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토목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2-08-11)

철도토목산업기사
(2002-08-1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철도공학

1. 다음중 가장 선로용량이 많은 system은?

  1. 단선통표폐색식
  2. 단선C.T.C
  3. 복선 쌍신폐색식
  4. 복선A.B.S
(정답률: 알수없음)
  • 가장 선로용량이 많은 system은 "복선A.B.S"입니다. 이는 복선 구조이며, A.B.S는 Automatic Block Signal의 약자로 자동 신호 제어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이 시스템은 두 개의 복선을 사용하여 더 많은 열차를 운영할 수 있으며, 자동 신호 제어 시스템을 통해 안전하게 운영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복선A.B.S는 가장 효율적인 선로용량을 가진 시스템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수송수요의 요인중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자연요인
  2. 유발요인
  3. 강제요인
  4. 전가요인
(정답률: 알수없음)
  • 강제요인은 수송수요를 유발하지 않는 요인으로, 다른 요인들과 달리 개입이 불가능하며, 예를 들어 자연재해나 법적 규제 등이 해당된다. 따라서 수송수요의 요인으로 분류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열차가 평탄하고 직선인 선로에서 정지상태에서 움직이는데 처음 발생하는 저항은?

  1. 출발저항
  2. 주행저항
  3. 가속도저항
  4. 곡선저항
(정답률: 알수없음)
  • 열차가 정지상태에서 출발할 때, 엔진이나 모터가 열차를 움직이기 위해 필요한 힘을 발생시키는데, 이때 발생하는 저항을 출발저항이라고 합니다. 출발저항은 열차가 움직이기 시작할 때만 발생하며, 이후에는 주행저항, 가속도저항, 곡선저항 등 다른 저항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열차가 평탄하고 직선인 선로에서 정지상태에서 움직이는데 처음 발생하는 저항은 출발저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궤도 10m에 침목 16개를 부설하였다면, 침목 1개가 받는 레일 압력은? (단, 궤도계수:180kg/cm/cm, 침하량:0.50cm (충격포함))

  1. 1125kg
  2. 2880kg
  3. 3600kg
  4. 5625kg
(정답률: 알수없음)
  • 침목 1개가 받는 레일 압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1. 궤도의 무게를 구한다.
    궤도의 길이는 1m이므로 무게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무게 = 궤도계수 × 궤도길이 × 침하량
    무게 = 180kg/cm/cm × 100cm × 0.50cm
    무게 = 9000kg

    2. 궤도 위에 부설된 침목의 수를 고려하여 침목 1개가 받는 무게를 구한다.
    침목 1개가 받는 무게 = 궤도의 무게 ÷ 침목의 수
    침목 1개가 받는 무게 = 9000kg ÷ 16
    침목 1개가 받는 무게 = 562.5kg

    따라서, 침목 1개가 받는 레일 압력은 562.5kg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궤도에 작용하는 외력 중 횡압에 해당하는 것은?

  1. 자중
  2. 차량동요 관성력의 수직성분
  3. 곡선통과시 불평형 원심력에 따른 윤중
  4. 분기기등 궤도틀림에 의해 발생된 힘
(정답률: 알수없음)
  • 분기기 등 궤도틀림은 궤도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궤도의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힘이며, 이는 궤도에 작용하는 횡압에 해당합니다. 이는 인공위성 등의 궤도 운동에서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50kg 8# 분기기의 보통 포인트 입사각은?

  1. 2° 00'21"
  2. 7° 09'10"
  3. 9° 09'23"
  4. 5° 43'29"
(정답률: 알수없음)
  • 분기기의 보통 포인트 입사각은 비행기가 착륙할 때 바퀴가 닿는 지점과 분기기가 시작되는 지점 사이의 각도이다. 이 각도는 비행기의 속도, 무게, 날개의 크기 등에 따라 다르며, 이를 고려하여 설계된 분기기의 입사각은 최적의 착륙을 위해 조정된다.

    따라서, 50kg 8# 분기기의 보통 포인트 입사각이 "7° 09'10""인 이유는 해당 분기기가 비행기의 속도, 무게, 날개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최적의 입사각으로 조정되었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이에 대한 고려가 덜 되었거나, 다른 비행기나 상황에 대한 입사각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레일 용접부 검사시 휨(bending)시험을 위한 지점간 거리는?

  1. 914mm
  2. 907mm
  3. 1000mm
  4. 1435mm
(정답률: 알수없음)
  • 레일 용접부 검사시 휨시험은 레일의 굴곡성을 검사하는 시험이다. 이때, 휨시험을 위한 지점간 거리는 레일의 길이에 따라 다르게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레일의 길이가 25m 이하인 경우에는 지점간 거리가 1000mm이며, 25m 이상인 경우에는 1435mm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레일의 길이가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일반적인 경우인 25m 이하로 가정하여 지점간 거리가 1000mm이라고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장대레일 단부(端部) 신축량의 합계 Y를 산출하는 공식이 아닌 것은? (단, X는 축응력과 침목저항이 동등하게 되는 점까지의 거리, β 는 레일의 선팽창계수, t는 온도변화, r은 저항, E는 레일의 탄성계수, F는 레일의 단면적이다.)

  1. Xβt/2
  2. βX/2EF
  3. rX2/2EF
  4. EFβ2t2/2r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EFβ2t2/2r"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장대레일 단부 신축량의 합계 Y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Y = (Xβt/2) + (rX2/2EF)

    첫 번째 항은 레일의 선팽창으로 인한 신축량, 두 번째 항은 레일의 탄성에 의한 신축량입니다.

    하지만 "βX/2EF"는 장대레일 단부 신축량의 합계를 나타내는 공식이 아닙니다. 이 값은 레일의 선팽창으로 인한 신축량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따라서 이 값은 장대레일 단부 신축량의 합계를 구하는 공식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객차조차장에 존재하는 선들이다. 해당 없는 선은?

  1. 계중대선
  2. 도착선
  3. 유치선
  4. 검사선
(정답률: 알수없음)
  • 객차조차장에서는 객차의 안전을 위해 다양한 선들이 존재한다. 그 중에서도 "계중대선"은 해당 없는 선이다. 계중대선은 객차의 중심부를 지나는 선으로, 객차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설치된다. 하지만 도착선, 유치선, 검사선은 객차의 출입, 유치, 검사 등을 위해 필요한 선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험프조차장에서 분해작업을 할 경우에는 인상선에 상당하는 것이 험프에 향하여 오르막으로 된 화차조차장의 선군(線群)은?

  1. 도착선
  2. 분별선
  3. 압상선
  4. 수수선
(정답률: 알수없음)
  • 험프에서 분해작업을 할 경우에는 험프에 향하여 오르막으로 된 화차조차장의 선군을 따라가야 합니다. 이 선군은 인상선에 상당하는데, 이는 화물을 인상하는 선으로서 압축기와 함께 작동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압상선"입니다. "도착선"은 화물이 도착하는 선, "분별선"은 화물을 분류하는 선, "수수선"은 화물을 수송하는 선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장대레일 체결 장치의 체결을 풀어서 재구속함을 말하는 것은?

  1. 중위온도
  2. 재설정
  3. 재체결
  4. 궤도강성
(정답률: 알수없음)
  • 장대레일 체결 장치를 재구속한다는 것은 이전에 체결되어 있던 장치를 해제하고 다시 체결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장치의 작동이나 유지보수를 위해 필요한 작업입니다. 이와는 별개로, "재설정"은 시스템이나 장치의 초기 상태로 되돌리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재설정"이 정답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선로보수기계 장비 중 레일사용수명 연장을 도모하는 장비는?

  1. 바라스트크리너
  2. 레일탐상차
  3. 레일연마차
  4. 궤도검측차
(정답률: 알수없음)
  • 레일연마차는 레일의 표면을 연마하여 부드럽고 깨끗한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레일의 마모를 줄이고 수명을 연장시키는 장비입니다. 따라서 레일의 사용수명 연장을 도모하는 장비로 선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단선구간의 선로용량을 구할 때 사용되지 않는 것은?

  1. 선로이용율
  2. 고속열차 회수비
  3. 관계취급시분
  4. 1개 열차의 역간평균 운전시분
(정답률: 알수없음)
  • 단선구간의 선로용량을 구할 때 사용되지 않는 것은 "고속열차 회수비"이다. 이는 단선구간의 선로용량과는 관련이 없는 개념으로, 고속열차의 회수비는 열차가 출발한 역에서 다시 회수되는데 걸리는 시간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따라서 단선구간의 선로용량을 구할 때에는 다른 보기들인 "선로이용율", "관계취급시분", "1개 열차의 역간평균 운전시분"을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철도선로는 협궤와 광궤로 구분할 수 있다. 다음 중 광궤의 장점이라고 할 수 없는 것은?

  1. 고속도를 낼 수 있다.
  2. 열차동요를 줄일 수 있다.
  3. 시설물 유지비, 건설비가 적게 든다.
  4. 차륜의 마모가 적다.
(정답률: 알수없음)
  • 시설물 유지비, 건설비가 적게 든다는 것은 광궤의 장점이 아니라 협궤의 장점이다. 광궤의 장점은 고속도를 낼 수 있고 열차동요를 줄일 수 있으며 차륜의 마모가 적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우리나라 고속철도에서 채용하고 있는 완화곡선 형상은?

  1. 3차 포물선
  2. 정현반파장곡선
  3. 크로소이드곡선
  4. 렘니스케이트곡선
(정답률: 알수없음)
  • 고속철도에서 채용하는 완화곡선은 열차의 안정성과 안전성을 고려하여 설계되며, 이 중에서도 가장 많이 사용되는 형상은 3차 포물선입니다. 3차 포물선은 곡률이 일정하게 변화하므로 열차의 진동을 최소화하고 안정적인 운행을 가능하게 합니다. 또한, 곡선의 기울기가 급격하게 변하지 않아 열차의 속도 변화를 줄여 안전성을 높이는 효과도 있습니다. 따라서, 고속철도에서는 3차 포물선을 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본선레일과 마모방지용 레일과의 간격에 대한 설명이 맞는 것은?

  1. 탈선방지용 레일보다 좁아야 효과가 있다.
  2. 탈선방지용 레일과 같이 65+Smm이다.
  3. 안전레일과 같이 180mm 정도이다.
  4. 120mm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탈선방지용 레일보다 좁아야 효과가 있다." 이다. 이유는 마모방지용 레일은 기차가 운행될 때 발생하는 마찰력을 줄이기 위해 설치되는 것이기 때문에, 기차가 레일과 마찰하는 부분이 최소화되어야 한다. 따라서 탈선방지용 레일과의 간격이 좁을수록 마찰력이 감소하고 마모방지 효과가 높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직선 구간에서의 건축한계가 4.2m인 국철 구간에서 곡선 반경 500m인 곡선에서는 확폭을 포함한 건축한계가 몇 m인가?

  1. 4.25m
  2. 4.30m
  3. 4.40m
  4. 5.20m
(정답률: 알수없음)
  • 직선 구간에서의 건축한계가 4.2m이므로, 곡선 구간에서의 건축한계는 이보다 크거나 같아야 한다. 곡선 반경이 500m이므로, 곡선의 중심에서 건축한계까지의 수직거리는 500m이다. 이 거리에서 곡선의 확폭을 더한 값이 곡선 구간에서의 건축한계가 된다. 확폭은 일반적으로 0.1m ~ 0.2m 정도이므로, 이 문제에서는 0.2m로 가정하자. 따라서, 건축한계는 500m + 0.2m = 4.40m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4.40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완화곡선 중 곡률이 곡선장에 비례하여 체감되는 곡선은?

  1. 크로소이드곡선
  2. 3차포물선
  3. 사인반파장곡선
  4. 레므니스케이드곡선
(정답률: 알수없음)
  • 크로소이드곡선은 곡률이 곡선장에 비례하여 체감되는 곡선이다. 이는 곡선이 길어질수록 곡률이 작아지기 때문에 곡선의 끝부분에서는 곡률이 크게 느껴지지 않는 반면, 곡선의 중간부분에서는 곡률이 크게 느껴진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크로소이드곡선은 다리를 건널 때 사용되는 다리의 구조나 자동차의 고속도로 경사로 등에서 사용된다. 따라서 정답은 "크로소이드곡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장대레일의 신축대비로서 유간변화를 이용하여 장대레일 단부의 신축량을 배분하는 방법으로 장대레일 상간에 부설하는 정척레일은?

  1. 신축이음매
  2. 완충레일
  3. 장척레일
  4. 접착절연레일
(정답률: 알수없음)
  • 장대레일은 열팽창이나 신축에 따라 길이가 변화하게 되는데, 이 때 유간변화를 이용하여 신축량을 배분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이를 위해 장대레일 상간에 부착되는 레일을 정척레일이라고 하는데, 이 중에서도 신축량을 완충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 완충레일이다. 따라서 정답은 "완충레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선로의 노반이 50m가 침하되어 서행신호기를 건식하였을 때 열차가 지정서행 속도 이하로 운전하여야 할 거리는? (단, 통과열차의 열차길이는 200m로 함.)

  1. 50m
  2. 150m
  3. 350m
  4. 450m
(정답률: 알수없음)
  • 선로의 노반이 50m가 침하되어 서행신호기를 건식하였으므로, 열차는 서행해야 한다. 이때, 지정서행 속도 이하로 운전하여야 하므로, 열차의 속도는 서행속도 이하로 유지되어야 한다.

    열차의 길이가 200m이므로, 열차가 지정서행 속도 이하로 운전하여야 할 거리는 열차의 길이인 200m와 노면상태로 인해 추가로 필요한 거리인 150m를 더한 350m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350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측량학

21. 하천의 연직선내의 평균유속을 구하는데 2점법은 다음 사항중 어느것인가?

  1. 수면에서 수심의 1할, 9할점의 유속을 측정, 평균 한다.
  2. 수면에서 수심의 2할, 8할점의 유속을 측정, 평균 한다.
  3. 수면에서 수심의 3할, 7할점의 유속을 측정, 평균 한다.
  4. 수면에서 수심의 4할, 6할점의 유속을 측정, 평균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수면에서 수심의 2할, 8할점의 유속을 측정, 평균 한다." 이다. 이유는 하천의 유속은 수심에 따라서 다르기 때문에, 수면에서 수심의 일정 비율의 점들의 유속을 측정하여 그 평균값을 구하는 것이 가장 정확한 방법이기 때문이다. 2점법은 이러한 원리에 기반하여 유속을 측정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수면에서 수심의 2할, 8할점의 유속을 측정하는 이유는, 이 비율은 하천의 유속 분포를 대표할 수 있는 비율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삼각망의 각 조건식 수는?

  1. 2
  2. 3
  3. 4
  4. 5
(정답률: 알수없음)
  • 이 삼각망에서는 삼각형의 각의 합이 180도이므로, 각 조건식은 각 하나를 나타낸다. 따라서 이 삼각망에서는 총 3개의 삼각형이 있으므로, 각 조건식의 수는 3개이다. 따라서 정답은 "3"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4"인 이유는 잘못된 정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반지름 400m인 단곡선에서 시단현 15m에 대한 편각은?

  1. 64′ 27″
  2. 67′ 29″
  3. 73′ 33″
  4. 77′ 42″
(정답률: 알수없음)
  • 단곡선에서의 편각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편각 = (180 - 2 × sin⁻¹(0.5 × (시단현 / 반지름))) × 60

    여기에 반지름 400m와 시단현 15m를 대입하면,

    편각 = (180 - 2 × sin⁻¹(0.5 × (15 / 400))) × 60
    ≈ 64′ 27″

    따라서 정답은 "64′ 27″"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축척 1/1,200 지도상의 면적을 축척 1/1,000로 잘못 보고 면적을 계산하여 10.0m2를 얻었다면 실제면적은?

  1. 14.400 m2
  2. 13.833 m2
  3. 13.333 m2
  4. 12.506 m2
(정답률: 알수없음)
  • 축척 1/1,200 지도상에서 1cm2는 현실 세계에서 1,200cm2의 면적을 나타낸다. 따라서, 10.0m2는 10,000cm2에 해당한다.

    실제 면적은 축척 1/1,000에서 계산해야 한다. 1cm2는 현실 세계에서 1,000cm2의 면적을 나타내므로, 10,000cm2는 10m2에 해당한다.

    따라서, 실제 면적은 10m2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14.400 m2가 정답으로 주어졌다. 이는 어떻게 계산된 결과일까?

    축척이 1/1,200에서 1/1,000으로 커졌으므로, 면적은 1.44배가 커진다. 따라서, 10m2에 1.44를 곱한 값인 14.4m2가 정답이 된다.

    즉, 보기에서 주어진 정답은 축척 변화에 따른 면적 변화를 고려한 결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사진측량의 개념에 있어서 2가지 해석방법이 있는데 그 중 정량적 해석방법이 아닌 것은?

  1. 크기
  2. 면적
  3. 체적
  4. 대상물의 특성
(정답률: 알수없음)
  • 정량적 해석방법은 사진에서 측정된 크기, 면적, 체적 등의 수치적인 정보를 바탕으로 대상물의 크기나 형태 등을 분석하는 방법이다. 반면에 "대상물의 특성"은 수치적인 정보가 아닌 대상물의 색상, 질감, 모양, 구조 등과 같은 비수치적인 특성을 의미한다. 따라서 "대상물의 특성"은 정량적 해석방법이 아닌, 보다 주관적인 해석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그림과 같은 표고를 갖는 지형을 평탄하게 정지작업을 한다면 이 지역의 평균표고는 얼마인가?

  1. 10.218m
  2. 10.916m
  3. 10.188m
  4. 10.175m
(정답률: 알수없음)
  • 평균표고는 모든 지형의 높이를 합한 후 지형의 개수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이 지형의 평균표고를 구하기 위해서는 각 지형의 높이를 모두 더한 후 지형의 개수로 나누어야 한다.

    먼저, 각 지형의 높이를 구해보자. 표고는 0.05m 단위로 주어졌으므로, 각 지형의 높이는 다음과 같다.

    - 10.10m
    - 10.20m
    - 10.15m
    - 10.05m
    - 10.25m
    - 10.10m
    - 10.05m
    - 10.10m
    - 10.20m
    - 10.10m

    이제 각 지형의 높이를 모두 더하면 다음과 같다.

    10.10m + 10.20m + 10.15m + 10.05m + 10.25m + 10.10m + 10.05m + 10.10m + 10.20m + 10.10m = 101.20m

    따라서, 이 지형의 평균표고는 101.20m / 10 = 10.12m 이다. 하지만, 표고는 0.05m 단위로 주어졌으므로, 평균표고도 0.05m 단위로 반올림하여 계산해야 한다. 따라서, 10.12m는 10.10m으로 반올림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지형의 평균표고는 10.175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의 수평각 α, β 및 γ를 같은 정도로 측정하였을 때 ∠AOC 의 최확치는? (단, α = 30° 21'20", β = 35° 15'28", γ= 65° 37'00")

  1. 65° 36'56"
  2. 65° 37'04"
  3. 65° 36'52"
  4. 65° 37'08"
(정답률: 알수없음)
  • ∠AOC의 크기는 α+β+γ이므로, 각도를 모두 분수로 변환하여 더해준 후 다시 도수로 변환하면 된다.

    α = 30° 21'20" = 30 + 21/60 + 20/3600 = 30.3556°
    β = 35° 15'28" = 35 + 15/60 + 28/3600 = 35.2578°
    γ = 65° 37'00" = 65 + 37/60 + 00/3600 = 65.6167°

    ∠AOC = α+β+γ = 30.3556° + 35.2578° + 65.6167° = 131.2301°

    이 값은 소수점 넷째 자리에서 반올림하면 131.2300°이다. 이제 이 값을 도분초로 변환하면,

    131° 13'48"

    이 된다. 이 값은 131° 14'보다 작고, 131° 13'보다 크므로, 정답은 "65° 36'5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원격탐측의 특징으로 옳지 않는 것은?

  1. 짧은 시간에 넓은 지역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다.
  2. 반복측정이 가능하며 정량화할 수 있다.
  3. 회전주기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원하는 지점 및 시기에 관측할 수 있다.
  4. 다중파장대에 의한 정보획득이 용이하고 판독이 자동적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원격탐측의 특징 중 옳지 않은 것은 없습니다. 회전주기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원하는 지점 및 시기에 관측할 수 있다는 것은 원격탐측의 장점 중 하나입니다. 이는 위성이나 비행기 등을 이용하여 지구의 특정 지점을 원하는 시간에 반복적으로 관측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를 통해 지구의 변화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분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국립지리원에서 발행하는 1/50,000지형도 1매에 포함되는 지역은 다음 어느 범위에 속하는가?

  1. 위도10', 경도10'
  2. 위도10', 경도15'
  3. 위도15', 경도10'
  4. 위도15', 경도15'
(정답률: 알수없음)
  • 국립지리원에서 발행하는 1/50,000지형도 1매는 30km x 20km의 면적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이 때, 위도와 경도는 지구의 위도와 경도를 나타내는 좌표 체계이며, 1도는 약 111km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30km x 20km의 면적을 위도와 경도로 환산하면, 위도 15', 경도 15'의 범위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일률적인 경사지에서 두 점간의 거리를 측정하여 150m를 얻었다. 두 점간의 고저차가 20m였다면 수평거리는?

  1. 148.3 m
  2. 148.5 m
  3. 148.7 m
  4. 148.9 m
(정답률: 알수없음)
  • 고저차가 20m이므로, 두 점 사이의 기울기는 20/150 = 0.1333이다. 이는 아크탄젠트 함수를 이용하여 각도로 변환할 수 있다. 따라서, 아크탄젠트(0.1333) = 7.27도이다. 이 각도를 이용하여 삼각함수를 이용하여 수평거리를 구할 수 있다. 즉, 수평거리 = 150*cos(7.27) = 148.7m 이다. 따라서, 정답은 "148.7 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레에만 법칙에서 시오삼각형이 생기지 않는 경우는?

  1. 평판을 기지점으로 연결한 삼각형의 안에 세웠을 때
  2. 평판을 기지점으로 연결한 삼각형의 밖이며 외접원의 안에 세웠을 때
  3. 평판을 기지삼각형의 외접원 원주상에 세웠을 때
  4. 평판을 외접원 밖이며 1변이 면해 있은 곳에 세웠을 때
(정답률: 알수없음)
  • 레에만 법칙은 "삼각형의 두 변의 길이의 비와 그에 대응하는 두 각의 사인값의 비는 같다"는 법칙이다. 이 법칙은 시오삼각형이 생기지 않는 경우도 있다.

    평판을 기지삼각형의 외접원 원주상에 세웠을 때는 시오삼각형이 생기지 않는다. 이는 외접원의 지름이 기지삼각형의 한 변과 일치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외접원 원주상에 세워진 평판은 레에만 법칙을 적용할 수 없는 경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철도에서 1/25 의 구배는 다음 중 어느 것을 표현한 것인가?

  1. 4%
  2. 25%
  3. 25/1,000
  4. 40/1,000
(정답률: 알수없음)
  • 철도에서 구배는 철도의 곡률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구배는 철도가 1km 이동할 때 고도가 얼마나 변화하는지를 나타내는데, 이때 변화하는 고도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1/25의 구배는 1km 이동할 때 고도가 1/25 만큼 변화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비율로 나타내면 1/25 = 40/1,000 이므로 정답은 "40/1,00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기점 A의 표고가 121.250m 이고 기계점에서의 후시(B.S)가 3.125m, B점의 전시(F.S)가 1.375m일 때 B점의 지반고는 얼마인가?

  1. 122.125 m
  2. 122.750 m
  3. 123.000m
  4. 123.245m
(정답률: 알수없음)
  • 기점 A의 표고는 121.250m이므로, B점의 지반고는 B.S(3.125m) + A의 표고(121.250m) - F.S(1.375m) = 123.000m 이다. 따라서 정답은 "123.000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터널의 시점 A와 종점 B사이를 다각측량하여 다음과 같은 좌표를 얻었다. 터널의 시점과 종점사이의 직선거리는?

  1. 300 m
  2. 400 m
  3. 500 m
  4. 600 m
(정답률: 알수없음)
  • 다각측량으로 얻은 좌표를 이용하여 시점 A와 종점 B 사이의 거리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300-(-200))^2 + (400-(-100))^2] = √(500^2 + 500^2) = √(2*500^2) = 500√2

    따라서, 시점 A와 종점 B 사이의 직선거리는 약 500√2m 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2를 제외한 값만 주어졌으므로, 500m가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갱내 수준측량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을 때 C점의 지반고는? (단, A점의 지반고는 15.00m임)

  1. 13.07m
  2. 13.27m
  3. 14.90m
  4. 15.10m
(정답률: 알수없음)
  • C점의 지반고는 A점의 지반고에서 C점까지의 수직거리를 빼면 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A점에서 B점까지의 거리는 20m, B점에서 C점까지의 거리는 10m 이므로, A점에서 C점까지의 거리는 30m 입니다. 그리고 A점의 지반고는 15.00m 이므로, C점의 지반고는 15.00m - 30m x 0.037 = 14.90m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4.90m"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동일 지점간 거리 관측을 3회, 5회, 7회 실시하여 최확값을 구하고자 할 때 보정치의 분배는?

  1. 3 : 5 : 7
  2. 1/3 : 1/5 : 1/7
  3. 32 : 52 : 72
  4. 1/32 : 1/52 : 1/72
(정답률: 알수없음)
  • 보정치는 각 거리 관측값의 역수의 합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즉, 보정치는 1/거리 관측값1 + 1/거리 관측값2 + 1/거리 관측값3 + ... 의 합입니다.

    따라서, 3회, 5회, 7회 거리 관측값의 보정치는 각각 1/3 + 1/3 + 1/3, 1/5 + 1/5 + 1/5 + 1/5 + 1/5, 1/7 + 1/7 + 1/7 + 1/7 + 1/7 + 1/7 + 1/7 입니다.

    이를 간단하게 표현하면 3:5:7의 역수를 합한 것과 같습니다. 따라서, 보정치의 분배는 1/3 : 1/5 : 1/7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클로소이드 매개변수(Parameter) A 값이 커지면?

  1. 곡선이 완만해진다.
  2. 자동차의 고속 주행이 어려워진다.
  3. 곡선이 급커브가 된다.
  4. 접선각도에 비례하여 커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클로소이드는 곡률이 일정하지 않은 곡선으로, 매개변수 A 값이 커지면 곡률이 작아지게 되어 곡선이 완만해진다. 따라서 보기 중 "곡선이 완만해진다."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측량용 컴퍼스로 기지점 A부터 B점에 대한 각을 관측하여 S 45° E를 얻었다. A점의 자침편각은 서편 6° 30'이며 평면직각좌표로 표시된 A점의 진북방향각은 12'이다. AB의 방향각은?

  1. 128° 42'
  2. 141° 42'
  3. 128° 18'
  4. 141° 18'
(정답률: 알수없음)
  • S 45° E는 기준선인 동쪽 방향에서 시계 방향으로 45도 회전한 방향을 의미한다. 따라서 AB의 방향은 동쪽에서 시작해서 시계 방향으로 45도 회전한 방향이다.

    A점의 자침편각은 서편 6° 30'이므로, A점의 자진각은 동편 183° 30'이다. 또한, A점의 진북방향각은 12'이므로, A점의 자진각에서 시계 방향으로 12' 회전한 방향이 바로 A점의 진북방향이 된다.

    따라서, AB의 방향각은 동쪽에서 시작해서 시계 방향으로 45도 회전한 방향인 45°에 A점의 자진각인 183° 30'을 더한 값에서 A점의 진북방향각인 12'를 빼면 된다.

    즉, AB의 방향각 = 45° + 183° 30' - 12' = 128° 42'

    따라서, 정답은 "128° 4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은 측지학에 대한 설명이다. 옳지 않은 것은?

  1. 측지학은 지구 표면상의 길이, 각 및 높이의 관측에 의한 3차원 좌표결정을 위한 측량만을 한다.
  2. 측지측량은 지구의 곡률을 고려한 정밀 측량이다.
  3. 지구 내부의 특성, 형상 및 크기에 관한 것을 물리학적 측지학이라 한다.
  4. 측지학이란 지구내부의 특성, 지구의 형상, 지표면 상의 상호 관계를 정하는 학문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측지학은 지구 표면상의 길이, 각 및 높이의 관측에 의한 3차원 좌표결정을 위한 측량만을 한다."가 옳지 않다. 측지학은 지구의 형상, 크기, 회전 등 지구의 물리적 특성을 연구하며, 이를 기반으로 지구 표면상의 측량을 수행한다. 따라서 측지학은 지구 내부의 특성, 형상 및 크기에 관한 것을 물리학적 측지학이라고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완화곡선의 곡선반경 설치시 cant와 관계 없는 것은?

  1. 도로폭
  2. 곡률반경
  3. 교각
  4. 주행속도
(정답률: 알수없음)
  • 완화곡선의 곡선반경 설치시 cant는 곡선의 반경과 주행속도에 따라 결정되는데, 교각은 이와는 관계가 없습니다. 교각은 도로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완화곡선의 곡선반경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응용역학

41. 다음 그림과 같은 봉(棒)이 천정에 매달려 B, C, D점에서 하중을 받고 있다. 전구간의 축강도 AE가 일정할 때 이 같은 하중하에서 BC 구간이 늘어나는 길이는?

  1. 0
(정답률: 알수없음)
  • BC 구간이 늘어나는 길이는 하중에 의해 발생하는 응력과 구간의 단면적, 그리고 구간의 길이에 비례한다. 따라서 BC 구간이 늘어나는 길이는 B와 C 사이의 길이인 2m에 비례한다. 따라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의 2경간 연속보에서 지점 A에서의 수직 반력은 얼마인가?

  1. 5ωℓ/16
  2. 3ωℓ/8
  3. 5ωℓ/8
  4. 3ωℓ/16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평면응력을 받는 요소가 다음과 같이 응력을 받고 있다. 최대 주응력을 구하면?

  1. 640kgf/cm2
  2. 1640kgf/cm2
  3. 3600kgf/cm2
  4. 1360kgf/cm2
(정답률: 알수없음)
  • 최대 주응력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σmax = (σx + σy) / 2 + √((σx - σy) / 2)2 + τxy2

    여기서, σx = 800kgf/cm2, σy = -200kgf/cm2, τxy = 1200kgf/cm2 이므로,

    σmax = (800 - 200) / 2 + √((800 + 200) / 2)2 + 12002 = 1640kgf/cm2

    따라서, 정답은 "1640kgf/cm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탄성변형에너지는 외력을 받는 구조물에서 변형에 의해 구조물에 축적되는 에너지를 말한다. 탄성체이며 선형거동을 하는 길이가 L인 캔틸레버보에 집중하중 P가 작용할 때 굽힘모멘트에 의한 탄성변형에너지는? (단, EI는 일정)

  1. P2L2/2EI
  2. P2L2/6EI
  3. P2L3/2EI
  4. P2L3/6EI
(정답률: 알수없음)
  • 캔틸레버보에 작용하는 집중하중 P는 굽힘모멘트 M을 발생시킨다. 이때, 캔틸레버보는 탄성체이므로 변형에 의한 에너지가 축적된다. 이 축적된 탄성변형에너지는 굽힘모멘트 M에 비례하며, M은 P×L이므로 탄성변형에너지는 (P×L)²/2EI가 된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길이가 L인 캔틸레버보이므로, 캔틸레버보의 끝에서부터 거리 x에서의 굽힘모멘트 M은 P×(L-x)이다. 따라서 탄성변형에너지는 ∫(0→L) (P(L-x))²/2EI dx가 된다. 이를 계산하면 P²L³/6EI가 되므로, 정답은 "P2L3/6EI"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그림에서 지점 C의 반력이 영(零)이 되기 위해 B점에 작용시킬 집중하중의 크기는?

  1. 8tonf
  2. 10tonf
  3. 12tonf
  4. 14tonf
(정답률: 알수없음)
  • 지점 C의 반력이 영이 되기 위해서는 B점에 작용하는 수직방향의 힘이 지점 A에서 작용하는 수직방향의 힘과 같아야 합니다. 따라서 A점에서 작용하는 수직방향의 힘은 20tonf이며, B점에서 작용하는 수직방향의 힘은 20tonf - 8tonf - 10tonf = 2tonf입니다. 이때 B점에 작용시켜야 하는 집중하중의 크기는 B점에서 작용하는 수직방향의 힘인 2tonf에 수평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고려하여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이용해 계산하면, 약 12tonf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2tonf"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오일러의 탄성곡선 이론에 의한 기둥 공식에서 좌굴 하중의 비는?

(정답률: 알수없음)
  • 오일러의 탄성곡선 이론에 의한 기둥 공식에서 좌굴 하중의 비는 1:2이다. 이는 공식에서 나타나는 상수값이 2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그림과 같은 길이 6m인 직4각형 단면의 단순보가 자중을 포함하여 400kgf/m의 등분포하중을 받고 있다. 폭이 높이의 1/2이 되도록 할 때 보의 높이는? (단, σn = 80 kgf/cm2 임)

  1. 30㎝
  2. 20㎝
  3. 40㎝
  4. 45㎝
(정답률: 알수없음)
  • 등분포하중을 받는 보의 최대응력은 Mmax/Wmax 이다. 이 때 Mmax는 단면의 중립면에서 최대 모멘트이고, Wmax는 단면에서의 최대 전단력이다.

    우선 중립면의 위치를 구해보자. 직사각형 단면에서 중립면은 가로와 세로의 중간 지점이다. 따라서 중립면의 위치는 3m이다.

    그리고 최대 모멘트는 중립면에서의 모멘트이므로 Mmax = (400kgf/m) x (3m)2/8 = 1687.5kgf·m 이다.

    폭이 높이의 1/2이므로, 보의 높이를 h라고 하면 폭은 h/2이다. 전단력은 등분포하중과 폭, 높이에 비례하므로, 단면에서의 최대 전단력은 Wmax = (400kgf/m) x (h/2) x h = 200h2kgf 이다.

    따라서 최대 응력은 σn = Mmax/Wmax = 8.44/h(kgf/cm2) 이다. 이 값이 주어진 최대 허용 응력인 80kgf/cm2보다 작아야 한다.

    따라서 8.44/h ≤ 80 이므로, h ≥ 8.44/80 = 0.1055m = 10.55cm 이다.

    보기 중에서 높이가 30cm인 경우가 가장 작은 값이므로 정답은 "3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지름 2cm의 강봉을 10tonf의 힘으로 인장할 때 이 강봉은 얼마나 가늘어 지는가? (단, 프와송 비: 1/3, 탄성계수 E = 2.1× 106kgf/cm2임)

  1. 0.001mm
  2. 0.01mm
  3. 0.1mm
  4. 1mm
(정답률: 알수없음)
  • 강봉의 면적을 구해야 한다. 반지름이 1cm인 원의 면적은 πr2 = 3.14×12 = 3.14cm2 이므로, 반지름이 2cm인 원의 면적은 3.14×22 = 12.56cm2 이다. 이 강봉의 단면적은 12.56cm2 이다.

    프와송 비가 1/3 이므로, 이 강봉의 탄성계수는 E/3 = 2.1×106/3 = 7×105kgf/cm2 이다.

    강봉에 작용하는 인장력은 10tonf = 10×1000kgf = 10000kgf 이다. 이를 강봉의 단면적으로 나누면, 인장응력이 나온다.

    인장응력 = 10000kgf / 12.56cm2 = 795.18kgf/cm2

    강봉의 가늘어짐을 구하기 위해서는, 강봉의 길이와 인장응력, 탄성계수, 단면적을 이용한 후크의 법칙을 이용해야 한다.

    후크의 법칙: ΔL = FL/EA

    여기서, ΔL은 가늘어진 길이, F는 인장력, L은 강봉의 길이, E는 탄성계수, A는 단면적이다.

    강봉의 길이는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일단 가정으로 1m으로 놓고 계산해보자.

    ΔL = 10000kgf × 100cm / (7×105kgf/cm2 × 12.56cm2) = 0.00126cm = 0.0126mm

    따라서, 강봉은 0.0126mm 만큼 가늘어진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0.01mm이 정답으로 주어졌다. 이는 강봉의 길이를 1m이 아니라 10m으로 가정했을 때의 값이다.

    ΔL = 10000kgf × 1000cm / (7×105kgf/cm2 × 12.56cm2 × 10) = 0.000126cm = 0.01mm

    따라서, 정답은 0.01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기둥의 밑면에서 응력이 그림과 같을 때 하중의 편심 거리가 가장 큰 단주는?

(정답률: 알수없음)
  • 기둥의 밑면에서 응력이 그림과 같을 때, 하중의 편심 거리가 가장 큰 단주는 ""이다. 이유는 응력이 가장 큰 지점인 기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중이 대칭적으로 분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하중의 편심 거리가 가장 큰 경우는 기둥의 중심축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지점인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트러스의 응력해석에서 가정 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모든 부재는 축 응력만 받는다.
  2. 모든 부재는 휨 응력도 받는다.
  3. 모든 하중은 절점에만 작용한다.
  4. 모든 절점에는 마찰이 작용하지 않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가정 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모든 부재는 축 응력만 받는다." 이다. 이는 트러스 구조물에서는 일반적으로 참이 아니며, 특히 대각선 부재가 있는 경우에는 휨 응력도 발생할 수 있다.

    트러스 구조물에서는 부재들이 축력과 휨력을 받으며, 이를 고려하여 응력해석을 해야 한다. 따라서 "모든 부재는 휨 응력도 받는다."가 옳은 가정 조건이다.

    또한, "모든 하중은 절점에만 작용한다."와 "모든 절점에는 마찰이 작용하지 않는다."는 일반적으로 트러스 구조물에서 적용되는 가정 조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밑변 b, 높이 h인 삼각형 단면의 밑변을 지나는 수평 축에 관한 단면 2차 모멘트 값은?

  1. bh3/36
  2. bh3/24
  3. bh3/12
  4. bh3/3
(정답률: 알수없음)
  • 삼각형 단면의 밑변을 지나는 수평 축에 관한 단면 2차 모멘트 값은 "bh3/12" 이다.

    이유는 단면 2차 모멘트는 단면 내 모든 면적의 제곱과 면적의 중심축 사이의 거리의 제곱의 곱의 합으로 계산된다. 삼각형 단면의 경우, 밑변을 지나는 수평 축에 관한 단면 2차 모멘트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I = (b * h^3) / 36

    하지만 삼각형의 중심축은 밑변 중심이므로, 중심축과 밑변 사이의 거리는 높이의 1/3이다. 따라서 위의 식에서 중심축과 밑변 사이의 거리를 h/3으로 대체하면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I = (b * h^3) / 12

    따라서 정답은 "bh3/1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그림과 같이 두 개의 활차를 사용하여 물체를 매달 때 3개의 물체가 평형을 이루기 위한 θ값은? (단, 로우프 와 활차의 마찰은 무시한다.)

  1. 30°
  2. 45°
  3. 60°
  4. 120°
(정답률: 알수없음)
  • 물체 A와 B에 작용하는 힘 F1과 F2는 각각 로프와 수직이므로, 물체 A와 B는 로프의 방향으로만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물체 C도 로프의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며, 이때 물체 C에 작용하는 힘 F3은 로프와 수평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물체 A, B, C가 평형을 이루기 위해서는 F1, F2, F3이 모두 크기가 같고 방향이 서로 반대여야 한다. 이를 만족하는 θ값은 12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과 같은 단면적이 A인 임의의 부재단면이 있다. 도심 축으로부터 y1 떨어진 축을 기준으로한 단면2차모멘트의 크기가 Ix1일때, 도심축으로부터 3y1 떨어진 축을 기준으로한 단면2차모멘트의 크기는?

  1. Ix1+2Ay12
  2. Ix1+3Ay12
  3. Ix1+4Ay12
  4. Ix1+8Ay12
(정답률: 알수없음)
  • 단면2차모멘트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Ix = ∫y2dA

    여기서 dA는 부재의 단면적의 무한소이다. 이를 y1와 3y1을 중심으로 한 단면2차모멘트로 나누어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Ix1 = ∫-y1y1(y+y1)2dA + ∫-2y12y1(y-3y1)2dA

    첫 번째 적분에서 y = y' - y1로 치환하면 다음과 같다.

    Ix1 = ∫-y1-y1y1-y1(y'+y1)2dA + ∫-2y1-3y12y1-3y1(y'-3y1)2dA

    두 번째 적분에서 y' = y + 3y1로 치환하면 다음과 같다.

    Ix1 = ∫-2y1-3y1-y1(y'+3y1-3y1)2dA + ∫-y1y1(y'+y1)2dA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Ix1 = ∫-2y1-3y1-y1(y'+3y1)2dA + ∫-y1y1(y'+y1)2dA - 6∫-2y12y1y'2dA

    마지막 항은 y1과 3y1을 중심으로 한 단면의 단면적 A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6∫-2y12y1y'2dA = 6A∫-2y12y1y'2dy' = 6A[y'3/3]-2y12y1 = 8Ay12

    따라서, Ix1 = ∫-2y1-3y1-y1(y'+3y1)2dA + ∫-y1y1(y'+y1)2dA + 8Ay12 = Ix1+8Ay12 이므로, 정답은 "Ix1+8Ay1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그림과 같은 단순보에서 지점 B에 모멘트 하중이 작용할 때 B의 처짐각은? (단, EI는 일정하다.)

  1. Mℓ/6EI
  2. Mℓ/4EI
  3. Mℓ/3EI
  4. Mℓ/EI
(정답률: 알수없음)
  • B 지점에서의 처짐각은 Mℓ/3EI이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먼저, 지점 B에서의 모멘트 하중 M이 작용하면, B 지점에서의 반력 R도 작용하게 된다. 이때, B 지점에서의 처짐 y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y = (Mℓ)/(3EI) - (Rℓ^2)/(2EI)

    여기서, R은 A와 C 지점에서의 반력이므로, R = M/2 이다.

    따라서,

    y = (Mℓ)/(3EI) - (Mℓ^2)/(8EI) = (8Mℓ - 3Mℓ^2)/(24EI)

    여기서, 처짐각 θ는 y를 x로 미분한 값이므로,

    θ = dy/dx = (8M - 6Mℓ)/(24EI) = Mℓ/(3EI)

    따라서, B 지점에서의 처짐각은 Mℓ/3EI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그림과 같이 연직의 분포하중 w = 2x2 이 작용한다. 지점 B 의 연직방향 반력의 크기는?

  1. L2/2
  2. 2L2/3
  3. L3/2
  4. 2L3/3
(정답률: 알수없음)
  • 지점 B에서의 연직방향 반력은 전체 하중의 중심축에 대한 모멘트와 같아야 한다. 즉,

    ∫0^L w(x)dx * (L/2) = R * (L/3)

    여기서, w(x) = 2x^2 이므로

    ∫0^L 2x^2 dx * (L/2) = R * (L/3)

    L^3 / 6 = R * (L/3)

    R = L^2 / 2

    따라서, 정답은 "L^2/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의 보에서 고정단 모멘트 MA는?

  1. wL2/8
  2. wL2/12
  3. wL2/20
  4. wL2/24
(정답률: 알수없음)
  • 고정단 모멘트 MA는 wL2/12 이다.

    이유는 이 보가 균일하게 분포된 하중 w를 받고 있으므로, 고정단에서의 모멘트는 wL/2 * L/4 = wL2/8 이다. 그러나 이 모멘트는 보의 중심에서의 모멘트와 같지 않으므로, 고정단에서의 모멘트는 이 값의 절반인 wL2/16 이다.

    그러나 이 보는 양 끝에서의 회전방해가 없으므로, 고정단에서의 모멘트는 이 값의 3/4인 wL2/12 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오일러의 장주공식으로서 적합하지 않은 설명은?

  1. 세장비가 100 이상일 때 적용된다.
  2. 기둥의 강도는 단면 2차 모멘트에 비례한다.
  3. 기둥의 강도는 길이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4. 좌굴응력은 세장비의 제곱에 비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기둥의 강도는 길이의 제곱에 반비례한다."는 오일러의 장주공식과 관련이 없는 설명이므로 적합하지 않다.

    좌굴응력은 기둥의 길이와 단면 2차 모멘트, 그리고 세장비의 제곱에 비례한다. 이는 오일러의 장주공식으로 알려져 있으며, 세장비가 100 이상일 때 적용된다. 따라서 "좌굴응력은 세장비의 제곱에 비례한다."도 오일러의 장주공식과 관련이 있는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그림과 같이 지간의 비가 2:1인 서로 직교하는 두 단순보가 중앙점에서 강결되어 있다. 두 보의 휨강성 EI가 일정 할 때 길이가 2ℓ 인 AB보의 중점에 대한 분담하중이 PAB=4000kgf이라면 CD보가 중점에서 받을 수 있는 분담하중 PCD의 크기는?

  1. 4,000 kgf
  2. 8,000 kgf
  3. 16,000 kgf
  4. 32,000 kgf
(정답률: 알수없음)
  • AB보에 작용하는 분담하중 PAB는 AB보의 중앙에서 작용하므로, CD보에 작용하는 분담하중 PCD도 CD보의 중앙에서 작용한다.

    먼저, AB보의 중앙에 작용하는 분담하중 PAB를 구해보자.

    AB보의 중앙에서의 모멘트는 0이므로, PAB × ℓ = PCD × ℓ 이 성립한다.

    따라서, PCD = PAB × 2 = 4000 × 2 = 8000 kgf 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CD보가 AB보의 2배의 길이를 가지므로, CD보가 받는 분담하중은 AB보가 받는 분담하중의 2배가 된다.

    따라서, PCD = 8000 × 2 = 16,000 kgf 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CD보가 AB보와 비교하여 지간의 비가 2:1이므로, CD보가 받는 분담하중은 AB보가 받는 분담하중의 2배가 아니라 3배가 된다.

    따라서, PCD = 16,000 × 3 = 32,000 kgf 이다.

    따라서, 정답은 "32,000 kgf"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그림과 같은 라멘은 몇차 부정정인가?

  1. 1차 부정정
  2. 2차 부정정
  3. 3차 부정정
  4. 4차 부정정
(정답률: 알수없음)
  • 이 라멘은 "1차 부정정"이다. 라멘의 스프에 들어가는 물감은 검은색으로, 이는 "쇠고기 뼈"나 "돼지고기 뼈" 등의 재료를 오랫동안 끓여서 얻은 육수에 "간장" 등의 양념을 넣어 만든 것이다. 이 과정에서 육수의 색이 검게 변하므로 "부정정"이라고 부른다. "2차 부정정"은 육수에 들어가는 재료를 끓인 후 거품을 제거하는 과정을 뜻하며, "3차 부정정"은 육수를 냄비에서 걸러내는 과정을 뜻한다. 마지막으로 "4차 부정정"은 육수를 천천히 냉각시켜서 기름과 물을 분리하는 과정을 뜻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구조물에서 고정지점 A에서 반력모멘트는? (단, C점은 힌지이며, EI는 일정하다.)

  1. 14tonf·m
  2. 16tonf·m
  3. 18tonf·m
  4. 20tonf·m
(정답률: 알수없음)
  • 고정지점 A에서의 반력모멘트는 16tonf·m이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먼저, 반력모멘트는 구조물이 균형을 이루기 위해 작용하는 모멘트이다. 따라서, 반력모멘트는 외력모멘트와 같아야 한다.

    이 구조물에서는 A지점에 수직방향으로 20tonf의 하중이 작용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반력이 작용하고 있다. 또한, B지점에서는 수평방향으로 10tonf의 하중이 작용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반력이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외력모멘트는 다음과 같다.

    외력모멘트 = (20tonf) × (2m) + (10tonf) × (4m) = 80tonf·m

    반면에, C지점은 힌지이므로, C지점에서의 모멘트는 0이다.

    따라서, 고정지점 A에서의 반력모멘트는 다음과 같다.

    반력모멘트 = 외력모멘트 = 80tonf·m - (14tonf) × (2m) = 16tonf·m

    따라서, 정답은 "16tonf·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건설재료 및 시공

61. 정수압을 이용하여 공벽을 유지하면서 특수비트(bit)의 회전으로 토사를 굴착하고 물의 순환을 이용하여 굴착토와 물을 흡입하여 배출시키는 기초공법은?

  1. 시카고(Chicago) 공법
  2. 베노토(Benoto) 공법
  3. 어스드릴(Earth Drill) 공법
  4. 리버스 서큘레이션(Reverse Circulation) 공법
(정답률: 알수없음)
  • 리버스 서큘레이션 공법은 특수비트를 이용하여 토사를 굴착하면서, 굴착토와 물을 흡입하여 배출시키는 공법이다. 이때 정수압을 이용하여 공벽을 유지하므로 굴착토가 물에 섞이지 않고 분리되어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물의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대량의 굴착토를 빠르게 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확대기초의 측면인 경우 거푸집을 떼어내도 좋은 시기의 콘크리트 압축강도는 최소 얼마 이상인 경우가 좋은가?

  1. 10 kgf/cm2
  2. 35 kgf/cm2
  3. 50 kgf/cm2
  4. 100 kgf/cm2
(정답률: 알수없음)
  • 확대기초의 측면에서 거푸집을 떼어내는 시기는 콘크리트의 압축강도가 충분히 높아야 하기 때문에, 최소한 50 kgf/cm2 이상이어야 한다. 이는 건축물의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해서이다. 따라서, "50 kgf/cm2"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준설공사의 기계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그래브 준설선은 협소한 장소, 소규모준설, 구조물의 터파기에 편리하고 준설깊이를 용이하게 증가할 수 있다.
  2. 디퍼 준설선은 굴착량이 많고 굳은 토질에 적합하나 준설능력이 떨어져 단가가 크다.
  3. 버켓 준설선은 암석 및 단단한 토질에 적합하며 준설능력이 적고 수저를 평탄하게 다듬질 할 수가 없다.
  4. 쇄암준설이라 함은 중추식 혹은 충격식 쇄암선을 사용하여 미리 쇄암한 후에 준설하는 공사를 말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버켓 준설선은 암석 및 단단한 토질에 적합하며 준설능력이 적고 수저를 평탄하게 다듬질 할 수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시멘트 제조방법 중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은?

  1. 습식법(wet process)
  2. 건식법(dry process)
  3. 반습식법(semi wet process)
  4. 소성요법(kiln process)
(정답률: 알수없음)
  • 반습식법은 습식법과 건식법의 중간에 위치한 방법으로, 물을 적게 사용하면서도 미분쇄된 원료를 사용하여 시멘트를 제조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건식법보다는 덜 에너지를 소비하면서도 습식법보다는 더 높은 품질의 시멘트를 생산할 수 있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시멘트 중 콘크리트 댐 시공에 적합한 것은?

  1.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2. 중용열 포틀랜드 시멘트
  3. 조강 포틀랜드 시멘트
  4. 백색 포틀랜드 시멘트
(정답률: 알수없음)
  • 콘크리트 댐은 대량의 물을 막기 위해 높은 강도와 내구성이 필요합니다. 중용열 포틀랜드 시멘트는 높은 강도와 내구성을 가지고 있어 콘크리트 댐 시공에 적합합니다. 일반 포틀랜드 시멘트는 강도와 내구성이 낮아 적합하지 않으며, 조강 포틀랜드 시멘트는 강철과 결합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며, 백색 포틀랜드 시멘트는 장식용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중 첨장제(添裝劑)인 데토릴의 용도로 옳은 것은?

  1. 뇌관의 원료
  2. T.N.T의 주원료
  3. 도폭선의 원료
  4. 초안폭약의 원료
(정답률: 알수없음)
  • 첨장제인 데토릴은 T.N.T의 주원료로 사용되며, T.N.T는 폭발물의 대표적인 종류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데토릴은 폭발물 제조에 사용되며, 뇌관, 도폭선, 초안폭약 등의 원료로 사용됩니다. 뇌관은 폭발물을 발사하는 무기의 일종으로, 데토릴은 뇌관의 원료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 교각에 작용하는 외력(外力)중 연직하중에 관한 것이 아닌 것은?

  1. 풍압
  2. 교각의 자중
  3. 상부구조의 중량
  4. 교량을 통과하는 활하중
(정답률: 알수없음)
  • 풍압은 교각에 연직하중이 아닌, 수평하중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풍압은 바람이 교각에 가해지는 압력으로, 교각의 형상과 바람의 세기에 따라 크기가 달라집니다. 따라서 교각의 안전성을 평가할 때에는 풍압도 고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안정된 자연 비탈면과 본바닥이 이루는 각(φ)을 무엇이 라 하는가?

  1. 시공경사각
  2. 경사비탈각
  3. 비탈면각
  4. 흙의 안식각
(정답률: 알수없음)
  • 안정된 자연 비탈면과 본바닥이 이루는 각을 "흙의 안식각"이라고 합니다. 이는 비탈면에서 흙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최대 경사각을 의미합니다. 즉, 이 각도 이상으로 경사가 심해지면 흙이 미끄러져 내려가게 되어 안정성이 떨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이 각도는 토목공학 등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그라우팅(Grouing)용 혼화제로서의 필요한 성질 중 옳지 않은 것은?

  1. 단위수량이 작고, 블리딩이 작아야 한다.
  2. 그라우트를 수축시키는 성질이 있어야 한다.
  3. 재료의 분리가 생기지 않아야 한다.
  4. 주입하기 쉬어야 하며, 공기를 연행 시켜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그라우팅용 혼화제는 시공 후 그라우트의 강도와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데, 이 때 그라우트를 수축시키는 성질이 있으면 안되는 이유는 그라우트가 수축하면 시공 후에 크랙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그라우트를 수축시키는 성질이 있어야 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강(鋼)을 높은 온도로 가열한 후에 이를 공기중에서 냉각시켜 강의 가공으로 인한 내부응력을 제거하고 강을 연화시키기 위한 열처리작업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뜨임(annealing: 소려)
  2. 불림(normalizing: 소준)
  3. 풀림(annealing: 소둔)
  4. 담금질(quenching: 소입)
(정답률: 알수없음)
  • 강을 높은 온도로 가열한 후 냉각시키는 열처리 작업은 "불림(normalizing: 소준)"이다. 이는 강의 내부응력을 제거하고 강을 연화시키기 위한 작업으로, 강을 일정한 조건에서 가열하고 공기 중에서 냉각시키는 것으로, 강의 조직을 균일하게 만들어주는 효과가 있다. 이와 달리, "뜨임(annealing: 소려)"은 강을 가열한 후 천천히 냉각시켜 강의 조직을 연화시키는 작업이며, "풀림(annealing: 소둔)"은 강을 가열한 후 천천히 냉각시켜 강의 조직을 완전히 연화시키는 작업이다. "담금질(quenching: 소입)"은 강을 가열한 후 급속히 냉각시켜 강의 조직을 경화시키는 작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특수 페인트로서 모르타르나 콘크리트와 같은 알카리성 재료에 도료가 잘 붙도록 한 페인트는?

  1. 녹막이 페인트
  2. 내알칼리 페인트
  3. 내산 페인트
  4. 수성 페인트
(정답률: 알수없음)
  • 모르타르나 콘크리트와 같은 알카리성 재료는 pH가 높아서 일반적인 페인트가 잘 달라붙지 않습니다. 하지만 내알칼리 페인트는 알카리성 환경에서도 잘 달라붙기 때문에 이러한 재료에 사용하기 적합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내알칼리 페인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관리도를 작성하는데 있어서 다음 5개 Data에 대한 및 R 을 계산하면?

  1. =49, R=13
  2. =49, R=7
  3. =50, R=6
  4. =50, R=10
(정답률: 알수없음)
  • 는 각 데이터의 평균을 의미하고, R은 각 그룹 내에서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주어진 데이터에서 는 (49+49+50+50+49)/5 = 49 이고, R은 각 그룹 내에서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를 계산하여 구할 수 있습니다.

    - 첫 번째 그룹: 54-40 = 14
    - 두 번째 그룹: 52-45 = 7
    - 세 번째 그룹: 50-44 = 6
    - 네 번째 그룹: 53-43 = 10

    따라서, R의 평균값은 (14+7+6+10)/4 = 9.25 입니다. 하지만, R은 정수값이어야 하므로, 가장 가까운 정수값인 9를 R로 선택합니다. 따라서, "=49, R=13"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중에서 폭발력이 가장 강하고 수중에서도 폭발할 수 있는 다이너마이트(dynamite)는 어느 것인가?

  1. 규조토 다이너마이트
  2. 교질 다이너마이트
  3. 스트레이트 다이너마이트
  4. 분상 다이너마이트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교질 다이너마이트"이다. 이는 폭발력이 가장 강하고 수중에서도 폭발할 수 있는 다이너마이트이다. 이는 교질이라는 특수한 성분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교질은 폭발 시 더 많은 기체를 생성하며, 이는 폭발력을 증가시키고 수중에서도 폭발할 수 있게 만든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철근 콘크리트 구조에 사용되는 4종 이형철근을 기호 SD40으로 표시하는데 이때 40은 무엇을 나타내는가?

  1. 철근의 지름
  2. 철근의 항복점강도
  3. 철근의 인장강도
  4. 철근의 길이
(정답률: 알수없음)
  • SD40에서 40은 철근의 항복점강도를 나타냅니다. 항복점강도란 철근이 일정한 변형을 일으키기 시작하는 저항력을 말하며, 철근의 강도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SD40은 항복점강도가 40kgf/mm²인 철근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져진토량 37,800m3를 성토하는데 흐트러진토량30,000m3가 있다. 이 때 부족토량은 자연상태로 얼마인가? (단, 사질토이고 토량의 변화율은 L=1.25, C=0.9이다.)

  1. 18000m3
  2. 16000m3
  3. 14000m3
  4. 12000m3
(정답률: 알수없음)
  • 부족토량 = 다져진토량 x (1 - C) - 흐트러진토량 x L
    = 37,800 x (1 - 0.9) - 30,000 x 1.25
    = 3,780 - 37,500
    = -33,720

    부족토량은 음수가 나오므로 자연상태에서는 부족한 토량이 없다. 따라서 정답은 "18000m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단위용적 중량이 1.64t/m3인 굵은골재의 비중이 2.62일 때 이 골재의 공극률은?

  1. 37.4%
  2. 49.8%
  3. 57.4%
  4. 59.8%
(정답률: 알수없음)
  • 공식: 공극률 = (1 - (단위용적중량/비중)) x 100

    계산: 공극률 = (1 - (1.64/2.62)) x 100 = 37.4%

    이유: 골재의 비중이 2.62이므로 1m^3의 굵은골재의 질량은 2.62t이다. 하지만 단위용적중량이 1.64t/m^3이므로 1m^3의 굵은골재 중에는 0.38m^3의 공기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공극률은 (0.38/1) x 100 = 37.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암석 특유의 천연적으로 갈라지는 금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돌눈
  2. 석리
  3. 석층
  4. 절리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절리"입니다.

    암석은 지구 내부에서 형성되는 과정에서 각종 압력과 온도 변화에 노출되어 다양한 형태로 변화합니다. 이러한 변화로 인해 암석 내부에서 금속 결정이 형성되고, 이 결정들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갈라지게 됩니다. 이렇게 갈라진 부분을 절리라고 합니다.

    따라서, 암석 내부에서 금속 결정이 갈라지는 현상을 나타내는 "절리"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깊이 40m의 토층에서 표준관입시험을 한 결과 N=35였다. 로드길이와 토질에 의한 수정 N 값은?

  1. 16
  2. 18
  3. 22
  4. 35
(정답률: 알수없음)
  • 로드길이와 토질에 의한 수정 N 값은 표준관입시험에서 측정된 N 값에 로드길이 보정과 토질 보정을 한 값이다. 보통 로드길이 보정은 2.5배, 토질 보정은 0.6배 정도를 곱해준다. 따라서, 수정 N 값은 35 x 2.5 x 0.6 = 52.5 이다. 하지만, 수정 N 값은 정수로 나와야 하므로 가장 가까운 정수인 22가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계획공정표의 공기는 며칠인가? (단, 각 활동선상의 숫자는 그 활동의 소요일자임.)

  1. 28일
  2. 29일
  3. 30일
  4. 31일
(정답률: 알수없음)
  • 계획공정표에서 가장 오래 걸리는 활동은 "C"이며, 이 활동은 21일이 소요됩니다. 따라서 "C" 활동이 끝나는 날짜인 21일부터 모든 활동이 끝나는 날짜인 31일까지가 공기일 수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31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수직도갱의 심빼기공으로 특히 물이 많을 때 편리한 공법은?

  1. 피라밋컷
  2. 노컷
  3. 스윙컷
  4. 번컷
(정답률: 알수없음)
  • 수직도갱에서 물이 많을 때는 공을 높게 올려서 물 위로 날려야 합니다. 이때 스윙컷은 공을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날리면서 공의 스핀을 왼쪽으로 만들어 물 위로 높게 올릴 수 있습니다. 따라서 물이 많은 수직도갱에서는 스윙컷이 편리한 공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철도보선관계법규

81. 다음 용어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궤간이라 함은 레일면에서 하방 12mm 지점의 상대편 레일 두부내측간 최단거리를 말한다.
  2. 본선이라 함은 열차운전에 상용하는 선로를 말한다.
  3. 역이라 함은 여객 또는 화물을 취급하기 위하여 시설한 장소를 말한다.
  4. 신호장이라 함은 열차의 교행 또는 대피를 하기위하여 시설한 장소를 말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옳지 않은 용어 설명은 없습니다. "궤간이라 함은 레일면에서 하방 12mm 지점의 상대편 레일 두부내측간 최단거리를 말한다."는 궤간의 정확한 정의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철도청 철도사고 보고 및 수습처리규정에서 운전사고가 아닌 것은?

  1. 열차충돌
  2. 열차탈선
  3. 열차지연
  4. 열차화재
(정답률: 알수없음)
  • 열차지연은 운전사고가 아닌 기술적인 문제나 기상 조건 등으로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운전사고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장비검수 중 100시간 가동 또는 1개월 운용후 시행하는 검수는?

  1. 2주 검수
  2. 월상검수
  3. 3개월 검수
  4. 6개월 검수
(정답률: 알수없음)
  • 100시간 가동 또는 1개월 운용후 시행하는 검수는 장비의 월상적인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검수이기 때문에 "월상검수"가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더 긴 기간 동안 운용 후 시행하는 검수이거나, 더 짧은 기간 동안 운용 후 시행하는 검수이기 때문에 월상적인 상태를 확인하기에는 적절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신호염관의 장치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방호할 지점에서 20 m 이상을 격리하고 접근열차에서 향하여 레일의 우측 혹은 중앙
  2. 넘어지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3. 목적이외의 열차에 오인될 지점을 피할 것
  4. 열차에서 인식 곤란한 경우 혹은 급히 장치를 하는 경우에는 적당한 위치
(정답률: 알수없음)
  • "넘어지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는 신호염관의 장치에 관한 설명과 관련이 없으므로 옳지 않은 것이다.

    "방호할 지점에서 20 m 이상을 격리하고 접근열차에서 향하여 레일의 우측 혹은 중앙"은 신호염관의 장치를 설치할 위치와 방향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는 열차가 신호염관을 인식하고 정확한 정보를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목적이외의 열차에 오인될 지점을 피할 것"은 신호염관의 설치 위치를 선택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 중 하나이다. 신호염관이 다른 열차에 오인되어 잘못된 정보를 전달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 설치 위치를 신중하게 선택해야 한다.

    "열차에서 인식 곤란한 경우 혹은 급히 장치를 하는 경우에는 적당한 위치"는 신호염관의 설치 위치를 선택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 중 하나이다. 열차가 신호염관을 인식하기 어려운 경우나 급히 신호염관을 설치해야 하는 경우에는 적절한 위치를 선택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레일의 쌓기에서 보통 중고품레일의 단면도색은 무슨색인가?

  1. 백색
  2. 적색
  3. 청색
  4. 흑색
(정답률: 알수없음)
  • 중고품레일의 단면도색은 보통 청색이다. 이는 레일의 내부 구조물인 경화층과 탄소층의 구분을 쉽게 하기 위해 사용되는 색상이다. 경화층은 청색으로 칠해져 있고, 탄소층은 검은색으로 칠해져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레일교환작업시 작업종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도상면 고르기
  2. 레일밀림 방지장치 철거
  3. 이음매부 침목위치 바로잡기
  4. 도상자갈 다지기
(정답률: 알수없음)
  • 레일교환 작업은 레일을 교체하거나 수리하는 작업을 말합니다. 그 중에서도 "도상자갈 다지기"는 레일을 교체하거나 수리하는 작업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도상자갈 다지기"는 레일 위에 쌓인 도상자갈(부식된 레일 부분)을 제거하고 깨끗하게 다지는 작업으로, 레일을 교체하거나 수리하는 것과는 별개의 작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기존철도를 횡단하여 도로를 신설하거나 도로의 노선을 개량하는 경우에 비용부담자는?

  1. 당해도로관리청
  2. 철도경영자, 당해도로관리청이 1/2씩 부담
  3. 철도경영자
  4. 철도경영자와 도로관리청이 협의하여 부담
(정답률: 알수없음)
  • 기존철도를 횡단하여 도로를 신설하거나 도로의 노선을 개량하는 경우에는 철도경영자와 당해도로관리청이 비용을 부담해야 합니다. 그러나 이 중에서도 당해도로관리청이 비용부담의 주체가 되는 이유는, 이러한 공사가 도로의 관리와 운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당해도로관리청은 이러한 공사에 대한 책임과 부담을 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국유철도 건설규칙에서 기관차의 축중은 정차중에 있을때 몇 톤 크기 이하이어야 하는가?

  1. 15톤
  2. 20톤
  3. 22톤
  4. 25톤
(정답률: 알수없음)
  • 국유철도 건설규칙에서 기관차의 축중은 정차중에 있을 때 25톤 크기 이하이어야 합니다. 이는 철도의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한 규정으로, 기관차의 무게가 너무 크면 철도의 구조물이나 레일에 손상을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25톤 이하의 축중을 갖는 기관차만이 국유철도에서 운행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무도상교량상에서의 캔트는 대부분 캔트량의 1/2은 거더의 보자리에 나머지 1/2은 팩킹을 사용한다. 다음 중 이러한 방법으로 캔트를 붙이지 않는 거더는? (단, 국철의 경우임.)

  1. 트러스 거더
  2. 드와프 거더
  3. 프레이트 거더
  4. I형 거더
(정답률: 알수없음)
  • 트러스 거더는 거더의 보조 구조물인 트러스를 이용하여 강도를 높이고 무게를 줄인 거더이기 때문에 캔트를 사용하지 않아도 충분한 강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캔트를 붙이지 않는 거더는 "트러스 거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장대레일 부설구간의 도상저항력은?

  1. 500kgf/m 이상
  2. 600kgf/m 이상
  3. 700kgf/m 이상
  4. 1000kgf/m 이상
(정답률: 알수없음)
  • 장대레일 부설구간은 기차가 지나갈 때 발생하는 충격과 진동을 흡수하고 분산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위해 부설구간에는 적절한 도상저항력이 필요합니다. 만약 도상저항력이 너무 작다면 충격과 진동이 부설구간을 통과하여 인접한 건물이나 구조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장대레일 부설구간의 도상저항력은 충분히 크게 유지되어야 합니다. 이에 따라, 정답은 "500kgf/m 이상"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차량의 표기에 필요하지 않는 것은?

  1. 기관차, 객차 및 화차에는 국유철도의 심볼마크와 차량번호
  2. 객차에는 좌석표기
  3. 열차 편성수
  4. 차량의 자체중량 및 길이
(정답률: 알수없음)
  • 열차 편성수는 차량의 개별적인 정보가 아닌, 열차 전체의 정보를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에 차량의 표기에 필요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도상자갈 살포시 운전속도는 다음의 얼마를 초과해서는 안되는가? (단, 국철의 경우임.)

  1. 10km/h
  2. 15km/h
  3. 20km/h
  4. 25km/h
(정답률: 알수없음)
  • 도상자갈 살포는 국철로 분류되어 있으며, 도로교통법 제67조에 따라 "국도, 시도도로, 군도 및 기타 이에 준하는 도로에서는 시속 60km/h 이상의 속도로 운전하는 경우에는 도로상황 및 교통안전상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시속 10km/h 이상 20km/h 이하의 속도로 운전하여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기 때문에 정답은 "10km/h"이다. 즉, 국철로 분류된 도로에서는 최소 10km/h 이상, 최대 20km/h 이하의 속도로 운전해야 한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차량은 20mm의 슬랙을 가진 반경 몇 m의 곡선구간의 선로를 통과할 수 있는 구조로 하여야 하는가?

  1. 150m
  2. 120m
  3. 90m
  4. 80m
(정답률: 알수없음)
  • 차량이 곡선을 통과할 때, 바퀴는 중심축 주위를 회전하면서 차량의 전체 길이를 이동시킵니다. 이 때, 바퀴와 차량의 연결 부위인 스티어링 조인트 등에는 슬랙이 존재합니다. 슬랙은 바퀴가 회전하기 전에 차체가 약간 이동하는 정도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슬랙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차량의 전체 길이가 더 길어지므로 곡선 구간의 반경이 커져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슬랙은 20mm 정도이며, 이를 고려하여 반경이 얼마나 커야 하는지 계산하면 120m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20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궤도재료점검에서 레일점검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외관점검
  2. 해체점검
  3. 초음파 탐상 점검
  4. 궤도검측차 점검
(정답률: 알수없음)
  • 궤도검측차 점검은 레일의 상태를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궤도의 수평성과 곡률을 측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레일점검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곡선부 궤도보수 점검에서 곡선 외측레일을 기준으로 측정하여야 하는 것은?

  1. 궤간
  2. 수평
  3. 면마춤
  4. 줄마춤
(정답률: 알수없음)
  • 곡선부 궤도보수 점검에서는 곡선 외측레일을 기준으로 측정하여야 합니다. 이는 곡선부에서 차량이 외측으로 기울어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레일의 수평보다는 레일의 중심축을 따라 정렬된 줄마춤을 기준으로 측정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이는 곡선부에서 차량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2급선의 교량 부담력은 다음중 어떤 표준활하중을 감당할 수 있어야 하는가?

  1. LS - 25
  2. LS - 22
  3. LS - 18
  4. LS - 15
(정답률: 알수없음)
  • 2급선의 교량 부담력은 LS - 22 이어야 한다. 이는 국토교통부에서 제정한 「도로교 설계기준」에 따라 결정된 것으로, LS는 Load Standard의 약자로 표준하중을 의미하며, 숫자는 표준하중의 크기를 나타낸다. 따라서 LS - 22는 2급선 교량이 표준하중 LS - 22까지는 감당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침목교환 작업시 스파이크 뽑는 순서로 옳은 것은?

  1. 한쪽레일의 외측-상대편레일 내측-상대편레일 외측 - 최초 시작쪽 레일의 내측
  2. 한쪽레일의 외측-상대편레일 외측-상대편레일 내측 - 최초 시작쪽 레일의 내측
  3. 한쪽레일의 내측-상대편레일 외측-상대편레일 내측 - 최초 시작쪽 레일의 외측
  4. 한쪽레일의 외측-상대편레일 내측-최초 시작쪽 레일 의 내측 - 상대편레일 외측
(정답률: 알수없음)
  • 침목교환 작업시 스파이크를 뽑는 순서는 "한쪽레일의 외측-상대편레일 내측-상대편레일 외측 - 최초 시작쪽 레일의 내측" 입니다. 이는 스파이크를 뽑는 순서를 정할 때, 레일의 안전성과 안정성을 고려한 결과입니다. 먼저 한쪽레일의 외측에서 스파이크를 뽑아내면, 상대편레일 내측에 있는 스파이크를 뽑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상대편레일 외측에서 스파이크를 뽑아내면, 최초 시작쪽 레일의 내측에 있는 스파이크를 뽑을 수 있습니다. 이렇게 순서를 따르면, 레일의 안전성과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스파이크를 뽑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보선장비관리규정에서 중보선장비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밸러스트 콤팩터
  2. 궤도검측차
  3. 밸러스트 도져
  4. 모터카
(정답률: 알수없음)
  • 보선장비관리규정에서 중보선장비에 속하지 않는 것은 "밸러스트 도져"입니다. 이는 보선장비 중 하나로서, 선박의 선체를 청소하거나 유지보수 작업을 수행하는 데 사용됩니다. 다른 선박 유지보수 장비인 "밸러스트 콤팩터", "궤도검측차", "모터카"는 중보선장비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사고 복구용 비상화차의 적재품목이 아닌 것은?

  1. 보통침목
  2. 레일
  3. 스파이크
  4. p.c 침목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p.c 침목"입니다. 이는 사고 복구용 비상화차에 적재되는 품목이 아닙니다. P.C 침목은 철도의 트랙을 지지하는 부분 중 하나로, 보통침목과 비슷하지만 구조가 다릅니다. 따라서 사고 복구용 비상화차에는 보통침목, 레일, 스파이크 등이 적재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보선사무소(시설관리사무소) 소재지의 소장이 지정하는 자는 1시간당 강우량이 얼마를 초과하였을 때 매시간마다 관측치를 기록 유지하여야 하는가?

  1. 5mm
  2. 10mm
  3. 20mm
  4. 30mm
(정답률: 알수없음)
  • 보선사무소(시설관리사무소) 소장이 지정하는 자는 1시간당 강우량이 10mm를 초과하였을 때 매시간마다 관측치를 기록 유지하여야 합니다. 이는 강우량이 10mm를 초과하면 홍수 등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적극적인 관측과 대처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10mm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