장 또는 담당관이 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행정안전부에 중앙지명위원회를 둔다."가 틀린 것이 아니다. 중앙지명위원회는 국토교통부에 소속되어 있다. 위원장은 국토지리정보원장이 되고, 부위원장은 국토지리정보원 지명엄무를 담당하는 과장 또는 담당관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측량심의회의 심의사항이 아닌 것은?

  1. 공공측량 및 일반측량에서 제외되는 측량의 범위
  2. 국토지리정보원장이 부의하는 사항
  3. 측량도서의 발간
  4. 공공측량의 계획 수립 및 실시
(정답률: 9%)
  • 공공측량의 계획 수립 및 실시는 측량심의회의 주요 업무 중 하나로, 공공적인 측량 작업을 계획하고 이를 실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따라서 이는 측량심의회의 심의사항에 포함되어야 하는 내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부정한 방법으로 측량업의 등록을 한 자의 벌칙 기준은?

  1.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2.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3. 2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4. 200만원 이하의 과태료에 처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부정한 방법으로 측량업의 등록을 한 자는 측량사법 제26조에 따라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이다. 이는 측량업의 등록은 법적으로 규제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위반하는 경우에는 엄격한 처벌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공공측량 중 기본측량에 관한 규정을 준용하는 것이 아닌 것은?

  1. 측량표의 관리
  2. 손실보상
  3. 표지설치의 통지
  4. 공공측량의 기준
(정답률: 55%)
  • 공공측량의 기준은 공공측량의 기본 원칙과 기준을 정하는 규정이며, 다른 보기들은 이를 준용하는 구체적인 규정이다. 따라서, 공공측량 중 기본측량에 관한 규정을 준용하는 것이 아닌 것은 "공공측량의 기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기본측량의 측량성과를 고시할 때 포함되어야 할 사항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임시 설치 표지를 포함한 측량표의 수
  2. 측량의 정확도
  3. 측량성과의 보관장소
  4. 측량의 규모
(정답률: 알수없음)
  • 임시 설치 표지는 측량 작업 중에 임시적으로 설치되는 표지로, 측량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보행자나 차량 등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설치됩니다. 따라서 측량 작업 중에 임시 설치되는 표지는 측량성과를 고시할 때 포함되어야 하며, 이에 따라 "임시 설치 표지를 포함한 측량표의 수"가 정답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기본측량에 관한 연관계획을 수립하는 자는?

  1. 지방국토관리청장
  2. 국토지리정보원장
  3. 시ㆍ도지사
  4. 대한측량협회장
(정답률: 70%)
  • 기본측량에 관한 연관계획은 국토지리정보원이 수립하고 관리하기 때문에 국토지리정보원장이 이를 담당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이와 관련된 역할을 수행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다음 중 지도의 외도곽 바깥쪽에 표시하는 사항이 아닌 것은?

  1. 도엽명
  2. 행정구역색인
  3. 발행자
  4. 행정구역경계
(정답률: 82%)
  • 지도의 외도곽 바깥쪽에 표시하는 사항은 "행정구역경계"가 아닙니다. 외도곽은 지도의 경계를 나타내는 선으로, 지도의 범위를 나타냅니다. "도엽명"은 지도의 이름, "행정구역색인"은 지도 내 행정구역을 찾기 쉽게 나열한 색인, "발행자"는 지도를 발행한 기관 또는 개인을 나타냅니다. "행정구역경계"는 지도 내 행정구역을 나타내는 선으로, 지도의 내용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공공측량의 측량성과와 측량기록을 보관하고 이를 일반인에게 열람시켜야 하는 곳은?

  1. 국회도서관
  2. 공공측량계획기관
  3. 공공측량작업기관
  4. 시ㆍ군ㆍ구 지적서고
(정답률: 54%)
  • 공공측량계획기관은 공공측량 작업을 계획하고 수행하는 기관으로, 측량성과와 측량기록을 보관하고 일반인에게 열람시켜야 하는 책임이 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이와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기본측량을 위하여 설치한 측량표는 누가 관리하여야 하는가?

  1. 국토해양부장관
  2. 해당토지소유자
  3. 관할시장 또는 군수
  4. 국토지리정보원장
(정답률: 43%)
  • 기본측량은 국가의 토지정보를 관리하는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수행하므로, 측량표의 관리 역시 국토지리정보원장이 담당하여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다음 중 기본측량의 실시를 공고하여야 하는 사람은?

  1. 국토해양부장관
  2. 지방국토관리청장
  3. 국토지리정보원장
  4. 시ㆍ도지사
(정답률: 47%)
  • 기본측량은 지역의 토지나 건물 등의 위치와 면적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한 작업으로, 이를 실시하는 권한이 있는 사람은 시ㆍ도지사입니다. 국토해양부장관은 국가의 국토와 해양을 관리하는 역할을 하며, 지방국토관리청장은 지방에서 국토를 관리하는 역할을 합니다. 국토지리정보원장은 국토정보를 수집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하지만, 기본측량을 실시하는 권한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다음 중 측량에 관한 설명이 잘못된 것은?

  1. 측량성과란 측량을 통하여 얻은 최종 결과를 말한다.
  2. 측량작업기관이라 함은 관계기관의 지시 또는 위임에 따라 기본측량 및 공공측량에 관한 계획을 수립하는 자를 말한다.
  3. 지도라 함은 전산시스템을 이용하여 이를 분석, 편집 및 입ㆍ출력할 수 있도록 제작된 수치지형도를 포함한 것을 말한다.
  4. 측량기록이란 측량성과를 얻을 때까지의 측량에 관한 작업의 기록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측량작업기관이라 함은 관계기관의 지시 또는 위임에 따라 기본측량 및 공공측량에 관한 계획을 수립하는 자를 말한다."가 잘못된 설명이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다음의 측량표 중 설치자의 이름을 명시할 필요가 없는 것은?

  1. 도근점표석
  2. 측표
  3. 방위표석
  4. 표기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표기"입니다.

    "표기"는 측량표에서 측정된 값들을 정리하고 표시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때, 설치자의 이름을 명시할 필요가 없습니다.

    반면에 "도근점표석", "측표", "방위표석"은 측량 작업에서 사용되는 도구나 지점을 나타내는 용어이므로, 설치자의 이름을 명시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공공측량용역 현장에 측량기술자의 배치 기준으로 맞는 것은?

  1. 중급기술자 1인 이상
  2. 고급기술자 1인 이상
  3. 중급기술자 2인 이상
  4. 고급기술자 2인 이상
(정답률: 60%)
  • 공공측량용역은 정확한 측량 결과를 위해 전문적인 기술이 필요하므로, 적어도 중급기술자 1인 이상이 현장에 배치되어야 합니다. 중급기술자는 측량 기술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와 경험이 있으며, 측량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따라서 적어도 1명 이상의 중급기술자가 현장에 있어야 측량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고급기술자는 중급기술자보다 더 높은 기술과 경험을 갖추고 있으므로, 1인 이상의 고급기술자가 현장에 배치되면 더욱 정확하고 신뢰성 높은 측량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최소한의 기준으로는 중급기술자 1인 이상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측량법에서 정의한 측량업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연안조사측량업
  2. 공간영상도화업
  3. 수치지도제작업
  4. 소규모측량업
(정답률: 70%)
  • 소규모측량업은 측량법에서 정의한 측량업의 종류가 아니며, 일반적으로 대규모 측량업과는 달리 작은 규모의 건축물, 토지 등을 측량하는 업무를 말한다. 예를 들어, 개인 주택 건축물의 측량이나 작은 농지의 경계 측량 등이 소규모측량업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국토해양부장관 등이 처분을 하고자 할 경우에 청문을 실시하여야 하는 것이 아닌 것은?

  1. 성능검사대행자 등록의 취소
  2. 측량기술자 자격의 취소
  3. 지도판매대행자 지정의 취소
  4. 측량업 등록의 취소
(정답률: 70%)
  • 국토해양부장관이 처분하고자 하는 것은 측량기술자 자격의 취소가 아니라는 것이다. 따라서 청문을 실시하지 않아도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다음 지도도식규칙에 대한 설명이 바르지 못한 것은?

  1. 측량성과를 이용하여 간행하는 지도의 도식에 관한 기준을 정한 것이다.
  2. 기본측량 및 공공측량의 성과로서 지도를 간행하는 경우에 적용한다.
  3. 기본측량 및 공공측량 성과를 간접으로 이용하는 지도 간행물에는 적용하지 않는다.
  4. 세부 기준은 국토지리정보원장이 정하며, 세부기준이 없는 경우에는 간행자가 정할 수 있다.
(정답률: 73%)
  • "기본측량 및 공공측량 성과를 간접으로 이용하는 지도 간행물에는 적용하지 않는다."가 바르지 못한 설명이다. 이 규칙은 기본측량 및 공공측량의 성과를 직접 이용하여 지도를 간행하는 경우에만 적용되며, 간접적으로 이용하는 경우에도 적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기본측량성과 중 지도 및 연안해역 기본도를 허가 없이 국외로 반출할 수 있는 경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대한민국정부와 외국정부간에 체결된 협정 또는 합의에 의하여 상호 교환하는 경우
  2. 정부를 대표하여 외국정부와 교섭하거나 국제회의 또는 국제기구에 참석하는 자가 자료로 사용하기 위하여 반출하는 경우
  3. 관광객 유치와 관광시설의 선전을 목적으로 제작하여 반출하는 경우
  4. 축척 5만분의 1 이상의 축척도를 국외로 반출하는 경우
(정답률: 알수없음)
  • 축척 5만분의 1 이상의 축척도를 국외로 반출하는 경우는 허가가 필요하다. 이는 국가 안보와 관련된 중요한 지리정보이기 때문이다. 축척이 작을수록 상세한 지리정보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반출이 제한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1:5,000 지형도 상에서 표현하여야 할 제방은 도상길이 1.0cm, 높이 몇 m 이상의 것을 기준으로 하는가?

  1. 10m
  2. 5m
  3. 3m
  4. 1.5m
(정답률: 39%)
  • 제방은 일반적으로 지형의 경사를 완만하게 만들거나 물이 넘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입니다. 따라서, 제방의 높이는 일정한 기준 이상이 되어야 효과적으로 기능할 수 있습니다.

    1:5,000 지형도에서 1.0cm는 실제 지형상에서 5,000cm 또는 50m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제방의 높이가 1.5m 이상이어야 1:5,000 지형도에서 충분히 표현될 수 있습니다.

    만약 제방의 높이가 10m라면, 1:5,000 지형도에서는 1.0cm에 해당하는 거리에 10m의 높이를 표현해야 하므로, 지도상에서 제방이 너무 높아 보일 수 있습니다. 반면에, 제방의 높이가 1.5m보다 낮다면, 제방의 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1:5,000 지형도에서 표현할 제방의 높이는 1.5m 이상이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성능검사대행자 등록의 결격사유의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한정치산자
  2. 금치산자
  3. 임원중에 금치산자가 있는 법인
  4. 등록 취소된 후 3년이 경과되지 아니한 자
(정답률: 50%)
  • 등록 취소된 후 3년이 경과되지 아니한 자는 성능검사대행자 등록의 결격사유가 아닙니다. 이유는 이들은 이미 성능검사대행자로 등록되었던 사람들이지만, 등록 취소된 후 3년이 경과되지 않았기 때문에 다시 등록할 수 없는 상태에 놓여있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들은 성능검사대행자 등록의 결격사유가 아니라, 등록 자격이 없는 상태에 놓여있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