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과목 구분 없음
1. 주파수가 60[Hz]이고 극수가 4인 유도전동기가 1,728[rpm]으로 회전하고 있을 때, 슬립은?
2. 직류전동기의 속도제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 동기발전기의 병렬운전 조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모두 고르면?
4. 직류기의 전기자 권선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5. 정격용량이 10[kVA]인 이상변압기(ideal transformer)의 1차측 정격전압이 5[kV]이고 2차측 정격전압이 100[V]일 때, 2차측의 정격전류[A]는?
6. 3상 원통형(비철극기) 동기발전기의 전기자반작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7. 철심의 단면적이 0.05[m2]인 단상변압기의 1차측 전압은 1,332[V], 주파수는 50[Hz]이다. 철심의 최대자속밀도가 1.2[T]일 때, 2차측에 199.8[V]의 유도전압을 발생하려면 2차측 권선의 턴수는? (단, 철심에서 외부로의 누설 자속은 무시한다)
8. 동기전동기의 위상특성곡선(V곡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9. 농형유도전동기는 심구효과를 어느 정도 이용하는지에 따라 몇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진다. 대표적으로 NEMA 분류법에서는 농형유도전동기를 A, B, C, D의 4가지 설계 유형으로 나누고 있다. 각 설계 유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0. 전부하에서 슬립 0.08로 회전하고 있는 3상 유도전동기가 있다. 전동기의 1차 입력이 115[kW]일 때 다음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전동기의 철손 및 1차 동손의 합은 15[kW]이고, 기계손 및 표유부하손은 무시한다)
11. 4극 단중 중권 직류기가 1,200[rpm]의 속도로 회전할 때 생성되는 유기기전력[V]은? (단, 매극당 유효자속이 0.01[Wb]이고, 전기자 총도체수는 150이다)
12. 그림과 같은 두 가지 회전자 타입의 영구자석 동기전동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3. 그림과 같은 컨버터회로에서 입력전압 Vi = 100[V]이고 듀티비(duty ratio)가 0.5일 때, 출력전압 Vo[V]는? (단, 모든 소자는 이상적으로 동작하고, 커패시턴스 C와 인덕턴스 L은 충분히 크다고 가정한다)
14. 전력용 반도체 스위치 중 턴온(turn-on) 제어는 가능하나 턴오프(turn-off) 제어는 불가능한 소자는?
15. 다음 중 정격 토크에 대한 기동토크비가 가장 작은 단상유도전동기는?
16. 단자전압 220[V], 전기자저항 0.2[Ω]인 직류분권발전기의 회전수가 1,200[rpm]일 때, 전기자전류는 100[A]이다. 이 발전기의 단자전압과 전기자전류를 기존과 동일한 값으로 하여 전동기로 운전할 때의 회전수[rpm]는? (단, 전기자반작용에 의한 전압강하와 브러시의 접촉에 의한 전압강하는 무시한다)
17. 10[kVA], 1,000/100[V] 변압기에서 1차측으로 환산한 등가 임피던스가 3+j4[Ω]일 때 이 변압기의 %리액턴스 강하[%]는?
18. 변압기에 사용되는 절연유의 요구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19. 2,500[rpm]의 정격속도를 가진 유도전동기로 팬(Fan)을 1,000[rpm]의 속도로 구동하고 있다. 이 팬의 속도를 2,000[rpm]으로 증가시킬 때 유도전동기의 출력은 속도 1,000[rpm]일 때보다 몇 배로 증가해야 하는가? (단, 팬은 정상 상태로 구동하고 있다)
20. 전력변환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