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인간공학개론
1. 표시장치의 설계에서 signal과 B/G light가 각각 어떤 상태일 때가 가장 시식별이 좋겠는가?
2. 정적 측정방법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3. 출입문, 탈출구, 통로의 공간, 줄사다리의 강도 등은 어떤 설계 기준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한가?
4. 반지름이 1.5m인 다이얼 스위치를 1/2회전시킬 때 계기판의 눈금이 비례하며 3cm, 움직이는 표시장치가 있다. 이 표시장치의 C/R(control/ resopnse) 비는 얼마인가?
5. 제품 디자인에 있어 인간공학적 고려대상이 아닌것은?
6. 신호 검출이론에 의하면 시그널(signal)에 대한 인간의 판정결과는 네 가지로 구분된다. 이 중 시그널을 노이즈(Noise)로 판단한 결과를 지칭하는 용어는 무엇인가?
7. 정량적인 동적 표시장치 중 눈금이 고정되고 지침이 움직이는 형태는?
8. 인간-기게 통합체계의 유형으로 볼 수 없는 것은?
9. 60Hz이상의 음역에서 청각 신호 전달 과정을 옳게 설명한 이론은?
10. 인간의 기억의 여러 가지의 형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1. 인간의 기억 체계 중 감각 보관(sensory storage)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2. VDT work station의 인간공학적 설계에 맞지 않은 것은?
13. 비행기에서 15m떨어진 거리에서 잰 jet engine의 소음이 130dB(A)이었다면, 100m 떨어진 격납고에서의 소음 수준은?
14. 고주파 대역(3,000 Hz 이상)음원의 방향을 결정하는 암시(cue)신호가 아닌 것은?
15. 인간공학의 주요 목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6. 다음 중 제품, 공구, 장비의 설계 시에 적용하는 인체계측 자료의 응용 원칙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7. 인간공학 연구에 사용되는 기준(criterion, 종속변수) 중 인적 기준(human criterion)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8. 자극들 간의, 반응들 간의, 혹은 자극-반응 조합의 관계가 인간의 기대와 모순되지 않는 성질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9. 다음 중 빛이 어떤 물체에 반사되어 나온 양을 의미하는 휘도(brightness)를 나타내는 단위는?
20. 정보의 전달량의 공식을 올바르게 표현한 것은?
2과목: 작업생리학
21. 근육이 수축할 때 발생하는 전기적 활성을 기록하는 것은?
22. 움직임을 직접적으로 주도하는 주동근(prime mover)과 반대되는 작용을 하는 근육은?
23. 전신 진동의 진동수가 어느 정도일 때 흉부와 북부의 고통을 호소하게 되는가?
24. 아래 그림과 같이 작업자가 한 손을 사용하여 무게(WL)가 98N인 작업물을 수평선을 기준으로 30도 팔꿈치 각도로 들고 있다. 물체를 쥔 손에서 팔꿈치까지의 거리는 0.35m이고, 손과 아래팔의 무게(WA)는 16N이며, 손과 아래팔의 무게중심은 팔꿈치로부터 0.17m에 위치해 있다. 팔꿈치에 작용하는 모멘트는 얼마인가?
25. 교대작업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6. RMR(Relative Metabolic Rate)의 값이 1.8로 계산되었다면 작업강도의 수준은?
27. 청력손실은 개인마다 차이가 있으나, 어떤 주파수에서 가장 크게 나타나는가?
28. 육체적 작업에 따라 필요한 산소와 포도당이 근육에 원활히 공급되기 위해 나타나는 순환기 계통의 생리적 반응이 아닌 것은?
29. 활관절(synovial joint)인 팔굽관절(elbow joint)은 연결형태로 보아 어느 관절에 해당되는가?
30. 어깨를 올리고 내리는 데 주로 관련된 근육은?
31. 육체적으로 격렬한 작업 시 충분한 양의 산소가 근육활동에 공급되지 못해 근육에 축적되는 것은?
32. 더운 곳에 있는 사람은 시간당 최고 4kg까지의 땀(증발열: 2,410J/g)을 흘릴 수 있다. 이 사람이 땀을 증발함으로써 잃을 수 있는 열은 몇 kW인가?
33. 인체의 골격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34. 가시도(visibility)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아닌 것은?
35. 중추신경계의 피로 즉, 정신피로의 척도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은?
36. 일정(constant) 부하를 가진 작업수행시 인체의 산소 소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는?
37. 신체 부위가 몸의 중심선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움직이는 동작을 일컫는 용어는?
38. 플리커 시험(Flicker Test)이란?
39. 실내의 추천 반사율로 틀린 것은?
40. 관절의 움직임 중 모음(내전,adduction)이란 어떤 움직임을 말하는가?
3과목: 산업심리학 및 관계법규
41. 원전 주제어실의 직무는 4명의 운전원으로 구성된 근무조에 의해 수행되고 이들의 직무간에는 서로 영향을 끼치게 된다. 근무조원 중 1차 계통의 운전원 A와 2차계통의 운전원 Brks의 직무는 중간정도의 의 존성(15%)이 있다. 그리고 운전원 A의 기초 HEP Prob{A}=0.001일 때 운전원 B의 직무실패를 조건으로 한 운전원 A의 직무실패확률은? (단, THERP분석법을 사용)
42. 힉-하이만(Hick-Htman)의 법칙에 의하면 인간의 반응시간(RT: Reaction Time)은 자극 정보의 양에 비례한다고 한다. 인간의 반응시간(RT)을 아래 식과 같이 예견된다고 하면, 자극정보의 개수가 2개에서 8개로 증가한다면 반응시간은 몇 배 증가하겠는가? (단, RT=a×log, 2N, a:상수 , N:자극정보의 수)
43. 스트레스에 대한 적극적 대처방안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것은?
44. 다음 중 정신적 피로도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45. 부주의의 발생원인 중 내적요인이 아닌 것은?
46. 재해발생 원인 중 간접원인이 아닌 것은?
47. 다음 중 조직이 리더에게 부여하는 구한의 유형이 아닌 것은?
48. ( )에 알맞은 것은?
49. 인간관계의 메커니즘에서 다른 사람의 행동양식이나 태도를 투입시키거나 다른 사람 가운데서 자기와 비슷한 것을 발견하는 것에 해당하는 것은?
50. 베버의 관료주의에서 주장하는 4가지 원칙이 아닌 것은?
51. 다음 중 성격이 다른 오류형태는?
52. 리더와 부하들 간의 역동적인 상호작용이 리더쉽 형태에 매우 중요하다고 보고 있는 리더쉽 연구의 접근 방법은?
53. 산업재해조사와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54. 다음 중 규법(norm)의 정의를 맞게 설명한 것은?
55. 휴먼에러 중 불필요한 작업 또는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기인한 에러는?
56. 산업재해방지를 위한 대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
57. 피로의 원인은 기계적 요인과 인간적 요인으로 나눌 수 있다. 피로를 발생시키는 인간적인 요인이 아닌 것은?
58. 다음 중 집단간 갈등 해소의 방법이 아닌 것은?
59. 제조업자가 합리적인 대체설계를 채용하였더라면 피해나 위험을 줄이거나 피할 수 있었음에도 대체설계를 채용하지 아니하여 제조물이 안전하지 못하게 된 경우에 해당하는 결함의 유형은?
60. 인간이 지닌 주의력의 특성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4과목: 근골격계질환 예방을 위한 작업관리
61. 작업관리의 주 목적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62. 다음 중 VDT(Video Display Terminal) 증후군의 발생요인이 아닌 것은?
63. 다음 중 개선원칙의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64. NOOSH Litting Equation(NLE) 평가에서 권장무게한계(Recommended Weight Limit)가20kg이고 현재 작업물의 무게가 23kg일 때 들기 지수(Lifting index)의 값과 이에 대한 평가가 옳은 것은?
65. 다음 중 작업관리의 내용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66. 다음 중 작업분석에 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67. 다음 중 PTS법의 장점이 아닌 것은?
68. 다음 중 공정도에 사용되는 기호인 ┽으로 표시하기에 부적절한것은?
69. 중량물 들기 작업방법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70. 개선의 E.C.R.S에 해당되지 않은 것은?
71. 다음 중 RULA와 관련하여 맞는 것은?
72. 다음 중 작업측정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
73. 근골격계 질환의 원인으로 거리가 먼 것은?
74. 근골격계 예방관리 프로그램의 일반적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75. 근골격계 질환의 발생원인 중 작업 특성요인이 아닌 것은?
76. 다음 중 근골격계질환 예방을 위한 바람직한 관리적 개선 방안이 아닌 것은?
77. 표준자료법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78. 문제해결을 위해 이해해야 하는 문제 자체가 가지는 일반적인 다섯 가지 특성을 잘 나타낸 것은?
79. 유해요인 조사 방법 중 OWAS(Ovako Working Posture Analsis System)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80. 다음 중 작업 분석의 목적이 아닌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