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식물병리학
1. 흰가루병균(白粉病菌)이 형성하는 포자의 종류는?
2. 벼 오갈병을 매개하는 곤충으로만 된 것은?
3. 못자리나 기계이앙을 위한 상자 육묘에서 문제가 되는 벼의 병은 무엇인가?
4. 수박 덩굴쪼김병균의 월동처는 어디인가?
5. 유성세대가 없는 불완전균에서 일어나며 영양 균사에서 유성생식과 같은 유전적인 재조합이 일어나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6. 다음 병 중 병원균이 이종기생하는 것은?
7. 다음의 식물병 병원체 중 핵산으로만 구성되어 있으며 그 크기가 가장 작은 것은?
8. 뽕나무 오갈병의 병원(病原)은?
9. 벼 줄무늬잎마름병의 병원(病原)은?
10. 식물 파이토플라스마병의 증상으로 잘 나타나는 병징은?
11. 복숭아나무 잎오갈병의 전형적인 병징은?
12. 배추에 모자이크 병징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에는 오이 모자이크 바이러스(CMV)와 순무 모자이크 바이러스(TUMV)가 있다. 이들의 전염 방식은?
13. 병원균의 새로운 레이스가 생길 때마다 저항성이 무너지는 경우에 해당하는 기주체의 저항성은?
14. 잎, 나뭇가지, 열매 등에 발생하고, 잎에는 검은색 작은 병무늬가 생기며 나중에 부정형이 되고 가지에는 타원형의 움푹한 흑갈색 병무늬가 생기며, 어린 열매는 딱딱해지고 쪼개지기도 하는 과수의 병은?
15. 모잘록병(Pythium)은 어떤 균류에 속하는가?
16. 생물학적 진단법이 잘 이용되지 않는 병은?
17. 산성토양에서 더 많이 발생하는 병은?
18. 식물의 병에 대한 화학적 저항성과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9. 잎에만 발생하고 본 잎에서는 처음에는 수침상의 점무늬가 생기고 병무늬 가장자리가 잎맥으로 포위되어 있는 부정형 다각형의 담갈색 무늬로 발전하며 심하면 잎이 윗쪽으로 말리고, 습기가 많으면 병무늬 뒷면에 서리같은 가루모양의 흰색곰팡이가 생기는 병은?
20. Agrobacterium 에 의한 뿌리혹병의 생물적 방제에 사용하는 균은?
2과목: 농림해충학
21. 일반 경종법을 이용하여 해충을 방제하는 재배적 방제법의 설명 중 틀린 것은?
22. 다음 수종 중 솔잎혹파리 피해가 심한 수종은?
23. 곤충의 성페로몬에 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24. 유충이 몇 개의 벼잎을 끌어모아 철하고 그 속에 숨어 있다가 해진 후에 나와 잎가부터 먹어 들어가 주맥만 남기는 해충은?
25. 벼메뚜기의 형태를 설명한 내용 중 틀리는 것은?
26. 진달래방패벌레는 어떤 충태로 월동하는가?
27. 벌목의 잎벌과에 속하는 곤충의 촉각모양이 맞는 것은?
28. 솔잎혹파리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29. 곤충의 4가지 기본환경 요인 중 온도에 대한 설명이다. 설명이 잘못된 것은?
30. 총채벌레목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31. 다음 중 천적 방제의 성공 사례가 아닌 것은?
32. 벼멸구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33. 이화명나방의 가해특성 중 올바른 것은?
34. 배추벼룩잎벌레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35. 통계적 예찰법에서 예찰식을 계산할 때 주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36. 배추흰나비가 십자화과 채소에 알을 낳는 것은?
37. 유효적산온도 법칙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38. 다음 중 토양해충인 것은?
39. 메뚜기 큰턱의 운동을 지배하는 신경의 중추는 다음 중 어느 것인가?
40. 곤충의 혈림프로 방출되는 탄수화물의 저장태는 무엇인가?
3과목: 재배학원론
41. 벼의 추락현상이 발생할 때 벼뿌리를 상하게 하는 주된 물질은?
42. 중경(中耕) 효과가 아닌 것은?
43. 토양선충의 소독제는?
44. 광부족에 적응성이 가장 약한 작물은?
45. 다음의 작물에서 요수량(要水量)이 가장 적은 작물은?
46. 단교잡(單交雜 : Single-cross)의 장점과 단점은?
47. 윤작(輪作)의 원리에 알맞지 않은 것은?
48. 여름작물이 냉온(冷溫)을 만나면 나타나는 현상으로 볼 수 없는 것은?
49. 피자식물이 가지는 중복수정에서 염색체의 조성은?
50. 종자의 수명(壽命)에 가장 영향을 적게 미치는 조건은?
51. 홍미(紅美)는 어느 작물의 품종명인가?
52. 일대교잡종(一代交雜種)을 많이 이용하는 작물은?
53. 포도의 무핵과 형성에 이용되는 생장조절제는?
54. 토양중에 산소가 부족하고 CO2 농도가 높을 때 가장 흡수가 곤란한 성분은?
55. 유전적으로 고정된 품종이라도 그 내병성이 시일이 경과 함에 따라 비교적 쉽게 변동하는 가장 기본적인 원인은?
56. 작물생육에 영양원이 되는 무기성분 중 미량원소로만 묶여진 것은?
57. 일반적으로 작물에 많이 이용되고 있는 토양수분은 어느것인가?
58. 작물이나 과수에 순지르기의 영향이 아닌 것은?
59. 밭에서 한발 경감대책으로 적당하지 못한 것은?
60. 동상해의 응급대책으로 보온효과가 가장 큰 것은?
4과목: 농약학
61. 제충국의 유효성분은?
62. 농약의 독성을 표시하는 것은?
63. 협력제(synergists)의 구조는?
64. 비선택성 제초제로 분류되는 농약은?
65. 다음 농약 성분 중 저투입 고활성 약제는?
66. 유기합성 살충제에 속하지 않는 농약은?
67. 농약의 용제로서 갖추어야 될 요인으로 옳지 않은 것은?
68. 농약의 안전성 평가항목 중 일반독성 평가항목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69. 주로 원제가 가수분해나 열에 안정한 화합물에 한하여 적용하고 있는 입제의 제제 방법은?
70. 수화제에 많이 쓰이는 증량제는?
71. 농약의 작용기구 규명에 추적자(Tracer)로 쓰이는 방사성 동위원소 중 반감기가 가장 긴 핵종은?
72. 응애류의 방제 약제인 살비제가 아닌 것은?
73. 독성(毒性)의 정도를 표시하는데 쓰이지 않는 것은?
74. 유제나 수화제의 살포액 조제 시 고려하지 않아도 될 사항은?
75. 유기 인화합물을 5가의 P원자를 가진 인산에스테르류가 주된 것으로 5종의 기본형으로 분류된다. 여기에서 포스포로아미데이트(phosphoroamidate)형은?
76. 수질 오염성 농약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77. 우리 나라에서 분제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증량제는?
78. 농약의 일일 섭취 허용량을 기술한 것 중 옳은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79. 증량제가 갖추어야 할 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80. 농약의 살포액 조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5과목: 잡초방제학
81. 예방적 잡초방제와 관련이 없는 것은?
82. 종자 휴면의 원인이 될수 없는 것은?
83. 작물과 잡초와의 경합요인이 될 수 없는 것은?
84. 겨울잡초만으로 짝지워진 것은?
85. 작물과 잡초와의 경합해(競合害)로 나타나는 작물의 증상은?
86. 식물 표면에서 제초제의 흡수 과정과 관련된 설명 중 틀린 것은?
87. 잡초의 전파 방법 중 사람이나 동물에 부착하여 운반되는 잡초는?
88. 아래 보기 중 잡초방제방법의 발달 순서로 맞는 것은?
89. 화학방제법에 대한 생물적 방제법의 장점 중 잘못된것은?
90. 다음 제형 중 수용성이 아닌 원제를 아주 작은 입자로 미분화시킨 분말로서 물에 분산시켜 사용하는 것은?
91. 다음 중 논에 사용하는 것이 부적당한 제초제는?
92. 작물 파종 후 초관형성기까지는 잡초와의 경합으로 인해 작물 생육에 영향이 큰 시기로 이 시기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93. 논 제초제의 약해 발생요인이 아닌 것은?
94. 농경지 잡초를 가장 잘 설명한 것은?
95. 식물체내에서 일어나는 제초제 분해반응 중 맞지 않는 것은?
96. 생육억제물질에 의한 잡초 종자의 휴면을 타파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97. 외국에서 유입된 대표적인 외래잡초로만 구성되어 있는 것은 어느 것인가?
98. 다음 중 논 다년생잡초로만 묶여 있는 것은?
99. 농업에 잡초가 존재하는 이유를 설명한 것 중 잘못된것은?
100. 작물과 잡초의 경합 중 양분경합에서 수량에 가장 크게 관여하는 비료성분은?