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영상정보 관리일반
1. '개인정보 보호법'에 따르면, 공개된 장소에 적법하게 설치된 고정형 영상정보처리기기를 통해 처리되는 '개인정보'에 대해서는 적용되지 않는 규정들이 있다. 이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2. 다음 중 의무적으로 CCTV를 설치해야 하는 장소는?
3. 다음 중 '공공기관 고정형 영상정보처리기기 설치·운영 가이드라인'에서 정의하고 있는 '영상정보처리기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4. 다음 중 '개인정보 보호법' 및 '시행령'에 따른 영상정보처리기기 설치 및 운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5. 영상정보 관제센터가 공공기관에서 운영되는 주요 목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6. 영상정보 관제센터의 정의와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7. '개인정보 보호법' 및 '시행령'에서 정하고 있는 '이동형 영상정보처리기기'의 운영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8. '개인정보 보호법'에서 제시하는 가명정보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9. 철도경찰이 철도시설 및 열차 안에서 발생하는 '철도안전법'에 규정된 범죄와 역 구내 및 열차 안에서 발생하는 범죄의 수사를 위하여, 지방자체단체로부터 CCTV 영상정보를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 제2항 제3호 또는 제5호 또는 제7호에 따라 제공받을 수 있는지의 여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0. '노인장기요양보험법' 및 '시행규칙'에 따른 폐쇄회로 텔레비전(CCTV)의 설치·관리 기준에서 정하고 있는 사항으로 옳은 것은?
11. '국가 정보보안 기본지침 제78조'에 의한 휴대용 저장매체 보안대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2.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제16조'에 따르면, 전자장비로 녹음·녹화된 전자기록물의 저장·이관·백업·복원·보존 등을 위해 지켜야 하는 일반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3. 영상정보관리사(관제요원)가 근무하는 관제센터에서 관리적 보안을 강화하기 위한 정책 중 옳은 것은?
2과목: 영상정보 관제시스템
14. 영상정보관리사 A씨는 기존 HDD를, 빠른 영상정보 저장 및 접근 속도를 위해 SSD로 교체하려고 한다. SSD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5. 영상정보관리사 KIM씨는 서로 다른 네트워크 간 영상 데이터 전송을 위해 네트워크 상에서 패킷의 전달 경로를 결정하는 기능이 있는 장치를 사용하려고 한다. 이 장치는?
16. 통합운영센터 서버실 내 주요 전원 또는 전원 소스 공급에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지속적인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는?
17. 영상정보관리사 HONG씨는 특정 사용자나 그룹만 영상파일에 접근할 수 있도록 권한을 설정하려고 한다. 해당하는 기능으로 옳은 것은?
18. 다음 중 고정형 영상정보처리기기 중 하나인 불렛(Bullet) 카메라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9. CCTV 모니터 설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0. CCTV카메라의 렌즈사양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21. CCTV카메라의 촬상소자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22. 지능형 영상정보처리기기의 카메라 구성 요소에서 데이터 처리 부문에 해당하는 것으로 옳은 것은?
23. 다음은 영상정보관제솔루션 화면의 한 예이다. 번호와 기능이 잘못 짝지어진 것은?
24. 다음은 영상분배서버 설정 화면 중 일부의 예이다. 카메라 정보가 옳은 것은?
25. 영상정보관리사 JIN씨는 영상정보관제솔루션을 통해 모니터링 화면을 구성 중에 있다. 아래 이미지와 화면을 동일하게 구성하기 위한 분할 설정 값은?
26. 다음은 카메라 PTZ 동작 설정이 적용된 화면 예이다. PTZ 프리셋이 작동 중인 카메라는?.
27. 영상정보관제솔루션에서 영상저장서버의 주요 역할로 옳은 것은?
28. 영상정보관제솔루션의 영상 백업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9. 관제요원 A씨는 영상정보처리기기 모니터링 도중 아래와 같은 장애 현상을 확인하였다. 해당 장애 유형은?
30. 다음은 관제시스템 DB 백업 및 복구 화면 중 일부의 예이다. 관제시스템에 필요한 백업 필수 사항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
3과목: 영상정보 관리실무
31. 관제센터에서 특정 이벤트나 요청이 있을 때 관제요원이 특정 카메라의 영상을 수동으로 직접 지정하여 집중 모니터링하거나 필요한 상황에서만 해당 카메라의 영상을 확인하는 방식으로 활용되는 관제 기법은?
32. 다음 상황에 적합한 관제 기법은?
33. 지능형 영상정보관제시스템의 대시보드는 분석된 데이터를 시각화하여 관제요원에게 제공하지만, 시스템 목적과 관련이 없는 데이터는 표출되지 않는다. 다음 중 대시보드에 표출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은 항목은?
34. 지능형영상정보솔루션 이벤트 표출 화면의 한 예이다. 아래 제시된 화면과 오검출 판단 기준을 바탕으로 영상정보관리운영자가 CCTV 영상 알람 정보 기록을 올바르게 작성한 것은?
35. 다음은 선별관제 시스템의 이벤트 발생 조건에 대한 설명이다. 아래 조건에 해당하는 이상행위 이벤트 종류는?
36. 아래 그림과 같이 스마트시티통합플랫폼에서 빅데이터를 활용한 서비스에 해당하는 것은?
37. '안전·재난·환경 사이버보안 가이드'에서 제시한 긴급출동지원(112센터) 서비스 시나리오 중 옳지 않은 것은?
38. 긴급 및 특이 상황 대응 시, 즉각적인 상황 대응 체계 확립 단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9. '표준 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영상관제업무의 법률 준수를 위해 「개인영상정보 관리대장」에서 관리하지 않는 항목은?
40. '개인정보 보호법'에서는 개인정보처리자가 개인정보의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 책임질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도록 하고 있다. 이 경우 광역시,도의 경우 적합한 책임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