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경제학원론
1. 재화 X의 시장균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수요곡선은 우하향하고 공급곡선은 우상향한다.)
2. 소비자잉여와 생산자잉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단, 수요곡선은 우하향하고 공급곡선은 우상향한다.)
3. 시장실패가 발생하는 경우로 옳지 않은 것은?
4. 기업 A의 생산함수가 이다. 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단, Q는 산출량, K는 자본, L은 노동이다.)
5. 이윤을 극대화하는 독점기업 A의 평균총비용함수는 이고, 시장수요함수는 P = 200 - 4Q일 때, 독점이윤은? (단, Q는 거래량, P는 가격이다.)
6. 가격하락에 따른 소득효과와 대체효과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7. A국과 B국은 전기차 산업 육성을 위하여 수출보조금 지급 전략을 선택한다. 두 국가가 아래와 같이 3개의 보조금 전략과 보수행렬을 갖는 경우, 내쉬균형은? (단, 1회성 동시게임이고, 괄호 안의 왼쪽 값은 A국, 오른쪽 값은 B국의 보수이다.)
8. 완전경쟁시장에서 한 기업의 평균가변비용은 AVC = 3Q + 5(Q는 생산량)이고 고정비용이 12 이다. 이 기업의 손익분기점에서의 가격과 조업중단점에서의 가격은?
9. 기업 A, B는 생산 1단위당 폐수 1단위를 방류한다. 정부는 적정수준의 방류량을 100으로 결정하고, 두 기업에게 각각 50의 폐수방류권을 할당했다. A의 폐수저감 한계비용은 MACA = 100 - QA, B의 폐수저감 한계비용은 MACB = 120 – QB 인 경우, 폐수방류권의 균형거래량과 가격은? (단, QA, QB는 각각 A, B의 생산량이다.)
10. 불완전경쟁시장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단, 수요곡선은 우하향한다.)
11. X재와 Y재를 소비하는 어떤 소비자의 효용함수가 U = X1/3 Y2/3이고, PY는 PX의 2배이다. 효용극대화 행동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단, PX, PY는 각 재화의 가격이며, MUX, MUY는 각 재화의 한계효용이다.)
12. 전기차 제조업체인 A의 생산함수는 Q = 4K + L 이다. 노동(L)의 단위 가격은 3, 자본(K)의 단위 가격은 9라고 할 때, 생산량 200을 최소비용으로 생산하기 위해 필요한 노동의 투입액과 자본의 투입액은?
13. X재와 Y재만을 소비하는 소비자의 가격소비곡선과 수요곡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단, 가로축은 X재, 세로축은 Y재이다.)
14. 수요곡선이 우하향하는 직선이며, 이 곡선의 가로축과 세로축의 절편이 각각 a, b 라고 할 때, 수요의 가격탄력성(EP)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가격과 수요량이 0보다 큰 경우만 고려한다.)
15. 갑은 회사 취업 또는 창업을 선택할 수 있다. 각 선택에 따른 결과로 고소득과 저소득의 확률(P)과 보수(R)가 아래와 같을 때, 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6. 수요가 가격에 대해 완전탄력적이고 공급함수는 (P는 가격, Q는 수량)일 때 시장균형에서 거래량이 5라고 하자. 생산자에게 단위당 2의 물품세를 부과할 경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7. 거시경제지표의 문제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8. 인플레이션의 비용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9. 소비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0. 한 국가의 총생산(Y) 함수가 Y=AK0.4 L0.6이고, 총생산 증가율이 0.02, 솔로우 잔차(Solow residual)가 0.05, 노동투입 증가율이 –0.08이라면, 성장회계식으로 계산한 자본투입 증가율은? (단, K는 자본투입, L은 노동투입이며, A >0 이다.)
21. 자산을 채권과 화폐만으로 보유할 때, 보몰-토빈(Baumol-Tobin) 화폐수요모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단, 채권을 화폐로 전환할 때마다 매번 b만큼의 고정비용이 발생한다.)
22. 자본이동이 완전히 자유롭고 물가수준이 고정되어 있는 먼델-플레밍(Mundell-Fleming) 모형에서 고정환율제를 채택하고 있는 소규모 개방경제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23. A국의 완전고용국민소득은 2,000이고, 소비함수는 C=100+0.8Yd, 투자는 300, 정부지출과 조세는 각각 200이다. 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단, C는 소비, Yd는 가처분소득이다.)
24. 총 생산함수가 Y = 2K0.5 L0.5 E0.5인 솔로우(Solow) 경제성장모형에서, 인구 증가율과 노동자의 효율성(E) 증가율이 각각 -3%와 5%이다. 균제상태(steady state)에서 도출된 각 변수의 성장률로 옳지 않은 것은? (단, Y는 총생산량, K는 총자본량, L은 총노동량, L×E는 유효 노동 투입량이다.)
25. 갑국의 생산함수는 y = Ak이고 저축률(s), 감가상각률(δ), 인구증가율(n)이 상수일 때, 이 경제의 성장경로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단, y, k는 각각 1인당 총생산, 1인당 자본, A는 양(+)의 상수이고, sA > n+δ 이다.)
26. 폐쇄경제 IS-LM 모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7. 통화공급은 외생적으로 결정되며, 실질화폐수요는 명목이자율의 감소함수이고 실질국민소득의 증가함수일 때, 화폐시장만의 균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28. 고정환율제와 변동환율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9. 경제학파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30. A국과 B국에서 X재와 Y재 각 1단위를 생산하는 데 필요한 노동량이 아래 표와 같다. A국의 총노동량이 20, B국의 총노동량이 60이라고 할 때, 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1. 현재 한국과 미국의 햄버거 가격이 각각 4,800원과 4달러이고, 명목환율(원/달러)이 1,300이며, 장기적으로 구매력평가설이 성립할 때, 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단, 햄버거는 대표 상품이며 변동환율제도를 가정한다.)
32. 다음 거시경제모형에서 잠재GDP가 1,500이라면, 잠재GDP를 달성하기 위해 정부 지출을 얼마나 변화시켜야 하는가? (단, C는 소비, Y는 GDP, T는 조세, I는 투자, r은 이자율, G는 정부지출, MS는 화폐공급, MD는 화폐수요이다.)
33. 다음의 단기 필립스곡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단,πt, πet, ut는 각각 t기의 인플레이션율, 기대인플레이션율, 실업률이고 un은 자연실업률, β는 양(+)의 상수, νt는 t기의 공급충격이다.)
34. 노동수요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생산요소는 자본과 노동이며, 두 요소의 한계기술대체율은 체감하고 완전경쟁요소시장을 가정한다.)
35. 효용극대화를 추구하는 갑은 고정된 총가용시간을 노동시간과 여가시간으로 나누어 선택한다. 갑의 효용함수는 U = U(H, I)이며, 소득 I = wL + A 일 때, 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H는 여가시간, w는 시간당 임금, L은 노동시간, A는 근로외소득, 여가는 정상재이다. H와 I의 한계대체율(MBSH, I)은 체감하며, 내부해를 가정한다.)
36. 고용과 관련된 지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7. 효율성임금(efficiency wage)이론에서 기업이 시장균형임금보다 높은 임금을 지급하는 이유로 옳지 않은 것은?
38. A국의 균제상태(steady state)에서의 실업률이 12%이고, 매 기간 실직률(취업자 중 실직하는 사람의 비율)이 3%일 때, 균제상태를 유지시키는 구직률(실업자 중 취업하는 사람의 비율)은?
39. 어느 산업의 노동공급곡선은 LS = 20 + 2w 이고, 노동수요곡선은 LD = 50 - 4w이다. 정부가 최저임금을 6으로 설정할 때 발생하는 고용 감소와 실업자는? (단, LS, LD는 각각 노동공급 및 노동수요이며, w는 임금이다.)
40. 실질임금의 경기순환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