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수처리공정
1. 응집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 정수장에서 응집약품 사용 및 관리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3. 급속혼화시설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4. 침전지와 비교한 용존공기부상(DAF) 공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5. 전염소 및 중간염소처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6. 분말활성탄(PAC)을 이용하여 유량 1,000 m3/day의 원수를 처리할 경우 하루에 필요한 PAC의 양(kg)은 약 얼마인가? (단, 확대 접근법에 의한 모형 칼럼은 3.0 m3/m3ㆍhr로 운전하며, PAC의 밀도는 400 kg/m3이다.)
7. 막여과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8. 액화염소의 저장실 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9. 오존처리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0. 급속여과지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1. 염소가스의 안전관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2. 정수장 여과지의 유지관리를 위해서 매일 감시 및 측정해야 할 항목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3. 정수처리공정에서 발생되는 슬러지의 탈수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4. 여과지 하부집수장치의 구비조건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5. 정수처리 시 오존소독을 통해 크립토스포리디움이 0.5 log 제거될 때 이를 제거율(%)로 나타내면 약 얼마인가?
16. 막여과공정에서 막여과 유속(flux) 설계 시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7. 염소소독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8. 정수장의 배출수 처리시설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9. 여과지의 세척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0. 자외선 소독공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과목: 수질분석 및 관리
21. 먹는물수질공정시험기준상 용어 정의로 옳지 않은 것은?
22. 먹는물수질공정시험기준상 다음에서 설명하는 항목은?
23. 다음에서 설명하는 기체크로마토그래피(GC) 검출기는?
24.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상 생물화학적산소요구량(BOD) 시험에 사용되는 질산화억제 시약은?
25. 먹는물수질공정시험기준상 총대장균 시험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6. 먹는물수질공정시험기준상 냄새 시험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7.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상 암모니아성질소 분석방법 중 정량한계 수치(mg/L)가 작은 것부터 큰 것으로 나열한 것은?
28. 먹는물 수질감시항목 운영 등에 관한 고시상 상수원의 조류경보제 발령단계 중 원정수의 Microcystin-LR 검사주기를 바르게 나열한 것은?
29. A정수장에서 소독조건이 다음과 같을 때 불활성화비 계산을 위한 CT계산값 (mg/Lㆍmin)은?
30. 정수장 급속여과지 여과효율 측정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31. 수처리제의 기준과 규격 및 표시기준상 입상활성탄 성분규격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32. 고도정수처리공정에서 막기능 시험방법 중 간접완전성시험에 해당하는 것은?
33. 고도정수처리공정에서 오존물질수지 산정을 위한 오존전달효율을 계산하는 공식은?
34. 먹는물관리법령상 시장ㆍ군수ㆍ구청장이 먹는물공동시설의 수질검사 결과를 매분기 종료 후 환경부장관에게 보고하여야 할 내용을 모두 고른 것은?
35. 다음은 지하수법에 관한 설명이다.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36. 먹는물 수질기준 및 검사 등에 관한 규칙상 수도시설(취수, 정수, 배수)에 종사하는 자가 정기적으로 건강진단을 받아야 하는 항목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
37. 먹는물수질공정시험기준상 염소이온을 질산은적정법으로 측정한 결과가 다음과 같을 때 염소이온 농도(mg/L)는?
38. 먹는물 수질기준 및 검사 등에 관한 규칙상 먹는물 수질기준으로 옳은 것은?
39. 먹는물 수질기준 및 검사 등에 관한 규칙상 급수인구가 240,000명일 경우 검사대상 수도꼭지의 추출개수는?
40. 불활성화비 계산방법 및 정수처리 인증 등에 관한 규정상 용어 정의로 옳지 않은 것은?
3과목: 설비운영(기계·장치 또는 계측기 등)
41. 다음에서 설명하는 여과지의 하부집수장치 방식은?
42. 가압수 확산에 의한 혼화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43. 분말활성탄의 흡착설비에 대한 정수장 관리자(A ~ C)의 조치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44. 정수처리공정의 약품저장설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45. 정수장의 농축조 설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46. 급속여과지의 자기역세척형 설비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
47. 용존공기부상지(DAF)에 포함된 설비를 모두 고른 것은?
48. 계측제어설비에서 피뢰기 설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49. 변압기 △-△ 결선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50. 3상 유도전동기의 속도제어법이 아닌 것은?
51. 다음은 접지에 관한 설명이다.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52. 금속제 수도관로를 접지공사의 접지극으로 사용할 경우 ( )에 들어갈 내용은?
53. 보호계전기 정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54. 다음에서 설명하는 개폐기는?
55. 변압기에서 Δ-Y 결선법의 장점이 아닌 것은?
56. 영상전압을 기준으로 지락고장전류의 크기 및 방향이 일정 범위 안에 있을 때 동작하는 계전기는?
57. 감시조작설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58.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관리자의 업무를 모두 고른 것은?
59. 수도미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60. 산업안전보건법상 사업주는 사업장의 안전 및 보건 유지를 위해 안전보건관리규정을 작성한다. 이에 포함되지 않는 사항은?
4과목: 정수시설 수리학
61. 베르누이(Bernoulli) 정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62. 압력과 동력의 차원을 올바르게 나타낸 것은?
63. 직경이 0.25 cm인 매끈한 유리관을 수온이 20 ℃인 물속에 세웠을 때, 유리관의 내부면과 물표면의 접촉각은 11 °이다. 모세관 현상으로 인해 유리관에서 상승된 물의 높이(cm)는 약 얼마인가? (단, 20 ℃에서 물의 표면장력(T20)은 0.065 gf/cm이고, 물의 단위중량은 1 gf/cm3이다.)
64. 에너지선(Energy Line)과 동수경사선(Hydraulic Grade Line)의 차이는?
65. 개수로의 유량을 측정하는 장치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
66. 수면차가 25 m인 2개의 수조가 직경이 40 cm, 길이가 600 m인 관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 관을 통해 흐르는 유량(m3/sec)은 약 얼마인가? (단, 관로의 마찰손실계수는 0.02, 입구손실계수는 0.5, 출구손실계수는 1.0이며, 기타 미소손실은 무시한다.)
67. 정수장내 관로 및 유량측정 장치에 활용되는 계수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68. 아래 그림과 같이 벤츄리미터가 관로에 연결되어 있다. 벤츄리미터 하부에 연결한 U자형 액주계의 눈금이 6.5 cm의 차이를 보인다면, 이 관내에 흐르는 물의 유량(m3/sec)은 약 얼마인가?
69. 관수로 흐름에서 평균유속과 최대유속의 관계로 옳은 것은? (단, 관수로의 흐름은 층류이다.)
70. 관수로 내 층류에 적용하는 Hazen-Poiseuille 공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71. 유량이 0.4 m3/sec인 송수관로의 단면적이 0.03 m2에서 0.12 m2로 급확대될 때, 단면 급확대로 인한 미소손실수두(m)는 약 얼마인가?
72. 수심 3 m인 수조 바닥에 직사각형 오리피스(2 cm × 3 cm)가 설치되어 있다. 오리 피스로부터 유출되는 물의 유량(m3/sec)은 약 얼마인가? (단, 유량계수는 1이다.)
73. 개수로 내 흐름상태의 변화로 인하여 도수(Hydraulic Jump)가 발생하였다. 도수전 수심이 2.5 m이고 도수 후 수심이 5 m일 때, 도수로 인한 에너지 손실(m)은 약 얼마인가?
74. 수리상 유리한 단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75. Manning 공식의 조도계수(n)와 마찰손실계수(f)의 관계를 정의한 것으로 옳은 것은? (단, D는 원형 관로의 직경이다.)




76. 직경 2 mm인 유리관 내에 층류상태로 유량 0.25 cm3/sec의 물이 흐르고 있다. 관의 길이가 1 m일 때 발생하는 손실수두(cm)는 약 얼마인가? (단, 물의 동점성계수는 1.12 × 10-2cm2/sec이다.)
77. A정수장의 침전지에서 비중 1.2, 지름 0.05 mm인 입자의 침강속도는 0.03 m/hr이다. 동일한 조건에서 비중 2.5, 지름 0.1 mm인 입자의 침강속도(m/hr)는 약 얼마인가? (단, 물의 비중은 1.0이고, 입자의 침강은 Stokes 법칙에 따른다.)
78. 침전지의 제거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79. 펌프의 동력을 산정하는 공식과 단위가 올바르게 연결되지 않은 것은? (단,
는 물의 단위중량이다.)
ㆍQㆍHe, 단위: [kgfㆍm/sec]
ㆍQㆍHe) / 75, 단위: [kW]80. 유량 0.5 m3/sec의 물을 전양정 10 m까지 양수하기 위한 펌프의 소요동력(kW)은 약 얼마인가? (단, 물의 단위중량은 1,000 kgf/m3이며, 펌프의 효율은 80 %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